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Grace-Joy-Peace의 메커니즘
(1) Grace
(2) Joy
(3) Peace
2. 나에게 주는 함의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Grace-Joy-Peace의 메커니즘
(1) Grace
(2) Joy
(3) Peace
2. 나에게 주는 함의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즘
(1) Grace
(2) Joy
(3) Peace
2. 나에게 주는 함의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Ⅰ. 서론
흔히들 사람들은 배가 고플 때나 허기질 때 ‘당떨어졌다’ 라는 소리를 자주 하곤 한다. 우스갯 소리로 ‘당 떨어져서 머리가 안돌아간다’라고 한다. 이것이 우스갯소리로만 지나칠 수 있는 부분일까? 결론적으로 정답은 YES다. 뇌의 먹이는 포도당으로 뇌의 유일한 에너지 원이다.
뇌의 신경세포는 수천억개로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다. 치매와 알츠하이머 같은 병도 뇌가 포도당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하는데 이 능력을 잃게 된 결과로 보고 있다.
포도당은 화학적이고 물질적인 요소로 말할 수 있는데 보이지 않는 심리적 요소로 바꾼다면 무엇이 있을까 상담학적 관점에서 생각해보았다.
그것은 바로 Joy이다. 기쁨은 뇌의 먹이가 되고 있는데 어떤 경로로 뇌의 먹이가 되는지 짐 와일더가 3단계 매커니즘으로 정의하였다. Grace- Joy- Peace 은혜, 기쁨, 평강의 매커니즘에 대해 조금 더 깊게 알아보기로 하였다.
Ⅱ. 본론
1. Grace-Joy-Peace의 정의
(1) Grace
Grace=은혜
은혜란 값없이 받는 호의 / 어떤 것을 얻기 위해 애쓰지 않아도 나에게 주어지는 것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은혜란 부모의 은헤
‘나는 특별히 사랑받는 존재야’
본질적인 질문 : 내가 사랑받고 있는가?
(2) Joy
내가 특별히 사랑받는 존재임을 알게 되었을 때 나타나는 반응의 결과
Joy = dopamine
내가 사랑받고 있음을 느낄 때 도파민이 생성 / 상대방의 나를 향한 진심의 미소를 받을 때 도파민이 분출됨 / 나에게 누군가 미소를 지어줄 때에도
도파민 : 신경전달물질의 하나로 인간을 흥분시켜서 살아갈 의욕과 흥미를 부여한다.
도파민은 행동을 실행하게 만드는 동기를 촉진하므로서 이후 동일한 행동을 반복할 확률을 높이게 된다.
도파민은 사람들의 행위와 습관 학습에 관여한 신경물질로 도파민이 부족, 또는 과다할 경우 마약, 술, 게임 등의 근본적 원인이 될 수 있다.
도파민 생성이 활발해질 경우 집중력이 높아지고 탐구력과 창의력이 상승하는데 이는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는데 유리하다.
Joy(기쁨)은 관계를 전제로 한다.
부모의 은혜와 애착관계를 이야기할 수 있다
태어난지 9개월이 된 아기는 본능적으로 자신을 향해 웃어주는 얼굴을 찾음
아이들의 정상발달을 위해서는 적어도 하루 8시간 웃는 얼굴을
(1) Grace
(2) Joy
(3) Peace
2. 나에게 주는 함의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Ⅰ. 서론
흔히들 사람들은 배가 고플 때나 허기질 때 ‘당떨어졌다’ 라는 소리를 자주 하곤 한다. 우스갯 소리로 ‘당 떨어져서 머리가 안돌아간다’라고 한다. 이것이 우스갯소리로만 지나칠 수 있는 부분일까? 결론적으로 정답은 YES다. 뇌의 먹이는 포도당으로 뇌의 유일한 에너지 원이다.
뇌의 신경세포는 수천억개로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다. 치매와 알츠하이머 같은 병도 뇌가 포도당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하는데 이 능력을 잃게 된 결과로 보고 있다.
포도당은 화학적이고 물질적인 요소로 말할 수 있는데 보이지 않는 심리적 요소로 바꾼다면 무엇이 있을까 상담학적 관점에서 생각해보았다.
그것은 바로 Joy이다. 기쁨은 뇌의 먹이가 되고 있는데 어떤 경로로 뇌의 먹이가 되는지 짐 와일더가 3단계 매커니즘으로 정의하였다. Grace- Joy- Peace 은혜, 기쁨, 평강의 매커니즘에 대해 조금 더 깊게 알아보기로 하였다.
Ⅱ. 본론
1. Grace-Joy-Peace의 정의
(1) Grace
Grace=은혜
은혜란 값없이 받는 호의 / 어떤 것을 얻기 위해 애쓰지 않아도 나에게 주어지는 것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은혜란 부모의 은헤
‘나는 특별히 사랑받는 존재야’
본질적인 질문 : 내가 사랑받고 있는가?
(2) Joy
내가 특별히 사랑받는 존재임을 알게 되었을 때 나타나는 반응의 결과
Joy = dopamine
내가 사랑받고 있음을 느낄 때 도파민이 생성 / 상대방의 나를 향한 진심의 미소를 받을 때 도파민이 분출됨 / 나에게 누군가 미소를 지어줄 때에도
도파민 : 신경전달물질의 하나로 인간을 흥분시켜서 살아갈 의욕과 흥미를 부여한다.
도파민은 행동을 실행하게 만드는 동기를 촉진하므로서 이후 동일한 행동을 반복할 확률을 높이게 된다.
도파민은 사람들의 행위와 습관 학습에 관여한 신경물질로 도파민이 부족, 또는 과다할 경우 마약, 술, 게임 등의 근본적 원인이 될 수 있다.
도파민 생성이 활발해질 경우 집중력이 높아지고 탐구력과 창의력이 상승하는데 이는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는데 유리하다.
Joy(기쁨)은 관계를 전제로 한다.
부모의 은혜와 애착관계를 이야기할 수 있다
태어난지 9개월이 된 아기는 본능적으로 자신을 향해 웃어주는 얼굴을 찾음
아이들의 정상발달을 위해서는 적어도 하루 8시간 웃는 얼굴을
추천자료
(방송통신대 심리학에게 묻다 중간과제물)심리학에게 묻다 강의 교재 9장 Grace-Joy-Peace의 ...
2021년 2학기 심리학에게묻다 중간시험과제물 공통(Grace-Joy-Peace 메커니즘)
교재 9장 Grace-Joy-Peace의 메커니즘에 대해 설명하고(15점), 이러한 개념이 나에게 주는 함...
심리론 ) 심리학에게 묻다 강의 교재 9장 Grace-Joy-Peace의 메커니즘에 대해 설명하고(15점)...
심리학 ) Grace-Joy-Peace의 메커니즘에 대해 설명하고(15점), 이러한 개념이 나에게 주는 함...
심리학에게 묻다 교재 9장 Grace-Joy-Peace의 메커니즘에 대해 설명하고(15점), 이러한 개념...
심리학묻다 ) 심리학에게 묻다 강의 교재 9장 Grace-Joy-Peace의 메커니즘에 대해 설명하고(1...
심리학개론 ) 강의 교재 9장 Grace-Joy-Peace의 메커니즘에 대해 설명하고(15점), 이러한 개...
심리학에게 ) 강의 교재 9장 Grace-Joy-Peace의 메커니즘에 대해 설명하고(15점), 이러한 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