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신자유주의와 청년들의 “실존적 불안”
2. 사회적 계층과 청년세대의 양극화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신자유주의와 청년들의 “실존적 불안”
2. 사회적 계층과 청년세대의 양극화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기 때문이다. 청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정책이라는 것은 청년 내부의 큰 간극을 이해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해야 한다. 또한,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로 인한 계층이동의 불가능성을 해소하기 위해 가족 배경의 영향력을 축소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한 영역의 불평등이 다른 영역의 불평등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불평등의 다양한 요인이 상호 강화시킬 수 있음을 이해하고, 다양한 교육의 기회를 보장하고, 교육 기회의 박탈이 고용시장에서의 불평등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고용시장 구조의 전면적인 개편을 추진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 지속적으로 심화되는 불평등을 막고 부의 재분배 방식의 하나로서 최근 대두되고 있는 기본소득 정책에 대한 지속적인 고민과 실질적인 적용 방안에 대해서도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청년정책의 수립 및 정책의 효과성을 평가하는 과정에 다양한 청년세대가 참여하는 장이 마련되어야 하겠다. 공평한 사회란, 어떤 위치에서 태어났더라도 다른 위치로의 이동에 방해를 받아서는 안 되며, 특정한 위치에 서열이 부여되지 않는 사회다. 모두가 “헬조선”을 탈출하지 않고도 잘 살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이 절실한 지금이다.
Ⅳ. 참고문헌
강동호. 2014. “호모 에코노미쿠스와 근대의 통치성” 『문학과 사회』 27(3): 440-461.
김승연, 최강은, 박민진, 2020, 장벽사회, 청년 불평등의 특성과 과제, 서울연구원.
기든스(Giddens). 1991. 『포스트 모더니티』 이윤희 옮김. 민영사.
서우석. 2015.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와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자아 존중감 및 자기 효능감의 인과적 관계”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8(4). 149-171.
성문주. 2015. “가족배경과 대학생의 소비와 근로경험 : 충청지역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27(2): 1-25.
신은주. 2016. “청년세대와 세대갈등, 사회적 연대에 관한 토론 1”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심재휘, 이명희, 김경근. 2018. “누가 캥거루족이 되는가 : 청년층의 경제적 자립 격차 분석” 한국교육학연구 24(4): 29-53.
안주희. 2009. “후기 근대사회 현대인의 불안과 강박에 대한 탐색: 대학생을 중심으로” 『사회연구』 18. 73-99.
안준기, 배호중. 2011. “대학 재학시절 노동시장 이행에 미치는 영향” 『교육사회학연구』 21(4): 149-180.
오세일. 조재현. 2016. “한국사회의 삶의 질 저하 현상에 관한 사회학적 성찰: 신자유주의 노동시장의 불안정성을 중심으로” 『생명연구』 42: 127-167.
오찬호. 2010. “후기청소년 세대들이 \"민주주의 이슈\"를 이해하는 방식에 대한 연구: 서울,경기 지역 대학생들에 대한 종단적 분석을 중심으로” 『기억과 전망』 22: 214-253.
정정훈. 2016. “헬조선의 N포 세대와 노력의 정의론 『문화과학』 86: 132-154.
지그문트 바우만. 2010, 『모두스 비벤디 : 유동하는 셰계의 지옥과 유토피아』 한상석 옮김, 후마니타스
Ⅳ. 참고문헌
강동호. 2014. “호모 에코노미쿠스와 근대의 통치성” 『문학과 사회』 27(3): 440-461.
김승연, 최강은, 박민진, 2020, 장벽사회, 청년 불평등의 특성과 과제, 서울연구원.
기든스(Giddens). 1991. 『포스트 모더니티』 이윤희 옮김. 민영사.
서우석. 2015.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와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자아 존중감 및 자기 효능감의 인과적 관계”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8(4). 149-171.
성문주. 2015. “가족배경과 대학생의 소비와 근로경험 : 충청지역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27(2): 1-25.
신은주. 2016. “청년세대와 세대갈등, 사회적 연대에 관한 토론 1”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심재휘, 이명희, 김경근. 2018. “누가 캥거루족이 되는가 : 청년층의 경제적 자립 격차 분석” 한국교육학연구 24(4): 29-53.
안주희. 2009. “후기 근대사회 현대인의 불안과 강박에 대한 탐색: 대학생을 중심으로” 『사회연구』 18. 73-99.
안준기, 배호중. 2011. “대학 재학시절 노동시장 이행에 미치는 영향” 『교육사회학연구』 21(4): 149-180.
오세일. 조재현. 2016. “한국사회의 삶의 질 저하 현상에 관한 사회학적 성찰: 신자유주의 노동시장의 불안정성을 중심으로” 『생명연구』 42: 127-167.
오찬호. 2010. “후기청소년 세대들이 \"민주주의 이슈\"를 이해하는 방식에 대한 연구: 서울,경기 지역 대학생들에 대한 종단적 분석을 중심으로” 『기억과 전망』 22: 214-253.
정정훈. 2016. “헬조선의 N포 세대와 노력의 정의론 『문화과학』 86: 132-154.
지그문트 바우만. 2010, 『모두스 비벤디 : 유동하는 셰계의 지옥과 유토피아』 한상석 옮김, 후마니타스
추천자료
[공통교양] 인간과사회-최근 한국 사회에서는 청년 세대의 다양한 불평등에 대한 좌절과 비판...
인간과사회 2022] 인간과 사회교재 제3장, 제5장, 제7장을 읽은 후 다음으로 장벽사회, 청년 ...
인간과사회 2022년] 장벽사회, 청년 불평등의 특성과 과제에 소개된 청년들이 경험하고 인식...
인간과사회 2022 A+] 인간과 사회 교재 제3장 (사회를 바라보는 관점들), 제5장 (사회적 상호...
인간과 사회 = ) (1) 먼저 인간과 사회 교재 제3장 (사회를 바라보는 관점들), 제5장 (사회적...
인간과사회 = ) 서울연구원에서 발간한 보고서 장벽사회, 청년 불평등의 특성과 과제(김승연,...
인간과 사회 = ) (1) 먼저 인간과 사회 교재 제3장 (사회를 1
인간과 사회 = ) 최근 한국 사회에서는 청년 세대의 다양한 불평등에 대한 좌절과 비판의 목...
인간과사회 먼저 인간과 사회 교재 제3장 사회를 바라보는 관점들, 제5장 사회적 상호작용,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