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조정과 신노사관계 ( 구조조정사례 구조조정 사례 )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121
  • 122
  • 123
  • 124
  • 125
  • 126
  • 127
  • 128
  • 129
  • 130
  • 131
  • 132
  • 133
  • 134
  • 135
  • 136
  • 137
  • 138
  • 139
  • 140
  • 141
  • 142
  • 143
  • 144
  • 145
  • 146
  • 147
  • 148
  • 149
  • 150
  • 151
  • 152
  • 153
  • 154
  • 155
  • 156
  • 157
  • 158
  • 159
  • 160
  • 161
  • 162
  • 163
  • 164
  • 165
  • 166
  • 167
  • 168
  • 169
  • 170
  • 171
  • 172
  • 173
  • 174
  • 175
  • 176
  • 177
  • 178
  • 179
  • 180
  • 181
  • 182
  • 183
  • 184
  • 185
  • 186
  • 187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 1 장 새로운 노사관계 모델의 탐색
제 1 절 글머리에
제 2 절 노사관계 발전의 이론적 이해 : 전략적 선택과 호혜성의 발전
제 3 절 경제 선진화와 참여·협력적 노사관계 발전
제 4 절 한국 노사관계의 관성과 한계
제 5 절 새로운 노사관계의 제도화
제 6 절 결 론

제 2 장 IMF 이후 노사관계의 구조 변화와 그 함의
제 1 절 문제의 제기
제 2 절 자료의 성격
제 3 절 노사관계 변화에 대한 평가
제 4 절 노조의 활동과 과제에 대한 인식
제 5 절 인사관리 정책과 선호의 차이
제 6 절 노사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제 7 절 요약 및 함의

제 3 장 구조조정과 노사관계의 전환 사례 103
제 1 절 문제의 제기
제 2 절 연구의 대상과 분석의 틀
제 3 절 사례 Ⅰ: 동성화학
제 4 절 사례 Ⅱ: 한국전기초자(주)
제 5 절 사례 Ⅲ: 한국통신진흥
제 6 절 결론 및 함의

제 4 장 연구의 종합과 함의

참고문헌

본문내용

cannot achieve a significant transformation in the paradigm of industrial relations including the changes of institutions, work place practices, and the consciousness of the core stake holders. In order to put our economy in a more safe and stable high road of future, we may have to find a new paradigm for the 21th century of industrial relations in Korea. This study aims for admitting such demands. In order to get a clear vision for the future, this study tries to critically examine the existing industrial relations practices, extract gists of the bench marking companies which was successful in achieving successful restructuring, cooperative industrial relations, and employment security. Based on those studies, this study tries to present some policy suggestions for the successful adoption of high performance labor-management partnership in Korean context.
The content of this study is composed of three parts. The first part of this study is devoted to embedding the theoretical grounds of alternative industrial relations paradigm in the age of globalization and knowledge economy. The second part of this study is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survey data on the changes of industrial relations after IMF crisis. The impacts of IMF economic crisis and subsequent restructuring on the employment practices are examined in this section. In addition, we try to have a prospective view on the changes and directions of such changes. The third section is allocated in extracting the valuable information and policy implications in the cases of successful Korean companies in their ways of overcoming economic crisis and achieving high performance labor-management partnership.
要 約
IMF 경제 위기의 도래 이후 한국의 노사관계는 근본적 구조 변화의 필요성에 직면하고 있다. IMF 이전 한국의 노사관계는 폐쇄적이고, 경쟁 압력이 약하며, 시장의 팽창이 기대되는 환경 속에서 대립적 노사관계의 제도와 관행들을 구조화시켜 왔다. 그러나 경제의 개방화가 가속도로 진행되고, 경쟁 압력이 강화되며, 시장의 성장 또한 기대되지 않는 환경에서 기존의 노사관계 패러다임은 점점 더 설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 기업들의 유일한 활로는 품질과 생산성을 기반으로 선진국 기업들과 경쟁하는 것이지만, 기존의 노사관계를 변화시키지 않은 채 세계적 기업과 경쟁하고, 경제 시스템을 선진화시킨다는 것은 불가능하게 된 것이다. 아래로부터 저임금 경쟁자들의 도전을 받으면서 동시에 선진국 기업들의 압력을 극복하고 높은 수준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노사관계 역시 새로운 시대적 요구와 정합성을 지닐 수 있도록 변화해야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한국 노사관계의 상황을 총체적으로 점검하고, 기존 시스템의 한계를 넘어 새로운 시대적 상황에 맞는 발전된 노사관계의 변화 방향을 이론적, 실증적 차원에서 모색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 연구는 노사관계 패러다임의 근본적 변화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이에 기초한 제도, 관행, 의식의 혁신 없이는 제2의 IMF는 언제라도 다시 밀려올 수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제2의 경제위기에 직면하지 않기 위해서는 대립과 불신, 반목으로 점철되어 온 기존 노사관계의 한계를 극복하고 변화된 현실 속에서 지식경제 중심의 미래 지향적 경제 시스템에 적합한 새로운 노사관계의 패러다임을 모색해야 한다. 이 연구는 이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기존의 노사관계를 점검해 보고, 한국경제의 급속한 구조조정에도 불구하고 협력적 노사관계를 만들어낼 수 있었던 경험적 사례들의 교훈을 추출하면서, 새로운 시대적 상황에 적합한 노사관계 패러다임의 내용들을 정리하고, 이를 위한 정책적 과제들을 제시하고 있다.
이 연구의 내용은 크게 세 부문으로 나뉜다. 제1부는 우리가 지향해야 할 새로운 노사관계의 이론적 토대를 정리하는 것에 할애된다. 제2부는 IMF 상황하에서 전개된 구조 조정이 한국의 노사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설문 자료를 통해 분석하면서 IMF가 노사관계에 미친 영향과, 노사관계의 전반적 변화 방향, 그리고 현재의 문제 등을 진단한다. 제3부에서는 IMF 경제 위기와 대대적 구조 조정이라는 압력 속에서도 노사협력을 토대로 성공적 구조 조정을 이룩할 수 있었던 한국 기업들에 대한 사례를 통해 이들 기업들이 제공하는 교훈들을 체계화시켜 보고 있다.
  • 가격3,300
  • 페이지수187페이지
  • 등록일2002.08.03
  • 저작시기2002.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01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