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쯔메 소세키의 마음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본론
ⅰ. 명치시대 개관
ⅱ. 개인주의의 시작
ⅲ. 죽음의 의미
1. 부모와 장모의 죽음
2. 명치 천황의 붕어와 노기 장군의 죽음
3.「선생」과 「K」의 죽음.

Ⅲ. 나오며

§ 참고 문헌

본문내용

가까운 부인에게 자신의 과거를 털어놓고 용서를 받고 싶지만 인간적인 의사소통이 안되는 고통이었다. 「K」처럼 「선생」은 자신의 수치스러운 모습을 알리고 싶지 않으면서도 부인에게 이해 받고 싶어했다. 고독의 늪에 빠져 있던 「선생」의 모습은 「선생」다가서려 하면서도 자기의 내면을 거부하던 「K」의 모습과 겹쳐진다.
결국 같은 운명을 지닐 수밖에 없었던 「선생」과 「K」의 자살은 과도한 신념을 품고 있던 자기와 자기 내면의 격차에서 온 수치심과 인간관계의 단절에서 온 외로움으로 그 공통점을 찾아 볼 수 있다.
「K」는 자유와 독립과 개인주의로 가득 찬 현대 를 긍정하면서도 明治에 융화되지 못했다. 明治의 근대화가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기 위해 낡은 것을 짓밟아 나갔듯이 [「K」는 결국 무너지고 말았다. 세월이 흘러 「K」와 같은 길을 걷고 있다고 자각한 「先生」은 자신의 죽음을 「K」의 죽음과 중첩시켜 놓고 있다.
「선생」과 「K」의 자살은 전근대적인 모순을 남긴 채 근대화를 추진해 가는 왜곡된 明治時代에 자신의 설 자리를 찾지 못한 지식인이 취할 수 있었던 최후의 행위였다. 그러나 明治時代의 종언과 함께 한 「선생」의 자살은 明治에 대한 진혼곡은 아닐 것이다. 明治의 종언과 함께 생을 마감한 「선생」은 明治 죽음의 의미를 「나」에게 이야기 하면서 자신에게 사상적, 정신적 영향을 받은 「나」라는 신세대를 통해서 明治의 소생을 준비하고 있다. 그리고 그것은 明治에 대한 그리움을 간직한 소세키의 소망인 것이다.
Ⅲ. 나오며
이상으로 후기 삼부작 중 마지막 작품인 『마음』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처음에 이 책을 다 읽었을때는 무언가 큰 의미를 내포하고 있을 것만 같은 죽음의 의미를 몰라 망설였지만 여러 논문들을 더 읽으면서 다양하게 해석되는 의미를 알게되었고, 그에 대한 감상을 나름대로 정리해 보았다.
등장이물의 섬세한 묘사를 통해서 소세키는 비평의 대상으로소 明治와 그 시대의 문명을 外側에서 강하게 나타내기보다는 內側에서 同時代人들의 심리적인 갈등을 통해서 사회를 비판하고 있다. 도도한 근대화 물결을 위태롭게 타고 있는 「선생」과 「K」의 절망적인 표정이나 자조의 자세에서 일본의 현실에 대한 절실한 비판이 될 수 있었다고 할 수 있다.
『마음』에 나타난 소세키의 時代批評의 가장 기본적 자세는 주체성을 잃어버린채 모방에 급급한 일본의 현실에 대한 자각이라 말할수 있다. 『마음』에서는 모든 것을 스스로 경험해 본 후 선택해야 한다고 당당하게 말할 수 있는 「나」와 뼈저린 과거경험을 통해 자기만의 사상을 정립시키게 된 「선생」이란 인물을 통해서 소세키의 시대비판을 알아볼 수 있었다.
개인주의의 문제에서는 『마음』의 「선생」의 과거 고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숙부에게 배반을 당하고 금력과 인간에 대해 불신에 빠진 「선생」은 자신은 다른 인간들과는 다르다는 믿음으로 살아간다. 그러나 「선생」은 자신의 이해타산을 위해 「K」를 배신하게 된다. 여기에서 근대적 개념의 개인주의의 극치를 확인할 수 있다.
「선생」은 유년시절을 회상하면서 자신의 성격과 가치관의 변화를 부모의 갑작스런 죽음으로 설명한다. 어린 시절 부모로 인해 맞닥뜨리게 된 어두운 현실과 그것을 혼자서 스스로 감당해야 하는 과정에서 정립된 인간불신의 가치관과 성격은 작품 속에서 부정적으로 나타나 있다.
