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무용의 역사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원시
1)원시 무용의 의미

2. 고대
1) 이집트
2)그리스
3)로마

3. 중세
1) 중세의 행렬 형식의 춤
2) 중세의 특이한 춤 형태
3) 중세의 민속 무용
4) 중세의 연희춤

4. 르네상스
1) 발레의 시작

5. 현대무용
1) 던컨 스타일
2) 현대 무용의 정신

본문내용

있어서도 떨어지는 것이라는 인식을 불식시키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로 무용가들은 자유롭게 순수 음악과 무용 음악의 경계 없이 음악을 선택할 수 있었고 따라서 훌륭한 음악성의 도움을 받게 되었다.
던컨의 춤은 전통적인 발레의 기법이나 무용 사상으로부터 탈피한 것으로서 무용을 개인 표현의 수단으로 사용하였다. 그녀의 테크닉은 달리기, 건너뛰기 제자리뛰기 등 단순하고 복잡한 기교가 없는 움직임이었으나 강력한 힘을 지닌 것으로 묘사되고 있다. 그녀는 단순해 보이는 동작을 열정을 가지고 음악에 맞추어 춤추었으면 음악을 대담하게 사용하였다. 그녀는 날씬한 편은 아니었으며 중년이 되어가면서 더욱 더 살이 붙었지만 춤을 출 때면 장대하고 숭고하며 또한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보였다고 한다. 이러한 그녀의 춤 움직임에 대한 서술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던컨의 움직임 이상은 자연스러운 움직임에 있다. 이는 움직임이 성격에서 기초적이고 일상적이며 꾸미지 않은 것일수록 무용가의 개성이나 개인의 표현성을 잘 드러낸다는 던컨의 믿음에 근거한 것이다. 그리하여 그녀는 움직임을 체계화하고자 하는 시도도 하지 않았고 따라서 후대에 던컨 스타일을 대변하는 체계적인 움직임 시스템도 없었다. 이사도라는 무용사에서 처음으로 등장한 진정한 의미에서 가장 뛰어난 솔로 공연자였다. 그녀는 자신의 본능적인 감정에 기초한 아주 개인적인 춤을 추었기 때문에 그녀의 스타일은 테크닉을 체계화될 수 없었고, 공연에 있어서도 자유 정신으로 가득 찬 자발성의 이미지 창조를 목표하였기 때문에 종종 그녀의 춤은 완전한 즉흥처럼 보였다. 이러한 이사도라의 춤을 보고 20세기 초엽의 또 다른 천재적인 무용수였던 니진스키는 이사도라와 같은 춤 스타일은 아무런 연습도 필요로 하지 않고 그냥 할 수 있는 것이라고 말하였으나 그녀의 예술을 존경한다고 얘기하였다.
이사도라가 살았던 시기에 그녀는 종종 여권주의자(feminist)라고 불리웠다. 왜냐면 그녀는 여성을 위해 춤추는 신체를 재정립시켰기 때문이다. 그녀는 미래의 무용가는 요정이나 아름다운 여정 혹은 요부로서가 아니라 순수하고 훌륭한 표현체로서의 여성으로 춤추어야 한다고 이야기하였다. 그러나 그녀의 작품이나 글에서 나타나는 여성은 종종 당대 여성성의 전형적인 특질을 보이거나 이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사실에서 추론해 볼 수 있는 것은 던컨은 당대에는 혁명아였지만 여권운동 비평가들이 지적하듯이 가부장제의 지배적인 규범 속에서 여성들이 대립적인 이미지나 재현 양식을 창조해 내기는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과격론자이며 급진파로서의 던컨도 구여성상의 전복과 새로운 여성상의 재정립과 같은 문제에서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2) 현대 무용의 정신
