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회에 있어서 민중신학의 적용의 문제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 론

II. 민중신학의 형성배경과 신학방법론
A. 민중신학의 형성배경
B. 민중신학의 신학방법론과 내용

III. 현재 민중신학에 대한 평가와 과제
A. 민중신학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
B. 민중신학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
C. 현재의 민중신학에 대한 비평적인 평가와 과제

IV. 결 론

본문내용

명철,조하무,고현영,최형묵이 공동논의하여 최형묵이 신학특강시간에 발표한 글이다.
75) 강원돈, "신학하는 방법의 새로운 모색",Op.cit.,pp.142 - 150.
76) 박성준, "한국기독교의 변혁과 기독교운동의 과제",Ibid.,p,173.
77) Ibid.,p.174.
78) Ibid.,p.174.
79) Ibid.,p,181.
80) Ibid.,pp. 181 - 187.
81) 여기서의 신학주체의 전이란, 이제까지 신학을 담당해온 상아탑 신학자로부터 민중적 당파성을 견지한 신학자와 신학도, 목회자, 평신도에게로 신학하는 일의 주체가 옮아감을 뜻한다.
82) 본인이 생각하기에는 조직신학자인 서남동과 성서신학자 안병무와의 차이인것 같다.
83) 강원돈, "신학적 해석학의 새로운 모색",Op.cit.,p.276.
84) EYC 신학위원회, "민중신학의 발전적 계승과 전망", [해방자 예수],1987.2,p.95.
85) 안병무,[민중신학 이야기]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87),p,37.
86) "변화된 상황에서의 민중신학",Op.cit.,p,145.
87) 강원돈, "신학적 해석학의 새로운 모색",Op.Cit.,p.268.
88) "변화된 상황에서의 민중신학",Op.cit.,p142.
89) 조하무, "민중신학 발전에 관한 종합적 연구",Op.Cit.,p.97.
90) 문영탁, "민중신학" -이해와 비판-(켈리포니아 신학대학원 목회학박사학위논문, 1988),p.218.
91) 조하무, "민중신학에 관한 종합적 연구",Op.Cit.,p.98.
92) 대토론, "변화된 현실 속에서의 민중신학이 나아갈 길",[전환기의 민중신학],(천안;한국신학연구소,1992),p.29.
93) 서창원,[민중과 그리스도교 신앙](서울; 나단,1989),p.37.
94) 김경재, " 죽제서남동의 신학사상 ",Op.Cit.,p.511.
95) "변화된 상황에서의 민중신학", Op.cit.,p.150.
96) KSCF 성서연구반, [성서와 실천] I (서울: 민중사,1987),p.23.
97) 김명혁, "신학운동 아닌 사회운동",[성경과 신학] (1983),p.260.
98) 나용화, [민중신학 비판] (서울: 문서선교회,1984),p.103.
99) 김명혁,Op.Cit.,p.260.
100) 정수관,"한국 민중신학 연구" (고신대학 신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1986),p.70.
101) 손봉호, "민중신학이 신학이며 한국적인가", [성경과 신학],Op.Cit.,p270.
102) Ibid.,p.268.
103) 정수관,Op.Cit.,p.71.
104) Ibid.
105) 김경재, "죽제 서남동의 신학사상", Op.cit.,p,511.
106) 민영진, "민중신학의 전승사적 위치와 평가" [한국 민중신학의 조명],Op.Cit.,p.44.
107) Ibid.,p.47.
108) 김경재, "민중신학의 신학사적 의미와 그 평가",Ibid.,p.108.
109) 서진한,Op.cit.,p.103.
110) 서진한,op.cit.,p.134.
111) 문동환, "민중신학의 전망", [기사연무크지 2] (서울: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1990), p.414.
112) "변화된 현실 속에서 민중신학이 나아갈 길",Op.cit.,p.32.
113) 서진한 Op.cit.,p.105.
114) Ibid.,p.105.
115) Ibid.,p.134.
116) 문동환,Op.cit.,p.414.
117) Ibid.,p.415.
118) 노창식, "민중신학과 민중교회의 실천" [예수 민중 민족](천안; 한국신학연구소, 1992),P.648.
119) "변화된 상황에서의 민중신학",op.cit.,p.144.
120) "변화된 현실 속에서의 민중신학이 나아갈 길",Op.cit.,p.32.
121) "변화된 현실 속에서의 민중신학이 나아갈 길",Op.cit.,p.53.
122) Ibid.,p.54.
123) 김경호, "새로운 공동체를 향한 인간혁명",p.1.(이 글은 젊은 민중신학자들의 모임에서 93년 3월 26일 발표한 글이다. 본인도 이 모임에 참여하고 있다. 모임의 구성원은 필자를 비롯해 김경호 목사, 최형묵, 김진호, 정연복, 정혁현, 서재경, 양미강, 김흥겸 등이다.)
124) 정연복, "교회 '대중'의 해방실천 모델을 고민하는 신학을 위하여", P.3.(이글도 젊은 민중신학자들의 모임에서 93년 4월 23일 발표한 글이다)
125) 문동환, Op.cit.,p.434.
126) "변화된 현실 속에서 민중신학이 나아갈 길",Op.cit.,.p.57.
127) 정연복, Op.cit.,P.1.
128) "변화된 현실속에서 민중신학이 나아갈 길",Op.cit.,p.58.
129) "변화된 상황에서의 민중신학",Op.cit.,p.157.
130) 심포지움,"오늘의 교회와 선교, 무엇이 문제이고 어디로 가야 하나?",[신학사상]제73호(한국신학연구소, 1991년 여름),P.371.
131) 노창식, Op.cit.,p.656.
132) 정연복,Op.cit.,p.3.
133) Ibid.
134) 이와 같은 논리는 박성준도 같은 이야기를 한다. "지금은 유연성, 순발력이 필요한 때입니다. 민중운동은 시민운동을 뺨치는 대혁신이 있어야 합니다. 저는 이같은 슬로건을 내걸어 보려고 합니다. '민중의 눈으로 보고(민중의 몸으로 살고), 시민의 방법으로 운동한다.' 비둘기 같은 순결과 뱀같은 지혜를 갖자는 말과도 통할까요 ? 갈릴리 촌놈들이 로마제국의 수도 로마(대도시)에서 예수를 전도했듯이 현재 시민운동이 손대고 있는 모든 분야에 민중부문이 참여해야 합니다", "민중신학의 정치적 지향"(한국민중신학회 3월25일 공개강연회 자료집),P.11.
135) 김경호, Op.cit.,p.2.
136) 민중교회의 한계에 대해서 내 나름대로 생각해보면 지역성보다는 계급성이 강조되고 개인의 인격의 변화 보다는 사회변혁에 과제를 두는 듯한 인상이 있다. 물론 이러한 민중교회의 모습을 지역성을 담보하고 해방의 영성을 채워나가려는 민중교회의 몸부림에 나 역시 주시하고 있다. 이러한 모습이 민중성과 지역성을 담보한 "지역교회"의 모습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35페이지
  • 등록일2002.07.04
  • 저작시기20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78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