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도시의 모습에 대해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중세도시

2. 도시의 모습

본문내용

여 각국의 수도와 지방행정 중심지에 각각 왕궁과 관가를 중심으로 한 정치적 도시가 형성되게 되었다.
즉, 고구려는 427년(장수왕 15)에 국내성에서 대동강 북안으로 천도하였다가, 586년(평원왕 28)에 장안성(長安城:평남 평양)으로 다시 옮겼으며, 지방은 3부로 나누고 그 중심이 되는 성(城)은 지방 중심도시로 성장하게 되었다. 백제는 처음 위례성에 도읍하였으나, 고구려의 세력에 밀려 웅진(熊津)으로 옮겼다가 538년(성왕 16)에 사비(泗:충남 부여)로 천도하였다. 전국을 5방(方)으로 구분하여 읍성을 쌓고 행정 ·군사를 담당케 함으로써 지방 소도시가 형성되어갔다.
경주분지의 6부족 연맹에서 시작한 신라는 6세기 초에 가야(伽倻)제국을 합병하고, 7세기 말에는 3국을 통일하였다. 따라서 경주는 신라 1000년의 수도(首都)로 번영하였는데, 특히 헌강왕(憲康王:875∼886) 때에 그 전성기를 이루었다. 경주에는 나성(羅城:도시를 둘러싼 성)이 없이 주위에 산성만 있었고, 고구려의 장안, 백제의 부여, 고려의 개성 등은 모두 도성 내의 북변에 왕궁이 위치하고 있었던 데 반하여, 신라의 경주는 도성 안의 중앙에 왕궁이 위치했던 것이 그 특색이다.
통일신라에 이어 고려를 세운 왕건(王建)은 처음에 철원(鐵原)에 도읍을 정하였다가 이듬해에 개경(開京)으로 천도하였다. 행정구역은 당나라의 군현제도를 도입하여 5도호부(都護府) ·8목(牧)으로 구분하였는데, 도호부는 군사적 거점을 겸한 지방행정의 중심지이다. 그것을 14세기 초의 충숙왕(忠肅王) 때에 5도 양계(五道兩界)로 구분하고, 수도 개경 외에 서경(西京:평양) ·남경(南京:서울) ·동경(東京:경주) 등 3경을 두었다. 따라서 경 ·도호부 ·목은 정치 ·군사의 중심지로서 대개는 성으로 둘러싸인 도시형태를 갖추었다.
한편, 고려시대에는 농업이나 수공업이 발달한 요지에는 경시(京市), 지방도시와 교통의 요지에는 향시(鄕市)가 발달하였다. 조선시대에 이르러서 태조(太祖)는 1394년 수도를 한양으로 정하고, 고래(古來)의 도성 양식인 ‘좌묘우사(左廟右社) 전조후시(前朝後市)’에 따라서 왕조의 상징인 궁궐과 종묘 ·사직 ·관아를 지은 후에 시장(市場)을 짓고, 도성을 구축하였다. 지방도시는 전국을 8도로 구획하여 관찰사를 두고, 그 밑에 부(府) ·목(牧) ·대도호부(大都護府) ·군(郡) ·현(縣) 등을 두어, 330개의 행정구역으로 구분하여 통치하였다. 그들 지방행정 중심지는 규모에서 차이가 크나, 적어도 대도호부 이상은 정치적 기능을 가져 도시적 성격이 현저하였다.
그러나 조선시대 말에 이르러 시장을 중심으로 한 상업적 기능이 두드러짐에 따라 수도를 비롯하여 지방도시에 이르기까지 상공업적 요인에 의한 도시 성장이 진행되어갔다. 그러나 20세기 초 국권피탈 전까지 한국의 도시는 정치적 기능을 바탕으로 한 전산업적 소비도시로 머물고 말았다. 따라서 상공업 등 경제적 기능에 의한 근대도시로의 발달은 20세기 이후에 시작되었다. 즉, 문호개방 이후 많은 새로운 기술과 기계문명을 비롯한 신문물이 유입됨으로써 근대적인 도시 형성은 부산(釜山) ·인천(仁川) ·원산(元山) ·진남포(鎭南浦) 등 개항장에서부터 시작되었다.
그 후 일본의 식민지 수탈정책에 따른 일본인 자본에 의해 상공업이 점진적으로 발달하고, 미곡의 생산 ·수출이 증대하자 미곡의 집산지와 적출항으로서의 도시 성장이 촉진되었다. 1930년대에는 일본의 대자본이 진출하여 개발되지 않은 풍부한 임 ·수산 자원과 수력 ·지하자원 및 풍부하고 값싼 노동력을 이용하여 근대공업을 성립하게 되었는데, 중화학 ·식료품 ·방적 ·금속 ·기계 등 공업이 발달하자 공업도시가 성립 ·발달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37년에 중일전쟁이 발발하자 일본은 전시경제체제로 들어가 중화학공업 육성에 치중하게 되었다. 그러자 각종 자원이 풍부한 북한지역의 도시들이 편중적인 성장 ·발달을 보였고, 또한 그 무렵에 시행된 ‘시가지계획령’으로 기성 시가지의 정리 ·확장과 신시가지의 건설이 동시에 진행되었다. 8 ·15광복 후 해외동포의 귀국, 북한동포의 월남 등으로 유동인구가 급증하였으며, 그들 유동인구의 대부분이 도시에 집중함으로써 어느 때보다도 급속한 성장을 보이면서 도시인구의 과다현상을 가져왔다.
그 뒤 6 ·25전쟁으로 영남지방 남부의 몇몇 도시를 제외한 전국의 도시 대부분이 파괴되자, 피난민들은 부산 ·대구 등 낙동강 하류의 도시로 집중되어 그들 도시는 한때 인구포화상태가 되어 무허가 가건물(假建物)과 천막촌(天幕村)으로 뒤덮였다. 휴전 후 본격적인 경제재건과 도시시설이 이루어져 도시의 면모는 단기간 내에 근대화되어갔고, 도시의 수도 증가하였다. 따라서 60년의 도시인구는 978만 4000명, 도시인구율은 39.2 %에 이르렀다. 60년 이후에는 정치 ·사회적 안정과 공업화에 따른 고도성장으로 급격한 도시화를 가져와 도시 규모면의 확장은 물론 도시수도 많은 증가를 보였다. 즉, 60년대 전반에는 공업화의 거점이 된 도시들이 급격한 성장을 보였고, 60년대 후반에는 경제의 고도성장으로 도시화가 한층 가속화되어, 도시인구율이 50.2 %를 차지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중소도시들의 성장이 저조했던 데 반해, 인구 50만 명 이상의 대도시들이 더욱 높은 인구증가율을 보였다.
특히 서울의 위성도시와 그 밖의 공업도시의 성장이 비교적 빨랐다. 도시화의 추세는 70~80년대에도 계속되어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등 거대도시와 그 위성도시 및 구미 ·창원 ·포항 ·울산 ·여수 ·광양 등 공업도시가 급성장하였다. 90년대 들어 도 ·농(都農) 분리식 행정구역을 개편하는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지방자치제가 본격 실시됨에 따라 ‘도농 복합형태의 시 설치에 따른 행정특례 등에 관한 법률’(법률 4796호)을 제정, 95년 1월과 3월 2차에 걸쳐 41개시와 39개군을 통합하였으며,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을 광역시(廣域市)로 개칭하였다. 그러나 도시 사이의 격차가 크기 때문에 재정자립도가 낮은 곳은 사회간접자본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아 복지후생 서비스를 향상시켜야 하는 부담을 안고 있다.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2.07.06
  • 저작시기20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81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