던컨은 이후의 많은 현대 무용가들뿐 아니라 발레 무용수들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그리하여 1920년대와 30년대에 미국과 독일을 중심으로 많은 현대 무용의 추종자들의 활발한 활동으로 인해 현대 무용이라고 하는 새로운 무용 예술 유형에 대한 인식이 정착되게 되었다. 현대 무용을 표방하는 자연스럽고 표현적이며 근본적인 움직임 어휘는 우선적으로 발레 동작의 판에 박힌 체계화된 움직임 어휘를 거부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현대적인 관심사를 담고 현대적인 내용을 지닌 현대 무용은 발레에서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왕자나 공주 혹은 마법 이야기와 같은 주제에 관련된 인위성이나 허구성에 비해 훨씬 현실적이고 실제성을 지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현대 무용의 새로운 움직임 어휘와 내용을 통해 발레의 장식적이고 가식적인 감정표현보다 광범위하고 풍부하고 강렬한 감정표현이 가능하게 되었다. 따라서 20세기 초엽 새로운 춤이 등장하였을 때 비평가들은 발레와 대비되는 현대 무용의 표현성에 주목하여 '표현적인 춤(expressive dance)'이라고 지칭하기도 하였다.
현대 무용의 최우선적인 목적은 구경거리가 아니라 안무자의 감정적 경험과 직관적 인식 혹은 포착하기 어려운 진실 등의 자신의 생각이나 아이디어 그리고 세계관을 표현하고 전달하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발레의 대규모의 굉장한 장치와 화려한 무대의상 대신 단순하고 순수한 의상과 간단하면서 조각적인 무대장치와 함께 당대의 음악에 맞추어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현대 무용의 근본정신은 바로 자유라고 할 수 있다. 즉 여하한 움직임이나 기법 혹은 표현방식이나 아이디어를 허용하는 자유정신에 있다. 현대 예술 일반에서 현대성이란 예술의 자율성 혹은 독립성(autonomy)을 뜻하고 있다. 예를 들어 회화의 현대화는 화면 자체의 자율이나 독립으로부터 가능해진 것이다. 이는 그리는 대상이 되는 외적인 대상 혹은 화면 바깥의 것으로부터 독립하여 화면 자체가 자족적인 의미를 지니게 됨으로써 현대화가 이루어졌다. 인상주의에서 출발하여 형식주의, 입체파에 이르기까지 순수 회화는 바로 독립적이 주목의 대상으로서 화면의 독립에서 가능해진 것이다. 따라서 무용에서 이러한 현대성의 특징은 우선 대본이나 이야기 전개로부터 탈피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본래 극적인 춤의 구조를 지닌 발레와 같은 무용 형태에서 점차 시적인 형태로 나아갔다. 종래 마임적인 움직임에 의존하던 무용 움직임의 이야기 방식이 무용시적인 움직임이나 추상적인 움직임으로 변화하였다. 그리하여 움직임 자체 내에서 발견되는 정조적 의미에 주목하게 되었으면 발레의 인위적 기교로부터 탈피함으로써 움직임의 순수성을 찾는 계기가 되었다. 플랏으로부터 탈피함으로써 움직임의 시(poetry of motion)라는 개념이 현대무용과 함께 등장하게 되었고 무용의 의미를 설명하는 데 상징이나 추상이라는 용어가 개입되게 되었다. 그러나 진정한 현대성은 움직임이 감정표현으로부터도 독립하여 순수 움직임 그 자체로 나타날 때라 볼 수 있다.
현대 무용의 출현 이후 무용시와 무용극이라는 개념이 구체화 되었는데 무용시란 추상적인 무용의 형태로서 움직임 언어의 상징성과 이미저리와 은유에 의해 구성되는 형태이고, 무용극 형태는 극적인 긴장과 캐릭터와 플랏에 의해 진행되는 서술적 무용형태로서 이 둘간의 구분이 분명해졌다.
참고문헌: 무용의 이해(김말복 지음, 예전사, 1999)
  • 가격2,3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1.10.29
  • 저작시기200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02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