채동번의 원나라 역사소설 원사통속연의 자서, 1회 2회 3회.hwp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채동번의 원나라 역사소설 원사통속연의 자서, 1회 2회 3회.hwp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자서
제일회 감백광상주성잉 겁홍안이아득처
원사통속연의 1회 백색 광채에 감응해 과부 누이가 임신을 하며 홍색 얼굴의 기이한 아이가 처를 얻다
제이회 옹중칭존창시립국 반사주개부경생남
원사통속연의 2회 대중을 옹위하고 지존을 호칭해 처음 나라를 세우며 군사를 돌려 개선하며 다시 경사스럽게 아들을 낳다

본문내용

; chu)天矗地[chutin chudi]우뚝 솟다 矗의 원문은 聳이다
*肥美[feimi]① (땅이) 비옥하다 ② 살지고 기름지다 ③ 기름지다 ④ 토실토실하다
산 이름은 알타이라고 하며 산이 첩첩이 겹치고 높이는 하늘에 닿을 듯해 유독 한 길만 출입해 통할수 있고 중간에 큰 네모 평지가 있어 토양이 비옥하며 수초가 무성했다.
(不亞桃源。)
男女數人, 遂借此居住, 自相配偶, 不到幾年, 生了好幾個男女。
남녀수인 수차차거주 자상배우 부도기년 생료호기개남녀
남녀 몇 사람이 곧 이를 빌려 거주하며 서로 배우자가 된지 몇 년 안되어 몇 남녀를 낳았다.
有一男子名叫乞, 生得力過人, 所有毒蟲猛獸, 遇着了他, 無不應手立斃。
유일남자명규걸안 생득려력과인 소유독충맹수 우착료타 무불응수입폐
乞:키얀
한 남자는 키얀이라고 불리며 타고나길 완력이 타인보다 뛰어나 독충과 맹수가 그를 만나면 그 자리에서 곧 죽었다.
他的後裔, 獨稱繁盛。
타적후예 독칭번성
그의 후예는 홀로 번성했다고 칭한다.
(有此大力, 宜善生殖。)
유차대력 의선생식
이런 큰 힘이 있어서 생식을 잘한다.
土人叫他作乞要特, “乞要”卽“乞”的變音, 特字便是統類的意義。
토인규타작걸요특 걸요즉 흘안적변음 특자변시통류적의의
거주민은 그를 걸요특이라고 부르니 걸요는 걸안의 변화한 발음으로 특이란 글자가 곧 통류의 의미이다.
種類旣多, 轉嫌地狹, 苦於舊徑蕪塞, 日思開。
종류기다 전혐지협 고어구경무색 일사개벽
종류가 이미 많아져 땅이 좁음을 혐오해 옛길이 무성하게 풀로 막혀 날마다 개척할 생각을 했다.
爲出山計, 輾轉覓得鐵, 洞穴深邃, 大衆伐木熾炭, 火穴中, 又宰了七十二牛, 剖革爲筒, 吹風助火, 漸漸的鐵石盡熔。
위출산계 전전멱료철광 통혈심수 대중벌목치탄 구화혈중 우재료칠십이우 부혁위통 취풍조화 점점적철석진용
*深邃(깊을 수; -총18획; sui)[shnsui]① 깊다 ② 심오하다
(焙籠 구; -총16획; gou)火[guhu]① 모닥불 ② 횃불 ③ 우등불
산을 나갈 계획을 세워 철광석을 다시 구해 동굴 깊숙한 곳에서 대중은 벌목하고 탄을 태우고 구멍에 횃불을 넣어 또 72마리의 소를 잡아 가죽을 벗겨 통을 만들어 바람을 불어 불을 도와 점차 철광석이 다 녹게 되었다.
前此羊腸曲徑, 坍的坍, 的, 忽變作康莊大道, 因此衢路遂。
전차양장곡경 담적담 탑적탑 홀변작강장대도 인차구로수벽
*九折羊腸: 아홉번 꺾인 양의 창자, 꼬불꼬불하고 험한산길
*坍(무너질 담; -총7획; tan) (떨어질, 넘어지다, 낮아지다 탑; -총13획; ta)
*康庄[kngzhung]① 큰길 ② 대로(大路)
앞서 양창자 같은 길이 무너질 곳은 무너지고, 낮아질 곳은 낮아져 갑자기 큰 길이 만들어져 이로부터 길이 곧 열렸다.
(不借五丁, 竟蠶叢, 蜀主不能專美於前。)
불차오정 경벽잠업 촉주불능전미어전
*美[zhunmi]① 명성을 독차지하다 ② 혼자서 미명(美名)을 누리다
5장정[오호장군]의 힘을 빌리지 않고 마침내 촉나라 군주는 앞에서 아름다운 명성을 온전히 독차지 하지 못한다.
