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대 클라우드컴퓨팅 기말과제물)클라우드의 미래모습과 보안 국내 클라우드 컴퓨팅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 방향 보고서를 읽고 관련 내용을 조사하여 클라우드 컴퓨팅의 활성화를 위한 클라우드 보안과 정책에 대해 요약정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송통신대 클라우드컴퓨팅 기말과제물)클라우드의 미래모습과 보안 국내 클라우드 컴퓨팅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 방향 보고서를 읽고 관련 내용을 조사하여 클라우드 컴퓨팅의 활성화를 위한 클라우드 보안과 정책에 대해 요약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클라우드 컴퓨팅
2)클라우드 컴퓨팅의 중요성
3)클라우드 컴퓨팅의 활성화를 위한 클라우드 보안
(1) 클라우드 보안의 중요성
(2) 클라우드 보안 환경의 특수성
(3) 클라우드 보안 환경에서의 보안 전략
4)클라우드 컴퓨팅의 활성화를 위한 클라우드 정책
(1)국내 클라우드 컴퓨팅 현황
(2)국내 클라우드 컴퓨팅 활성화 정책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활용을 위한 제도적 방안 구축을 마련했다.
2019년 9월 국무회의에서 클라우드 규제 개선과 관련된‘디지털 정부 혁신 방안’이 발표되면서 공공 부문에 대한 민간 클라우드 도입도 크게 활성화됐다. 나아가 공공을 대상으로 민간이 제공하는 디지털 서비스를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 제도도 2020년 10월 신설하는 등 민간 클라우드 산업 육성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 중이다.
2021년 9월에는 정보통신전략위원회에서 제3차 클라우드컴퓨팅기본계획(22~24)를 발표하는 등, 2015년 11월 수립한 ‘클라우드 컴퓨팅을 위한 1차 기본 계획’이래 국내의 클라우드 컴퓨팅 산업 발전 방안을 제시해오고 있다.
그러나 지난 10여년 동안의 클라우드 활성화 정책을 수립하여 민간 클라우드 이용을 촉진하는 노력을 추진해왔지만, 대부분 프라이빗 클라우드에 치중되어 그 결과는 미흡하다고 할 것이다. 실제 2021년 국가 정보화 시행계획을 기준으로 보면, 클라우드 이용 예산 8,214억 원 중 프라이빗 클라우드에 84.4%인 6,933억 원을 집행할 예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부는 공공 수요를 기반으로 공공용 SaaS 제공 및 클라우드 우선 도입을 지원하여 공공서비스의 디지털 혁신 및 산업 육성을 위해 주도적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 특히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에 적합한 방식으로 예산 집행이 가능하도록 관련 제도 개선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사이버 침해 위협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해 공공 이용 SaaS 개발 사업자를 대상으로 클라우드 보안인증 기준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보안 내재화 지원도 적극적으로 해야 한다. 아울러 기업들의 원활한 보안인증 획득을 지원하기 위해 관련 교육 확대 및 가이드 제공하고, 보안인증 획득 이후 매년 인증기관(KISA)에게 사후 평가를 받는 방식을 개선하여 사후평가 기간 단축 및 기업 부담을 완화하도록 해야 한다.
정부는 공공 부문 민간 클라우드 우선 이용뿐 아니라, 국내 클라우드 산업 경쟁력도 강화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구축형 SW를 SaaS로 전환하도록 지원하고, 클라우드 스타트업 확대, 인프라 기업 역량 강화를 유도해야 한다. 특히 클라우드 기반 개발환경 지원을 확대하여 SaaS 스타트업 창업이 활성화되도록 지원해야 한다. 아울러 중소기업 등의 클라우드 기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할 수 있도록 바우처 품질 향상 및 지원 확대도 필요하다. 정부는 서비스 기획부터 개발·홍보까지 국내 클라우드 기업의 글로벌 서비스 개발역량을 강화하고, 대중소 협력형 해외진출을 촉진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클라우드 기업의 글로벌 역량 강화를 지원하는 멘토링 제공을 해야 한다.
끝으로 클라우드 산업의 지속성장을 위한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 이를 위해 국내 클라우드 플랫폼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고 플랫폼 이해관계자가 참여하는 민간 주도 협의체 구성을 통해 민간 중심의 자생적 플랫폼 발전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 또한 대학의 클라우드 교육 확대를 통해 국내 클라우드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클라우드 전문 인력을 양성해야 한다.
2020년 기준 국내의 클라우드 기술 수준은 최고 선진국 대비 86.5% 수준이다. 따라서 시장수요 즉시 대응형 R&D 및 차세대 핵심ㆍ원천기술 R&D를 균형 투자하고 클라우드 기반 인공지능 연구를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또한 2020년 기준 국내 데이터센터 수는 156개로 부족하므로, 데이터·인공지능 등 디지털 경제의 핵심 인프라인 클라우드 데이터센터의 확충 및 효율적 운영을 추진해야 한다.
3. 결론
이상 본론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해외 클라우드 선도국들은 클라우드 산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하고 국가의 핵심 인프라로 활용하고자 다양한 정책들을 펼치고 있다. 또한 AWS, 구글, MS 등 글로벌 클라우드 기업은 데이터, 인공지능 등 다양한 서비스를 지원하는 클라우드 플랫폼을 중심으로 생태계를 확대하고 있다. 특히 4차 산업혁명시대의 핵심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빅데이터,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등과 연계해 수집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분석하는 기본 인프라로써 클라우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클라우드의 기술 수준과 시장 규모는 아직 클라우드 선진국에 미치지 못하고, 보안 등의 우려로 인해 정부의 다양한 정책에도 불구하고 그 발전 속도도 더디다. 따라서 앞서 언급한 것처럼 클라우드로의 대전환을 통한 디지털 선도국가와 클라우드 강국으로의 도약을 위해서는 정부와 기업의 다각적인 노력이 매우 중요하다. 먼저 정부는 클라우드 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는 기반 여건을 정책적으로 제공해야 하고, 기업은 선진국의 클라우드 기술을 따라잡을 수 있도록 관련 기술의 연구개발에 집중 투자해야 한다.
특히 클라우드 인프라, 데이터와 같은 중요한 자산을 지키기 위한 클라우드 보안대책에 문제가 발생하면, 개인정보 유출 등 사회적으로 막대한 악영향을 가져올 수 있는 만큼, 클라우드 환경에서 보안 체계의 확립은 클라우드 산업의 활성화에 필수적인 요소라는 점을 인식하고 효율적인 보안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사업 시작부터 클라우드 서비스를 지향하고 글로벌 진출을 고려해서 사업을 추진해야 하며 정부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지원하는 다양한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
4. 참고문헌
정재화(2020), 클라우드컴퓨팅, 방송통신대출판문화원.
하야시 마사유키(2020), 그림배우는 클라우드 2판, 영진닷컴.
John W. Rittinghouse(2011), 클라우드 컴퓨팅, 한경사.
클라우드의 미래모습과 보안, 강동석,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국내 클라우드 컴퓨팅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 방향, 안성원,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제3차 클라우드컴퓨팅 기본계획(2022~2024년)
https://www.msit.go.kr/bbs/view.do?sCode=user&mId=113&mPid=112&bbsSeqNo=94&nttSeqNo=3180688
(대한민국 정책브리핑)2024년까지 클라우드 기업 3000개·인재 1만명 양성한다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892783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21.11.04
  • 저작시기202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80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