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교육에서 이론의 위치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문학 교육에서 이론의 위치

1. 문학 교육의 새로운 모색

국어 교육 연구는 그 동안 학문적 정체성(正體性) 확보룰 위한 논의를 활발이 전개하여 왔다. 이런 과정에서 국어 교육학은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의 대한 합의를 얻어내려는 노력을 전개하였다. 이런 논의를 통하여 국어를 대상으로 한 국어교육은 사용으로서의 국어 활동과 문화로서의 국어 활동이라는 두 원리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견해를 정리하기에 이르렀다.


2 . 문학 작품의 교육적 의미

1) 「국화 옆에서」의 교육적 분석

2)[국화 옆에서]의 문화 교육적인 의미

3) 『국화옆에서』의 교육적 의미에 대한 비판


3. 이론의 문학 교육적 의미



4. 맺음말-열린 가능성

그리고 그 가능성과 길은 무수히 열려 있다고 할 수 있다. 문학만이 아닌 교육, 문화라는 더 넓은 범주 속에서 문학 교육이 실천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다만 범주와 계열이 약간씩 다른 이들 사이의 관계를 어떻게 바르게 정립하느냐는 점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또 가능한 길이 많은 만큼 다른 곳으로 빠질 가능성도 상대적으로 많다는 사실도 아울러 명심해야 한다.