數十傳後, 出了一個奔巴延, (《元史》作托奔默爾根, 《秘史》作奔蔑兒干。)嘗隨乃兄都蛙鎖豁兒, 出外遊牧。
수십전후 출료일개타분파연 원사작타분묵이근 비사작타분멸아간 상수내형도와쇄할아 출외유목
*都蛙鎖豁兒:두와 소코르
몇십세대가 전해진 뒤에 한 타분파연을 낳으니 (원사는 타분묵이근이라고 하며 비사는 타분멸아간이라고 함) 일찍이 형인 도와쇄할아를 따라 외부로 유목을 나갔다.
一日到了不兒罕山, 但見叢林夾道, 古木參天, 隱隱將大山籠住。
일일도료불아한산 단견총림협도 고목참천 은은장대산롱주
不兒罕山:부르칸 칼둔산 興安嶺의 不咸山
天[cntin]① (하늘을 찌를 듯이) 높이 솟다 ② 덕(德)이 하늘과 같다 ③ 하늘에 닿다
하루에 불아한산에 닿아 단지 무성한 숲이 길을 끼고 오래된 나무가 하늘에 닿아 은근히 큰 산을 둘러쌌다.
都蛙鎖豁兒, 向奔巴延道:“兄弟!看前面的大山, 比們居住地, 好如何?”
도와쇄할아 향타분파연도 형제 니간전면적대산 비찰문거주지 호알여하
(나 찰; -총9획; zan,zan,za) [zanmen]1. 우리(들). [자기 쪽 ‘我’ 혹은 ‘我’와 상대방 쪽 ‘’ 혹은 ‘’를 모두... 2. 나 또는 너.
好 [hodi]① 좋은 것과 나쁜 것 ② 어쨌든 ③ 되는대로 ④ 잘잘못
도와쇄할아는 타분파연을 향하여 말했다. “형제여! 네가 앞의 큰 산을 보기에 우리 거주지와 비교해 어떠한가?”
奔巴延道:“這山好得多。們着閑暇, 去一會子何如?”
타분파연도 저산호득다리 찰문진착한가 거광일회자하여
一子 :잠시 동안. [‘一’보다 약간 긴 시간]
타부나연이 말했다. “이 산은 좋은 점이 많습니다. 우리들이 한가한 틈을 타서 잠시 가봄이 어떻습니까?”
都蛙鎖豁兒稱善, 遂手同行, 一重一重的走將進去。
도와쇄할아칭선 수휴수동행 일중일중적주장진거
도와쇄할아도 좋다고 하며 곧 손을 맞잡고 동행하여 한 겹식 달려 들어갔다.
到了險峻的地方, 不得已援着木, 着藤, 升而上, 費了好些氣力, 竟至山。
도료험준두초적지방 부득이원착목 반착등 노승이상 비료허사기력 경지산전
[duqiao] ① (지세·산세가) 험준하다 ② 가파르다 ③ 깎아지르다
(원숭이 노; -총12획; nao)升 [naoshng] 원숭이처럼 재빠르게 나무에 잘 오르다
험준하고 가파른 지방에 도달해 부득이하게 나무를 잡고 등나무를 더위잡고 원숭이처럼 올라 조금 기력을 쓴 뒤에 마침내 산꼭대기에 올라갔다.
兄弟兩人, 揀了一塊平坦的磐石, 小坐片刻。
형제양인 간료일괴평탄적반석 소좌편각
형제 두 사람은 한 평탄한 반석을 선택해 잠시 앉았다.
四面瞭望, 煙雲繞, 岫嶼回環, 佛別有天地。
사면료망 연운요요 서회환 방불별유천지
瞭望[liaowang]높은 곳에 올라 멀리 바라보다
岫(산굴 수; -총8획; xiu)嶼(작은 섬 서; -총17획; yu)
사면을 조망해 보니 연기와 구름이 둘러싸고 산굴과 섬같은 봉우리가 뒤돌고 마치 별천지같았다.
俯視有兩河帶, 支流錯雜, 映着那山林景色, 倍覺鮮。
부시유양하형대 지류착잡 앙착나산림경색 배각선연
*帶:얽히고 감기다, 빙빙 돎이다.
* [xinyan]선명하고 아름답다.
밑을 보니 두 하천이 빙빙 돌고 지류가 섞이며 산림의 풍경을 비추니 배로 선명하고 아름다
  • 가격9,900
  • 페이지수70페이지
  • 등록일2020.09.24
  • 저작시기202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369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