「K」에 대한 죄책감으로 힘겨운 삶을 살아가던 「선생」은 속죄의 의미로 병에 걸린 장모를 헌신적으로 간호한다. 그것을 개인에 대한 사랑을 벗어난 더 큰 의미의 인류에 대한 사랑으로 승화시키려 하였다. 그러나 그것은 실패로 끝났고 장모의 죽음은 인간의 본능적인 이기주의라는 약점을 각인 시켜 주는 것이었다. 明治천황과 노기장군의 순사는 明治시대의 종언을 효과적으로 알려주고 있다. 그리고 이들의 죽음을 대하는 「선생」과 「나」, 「나」의 아버지의 반응을 각각 보여 줌으로써 신구세대와 서민층과 지식인층의 국가인식의 차이를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선생」과 「K」의 죽음의 동기는 표면적인 자기와 내면적인 자아의 충돌과 격차에서 오는 갈등과 수치심, 인간관계의 단절에서 온 고독감으로 살펴보았다. 개인적인 죽음으로 보이던 「선생」과 「K」의 자살은 「선생」이 明治 정신을 위해 순사하면서 시대적 죽음으로서 의미가 확대된다. 시대를 순조롭게 적응하지 못한 「선생」과 「K」의 죽음은 明治시대에 자신의 자리를 찾지 못한 지식인층의 비극이었으며, 明治의 모순과 혼란이 끝나기를 바라는 마음과 새로운 明治시대가 재생할 수 있기를 바라는 소세키의 생각이 투영돼 있다.
인간은 사춘기라는 과정을 겪으면서 성숙한 인간으로 다시 태어난다고 한다. 갑작스럽게 신체적 변화를 겪고 자아인식을 하게 도면서 내면의 다양한 혼란을 겪는다. 그러한 과정을 슬기롭게 극복하고 나서 비로서 어른이 된다고 한다. 이러한 과정이 明治시대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낡은 것을 보내고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는 시기에는 혼란이 필연적으로 야기되고, 그에 대한 비판과 다양한 평가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새로운 것과 낡은 것이 적절히 공존 시켜 나갈 수 있을 때 더욱 발전을 거듭할 수 있을 것이다.
과도기적 혼란기였던 明治 시대를 보내면서 소세키는 어두운 미래가 아닌 밝은 미래를 보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그것은 「나」라는 인물이 있기 때문이다. 「나」는 작품의 등장인물중에서 가장 신세대로서 성실하고 자신의 전세대로부터 교훈을 얻으려고 하는 슬기로운 인물로 설정돼 있다. 그리고 「나」는 자기의 가치를 알 수 있고 내면의 진실과 외부로부터 잗아들인 사상을 상대화 시켜서 볼 수 있는 인물이다. 이처럼 구시대의 인물들과는 다른 모습을 보이는 「나」가 이끌어갈 시대를 기대하고 있었을 것이다.
§ 참고 문헌
◎ 나쓰메 소세키, 『마음』., 범우사, 1990
◎ 이희수, 「나쓰메 소세키의 마음론 -선생의 윤리적 의식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1997
◎ 최해수, 「나쓰메 소세키의 마음 소고 -선생의 성격 고찰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1997
◎ 이미정, 「나쓰메 소세키 마음론 -세사람의 죽음을 통해서 본 메이지 정신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1997
  • 가격2,3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1.06.07
  • 저작시기2001.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896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