본문내용

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여야 한다는 일부 연구자들의 생각에는 필자는 동의할 수 없다. 또한 대중 문학이나 문화를 설명하기 위한 이론들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려는 견해에도 동의할 수 없음을 거듭 밝혀 둔다.
이처럼 급격하게 변화하는 조류를 바르게 파악하기 위해서도 문학 교육과 관련된 제반 이론에 대한 철저한 무장은 절대로 필요하다.
교사를 포함한 고급 독자들이여, 자신이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사실을 학생이나 일반 독자들에게 설명하려고 할 때의 고통스런 기억을 생각해 보자. 이제 이런 고통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지식의 수준에 머물더라도 우선 작품 분석의 이론을 확립해야 한다.
) 그렇다고 해서 방법론의 무정부주의를 용인하는 태도는 아니다. 문학 작품에 따라 분석과 해석에 적당한 방법론을 적용할 수도 있어야 한다. 문학 작품의 올바른 이해와 감상에 도달할 수만 있다면 모든 이론에 대한 정보와 지식을 갖출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런 방법론의 효용을 교육 현장의 맥락에서 점검해야 한다. 이럴 수 있을 때, 문학 교육을 위한 이론들은 살아 있는 이론이 될 수 있으며, 가치 있는 이론이 될 것이다.
국어 교육에서 문학의 중요성을 인정한다면, 먼저 문학을 제대로 알 것을 제안한다. 다음으로 그것이 교육의 제재라는 사실을 문학 교육의 주변에 있는 모든 사람들(교사, 학생, 교육 공무원, 교과서 집필자 등)은 잊지 말도록 권한다. 그리고 교육은 지식의 전달만이 아닌 확대 재생산될 수 있는 투자라는 사실을 상기하도록 하자.
4. 맺음말-열린 가능성
몇 해 전에 어느 기업인이 '세계는 넓고 할 일은 많다.' 는 책을 내어 베스트 셀러가 된 적이 있다. 이 말은 우리의 미래를 책임져야 하는 인재를 양성하는 교육 현장 어디에나 적용될 수 있는 말이기도 하다. 또한 이 말은 우리 문학 교육의 처지에서는 더욱 실감나는 문제 제기적 화두라고 생각된다. 왜냐하면 현재의 국어 교육은 과거의 잘못된 시각에 대한 반성 위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가려는 시점에 서 있기 때문이다.
다른 차원에서는 실용주의 학문에 밀려 문학을 비롯한 인문학과 같은 기초 또는 교양 학문이 위기에 봉착한 상황에서, 문학을 논하는 자나 가르치는 자 모두가 문학을 어떻게 교육할 것인가에 대한 새로운 모색을 할 단계에 이르렀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한다. 특히 대중 문학이나 대중 문화의 거센 도전을 이겨내든지 아니면 그것과 공생할 길을 적극적으로 모색하여야 한다.
이런 시점에서 본고는 우리 문학 교육의 한 단면을 분석하여, 문학 교육에 관련된 여러 이론의 중요성을 점검하였다. 이 과정에서 문학 작품을 가르치고 배우는 것은 교사와 학생이 텍스트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의견을 교환하는 것임을 밝히고자 했으며, 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방편으로 문학 이론과 문화적 배경이 중요함을 지적하였다.
또한 어떤 문학 작품이건 다양한 분석이나 해석이 가능하다는 점도 실천적으로 밝히고자 했다. 이를 위해서 본고에서는 서정주의 '국화 옆에서'를 교육적 차원에서 분석하여, 그 생산과 수용의 문화적 배경을 밝히고자 했으며, 이런 분석과 해석을 중심으로 이 작품이 가지는 교육적 의미를 비판적인 시각에서 바라보고자 했다.
) 이와 같은 문화와 문학 작품, 그리고 문학 이론이나 문학 교육의 이론은 단선적인 관계에 놓이지 않는다. 그러나 그 대략의 상호 관계를 밝히면 다음과 같은 모형으로 그릴 수 있다.
작가
문화 → ↓ (창작)
↖ 문학 작품
↘ ↓ ↔ 문학 이론
독자 (수용)
↓ ↔ 문학 교육 이론
학습자 (문학 교육)
그러나 이런 문제 제기는 또다른 실천이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아무리 정확한 문학 작품의 분석이라고 하더라도, 그 의미화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는 바른 문학 교육의 방법이 될 수 없기 때문이다. 즉 문학을 연구하고 가르치는 자들의 현학 취미나 상아탑의 고고함이라고 비판받을 수 있는 이론을, 실천적인 교육의 현장에 어떻게 끌어내야 할 것인가라는 문제가 앞으로 문학 교육이라는 이론 학문, 실천 학문을 담당한 사람들에게 맡겨져 있다.
그리고 그 가능성과 길은 무수히 열려 있다고 할 수 있다. 문학만이 아닌 교육, 문화라는 더 넓은 범주 속에서 문학 교육이 실천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다만 범주와 계열이 약간씩 다른 이들 사이의 관계를 어떻게 바르게 정립하느냐는 점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또 가능한 길이 많은 만큼 다른 곳으로 빠질 가능성도 상대적으로 많다는 사실도 아울러 명심해야 한다.
<참 고 문 헌>
김대행, 「고전표현론을 위하여」, 『선청어문』20, 1992.
김대행 외 『운당 구인환 교수 정년 퇴임 기념논문집』 등 간행위원회, 1995.
김동환, 「1930년대 말기의 산문정신과 글쓰기의 유형」, 『국어교육연구』,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1994.
김상욱, 「소설 담론의 이데올로기 분석 방법 연구」, 서울대 대학원, 1995.
김윤식, 『한국현대문학사상사론』, 일지사, 1992.
김재홍, 『한국현대시인론』, 일지사, 1986.
김중신, 『소설감상방법론 연구』, 서울대 출판부, 1995.
김창원, 『시 텍스트 해석 모형의 구조와 작용에 대한 연구』, 서울대 대학원, 1994.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창간호, 1994.
서정주 외, 『시와 시인을 찾아서』, 『시와 시학』, 1992. 봄.
우한용 외, 『소설교육론』, 평민사, 1993.
이성영, 『국어교육의 내용 연구』, 서울대 출판부, 1995.
이용주 외, 『국어교육학 연구와 교육의 구조』, 『사대 논총』 46, 1993.
정현선, 『모더니즘의 문화교육적 연구』, 서울대 대학원, 1995.
한계전, 『한국현대시 해설』, 관동출판사. 1994.
John Fiske, "Culral Studies and the Culture of Everyday Life,"
Understanding Popular Culture, Boston Unwin Hyman, 1989.
Ken Hirschkop(ed), Bakhtin and cultural Theory, Manchester Univ. Press, 1989.
R. Williams, 나영균 역, 『문화와 사회』, 이대 출판부, 1988.
  • 가격2,3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2.06.26
  • 저작시기2002.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72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