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문학사에서 기술된 허균과 김만중 문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북한문학사에서 본 허균의 문학적 특성
2. 우리문학사에서 본 허균의 문학사상
3. 북한문학사에 기술된 김만중 문학의 특징
4. 남한에서 본 김만중의 문학사상

Ⅲ.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어로 소설 작품을 쓴다는 것은 그 사실 자체가 획기적인 사변으로 되며 비상은 용기와 신념이 없이는 불가능한 것임을 확증하고 있다. 실로 서포 김만중은 우리나라 중세 소설 문학 전반을 통하여 국어 소설에 대한 가장 깊은 이해 위에서 창작에 나선 작가로 특출하다. 따라서 김만중은 이조 봉건 통치하의 우리 문학 예술 발전에 있어서 주체적 입장을 공개적으로 천명하고 그것을 창작 실천에 옮긴 최초의 작가이다. 동시에 어느 나라 문학을 막론하고 그 나라의 모국어에 기초하여 문학을 발전시킴으로써만 진정한 문학 발전을 가져 올 수 있다는 그의 선진적 견해는 역사학적으로 확증되었으며 오늘에 있어서도 올바른 과학적 견해이다.
Ⅵ. 결론
현대 문학사를 분단문학사로 이해할 때 분단문학이 민족 분단의 상황에서 비롯된 것이라면, 분단문학의 지향점은 확연해진다. 분단문학은 분단 논리를 극복하고 민족문화의 총체성을 회복하고자 하는 데에 그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제도나 물리적 수단에 의한 분단 극복 이전에 남북한이 하나의 민족이라는 동질성을 갖는 일은 매우 소중하다. 이를 바탕으로 분단 극복의 문학이 통일문학으로 나아가는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21세기가 지시하는 하나의 비전이 이제 우리에게 통일문학사론을 강요하고 있고 그것은 우리 문학사의 거부할 수 없는 흐름이며 앞으로 논의될 통일문학의 핵심적인 주제들이다.
그러므로 이제 우리의 문학은 좀더 거시적 관점으로 전개되어 가리라고 판단된다. 현실 지향적인 자세가 좀더 유연한 자세로 변모됨으로써 한국적 특수성을 인류의 보편성으로 승화시켜 나갈 것이다. 또, 현실과 서정을 적절히 삼투시켜 현실의식과 예술성의 조화를 성취해내며, 인간존중 사상과 실제적인 구현으로 생명사상이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기 이를 것이다. 우리의 혈통 속에 흐르는 원형적인 정서가 세계차원으로 활짝 열리는데 기여할 미래지향적이고, 또 민족동질성을 회복하는데 헌신할 수 있는 문학의 탄생이 요구되고 있다. 새로운 세기를 맞아 피폐되고 흩어진 것들은 하나의 구심점으로 모으고 거기에 재생의 노래를 불러 줄 수 있는 문학인의 자리가 온전하게 다져지길 기대한다.
참고문헌
조선문학사, 도서출판 역락, 1999
설성경, 유영대 공저, 북한의 고전문학, 고려원 , 1990
민족문화연구소, 북한과 우리 문학사 인식, 창작과 비평사, 1991년
문일환, 조선고전문학사, 한국문화사, 1997년
이명선, 조선문학사, 1948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2.07.29
  • 저작시기20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97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