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사 ) 성의 의미(보호, 경제 중심지 등등), 성의 종류(산성, 토성 등등 가볍게 언급), 고구려의 천도와 성을 분석(졸본성, 국내성, 위나암성, 장안성)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문화사 ) 성의 의미(보호, 경제 중심지 등등), 성의 종류(산성, 토성 등등 가볍게 언급), 고구려의 천도와 성을 분석(졸본성, 국내성, 위나암성, 장안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성의 의미와 종류
(2) 고구려의 천도와 성
3. 결론
4. 출처 및 참고자료

본문내용

는 결국 이전의 지역 내에서 단순히 도읍인 성만 이동한 것이므로, 천도가 아닌 이도라는 표현이 삼국사기에 사용되었다.
장안성이 평양 시가지에 조성되어 남아 있으므로 이전의 도성들에 비해 정보가 비교적 명확한 편인데, 내벽과 외벽을 총 23킬로미터나 쌓은 대규모 건설이었으므로 공사 기간만 수십 년에 이르는 대규모 계획이었음을 알 수 있다.
장안성 이도 당시의 고구려는 안원왕 사후 왕위계승에 관한 싸움의 여파가 남아있었고, 한강유역을 빼앗겼으며, 돌궐 세력이 북쪽에서 위협을 가하던 도중이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의 장안성 축조와 이도라는 것은 대내외적 상황에 대한 체제 정비의 일환으로서 장안성 자체가 정치적, 군사적 쇄신의 상징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그 특징중 하나로서 장안성은 고구려 최후의 도성으로서 기존 도성들의 기본 형태를 벗어나 있다. 내성, 중성, 외성, 북성의 4개 구역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거주구획에 이르기까지 도시방어계획에 편성되어 있다는 특징이 있다. 성 내부는 격자형 구획으로 이루어져 있어, 이는 북위 낙양성, 혹은 수나라 대흥성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되는 부분이기도 하다.
결론
성이 보여주는 양태는 매우 다양하다. 그 본질적 시작은 위험으로부터의 보호 혹은 회피였으나, 그 크기와 정도가 매우 크고 많은 사람의 힘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성은 어떤 상징이었기도 하다. 성은 정치권력의 상징이 될 수도 있고, 성을 유지, 보수할 만큼의 재력을 상징하는 것이기도 하고, 혹은 성을 가질 정도의 명예, 계급, 재산을 표현하는 수단이라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런 모든 역사 속에서도, 동서양의 차이 속에서도, 성에는 항상 성에 의해 보호받는 인간과 성에서 인간을 보호하는 인간들 역시 있었다. 요새의 시설물과 자원을 활용하기도 하고, 성채의 구조로부터 전략을 실현하기도 하는 등, 성과 관련하여 벌어질 수 있는 수많은 전투들 역시도 성의 일부임에는 틀림없는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모든 것들이 사실상 인간의 삶이다. 어떤 것을 좋아하고, 어떤 삶을 살았으며, 무엇을 하고자 했는지의 의도와 감정, 사고방식 역시 성에 반영되어 있다. 가까운 고구려의 역사만 보더라도, 강 근처가 살기 편하다, 방어적 기능이 뛰어나면 좋다, 나라가 커지면 도시도 사통팔달이 잘 되는게 좋다, 성을 새로 지어 일국의 쇄신을 꿈꾸는 것 등, 도성과 관련한 당시의 사고방식과 감정들이 그 결과와 경험들에 대단히 영향을 끼쳤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각각의 사고와 목적을 재현하기 위해서, 어느 때에는 토성으로서, 어느 때에는 산성을 쉽게 이용가능한 위치로서 등, 평시성의 위치에 있어서도 다양한 모습을 보였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혹시 모를 일이다. 평시성과 방어성이 이원화 되어 있었던 것으로 여겨지는 국내성과 평양성 시기에도, 이미 부수적 목적을 가진 다른 성들이 있었을 지도 모를 일인 것이다.
현대에는 벽을 파괴하는 무기가 강력해지면서 성의 의미가 많이 퇴색되어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성이 있었기에 그 안에 옹기종기 모여 각자의 삶을 살아갔던 것처럼, 지금도 명백히 보이는 울타리가 없을 뿐 결국 수없이 많이 지어진 경계초소와 포대 등의 방어시설들이 평상시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있어 새로이 성의 기능으로서 다가오고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그 안에서 우리는 안정적으로 살아가고 있다. 벽이 아닌, 벽과 같은 역할을 하는 기능들로 둘러싸여 안정적으로 살아가고 있다. 그리고 그 기능들은, 결국 우리의 손으로서 작동할 수 있고, 우리가 존중하는 누군가의 희생으로서 작동하고 있는 것일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할 것이다.
4. 출처 및 참고자료
-김병희. \"한국의 성곽 축성기법과 변천과정.\" 국내박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2. 서울
-서길수. 고구려 축성법 연구. 서울: 학연문화사, 2009.
-이수건. \"고려전기 토성연구.\" 대구사학 14.1 (1978): 29-70.
-윤혜민(Hye Min Yun). \"조선후기 석성(石星)에 대한 인식 변화와 그 의미.\" 朝鮮時代史學報 70.- (2014): 207-237.
-김진영(Kim jin young). \"안성 도기동산성의 발굴성과와 성벽구조에 대한 소고.\" 고구려발해연구 58.- (2017): 53-93.
-琴京淑(KEUM Kyung-Sook). \"高句麗 國內城 遷都의 歷史的 意味.\" 고구려발해연구 15.- (2003): 5-25.
-금경숙. \"高句麗 集安 遷都의 歷史的 意味.\" 고구려발해연구 15.- (2003): 1-.
  • 가격4,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2.08.24
  • 저작시기202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809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