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인홀드 니버 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라인홀드 니버의 사상의 개요
1) 인간관
2) 구원관
3) 역사관
4) 윤리관

3. 인간관의 교육적 의의
1) 인간관의 중요성
2) 진보적 종교교육학파와 니버의 도전
3) 니버의 인간관의 기독교 교육적 의의

4. 맺는 말

본문내용

s)에 의하여 구원받을 수 없다는 것이다.
) 결국, 니버는 Coe의 명구였던 교육에 의한 구원 을 근본에서 부정하는 셈이다. 인간이 죄인이라는 병의 깊이는 교육의 방법이나 수단으로는 해결될 수 없기 때문이다. cf. 교육신학, p.271.
한편, 엘리옷은 니버의 이러한 비관적 인간론은 종교교육을 불가능하도록 만들어 버린다고 본다.
) Harrison Elliott, Can Religious Education be Christian? p.178.
엘리옷에 있어서 이러한 비관적 인간이해는 루터나 칼빈에 의해 진행된 고전적 개신교회가 범하여 온 치명적 약점이라고 본다. 이러한 이유에서 엘리옷은 신정통주의 신학을 받아들일수 없다고 보았으며, 또한 종교교육에 불필요한 신학이라고 보았다.
) 교육신학, p.271.
엘리옷은 죄를 어떻게 보았는가? 그에 의하면 죄란, 인간의 책임이기 전에 사회와 환경이 만들어 놓은 희생이다.
니버는 진보학파들의 낙관주의는 두가지 이유에서 근본적으로 수정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① 첫째로 그들이 믿는 인간의 이성과 지혜는 제한되어 있기 때문이다 ② 둘째로 이 사회의 밑바닥에는 충동의 힘이 도사리고 있어, 제한된 이성으로는 이 충동을 극복하기 보다는 그 충동의 종이 되어 버렸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 Ibid., p.273 엘리옷이 계속 니이버와 씨름한 것으로 보아 니이버의 도전은 확실히 무게 있는 것이었음을 엿볼 수 있다.
3. 니버의 인간관의 기독교 교육적 의의
니버는 이간의 윤리적인 정황을 옳게 보려면 인간 본성에 대한 기독교적 이해에 근거해야 한다고 본다.
) 니버에 의하면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되었다. 그러나 인간은 제한과 자유를 지닌 독특한 피조물이다. ①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되었다(lmage of God). ② 인간은 피조물이다(creature). ③ 인간은 죄인이다(sinner).
어떤 사상가가 갖는 인간관이 그의 사상의 성격을 결정적으로 규정할 때가 적지 않다. Reinhold Niebuhr의 경우가 그 좋은 예라고 할 수 있다.
) 고범서, 개인윤리와 사회윤리, p.247.
니버의 가장 독특한 개념은 원죄(原罪)에 대한 교리이다. 이것은 인간이 아담의 죄를 이어 받았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이것은 인간이 자기자신에 대한 관심을 ㄷ 주장하는 죄 가운데로 자연히 또는 불가피하게 빠지는 것을 의미한다.
) William Horden, 프로테스탄트 신학개요, p.162.
인간은 완전한 지식, 완전한 자유, 완전한 정의를 갈망하고 있다. 그러나 자신이 획득하는 것은 그보다 못한 것이다. 인간은 영적 존재이기 때문에 생의 의의나 삶의 목적 등을 가질 필요성을 느낀다. 그러나 인간은 유한하기 때문에 그가 발견한 모든 의의는 위협을 받고 있는 것이다. 인간의 이러한 이중성은 불안을 가져온다.
) Ibid., p.162 ; 박아론, 현대신학은 어디까지 왔는가?, p.99 인간의 이중적 존재론적 환경 속에서 발생하는 고뇌는 교만과 관능성이라는 두 유형의 죄를 유발한다... 그런데 이 두 유형의 죄 중에서 성경과 기독교 사상은 교만을 근본적인 죄로 평가한다. 특히 교만을 근본적인 죄로 평가하는 죄관은 어거스틴 계통의 신학사상에서 철저하다.
니버에 의하면, 인간내부의 갈등의 원천은 인간본성의 이원성(이중성, duality)이다. 인간은 항상 모순과 긴장관계에 놓여있는 존재이다.
그러면 니버의 인간관의 기독교 교육적 의의는 무엇인가? 개혁주의 기독교 교육의 관점에서 볼 때 니버의 인간관에는 몇가지 문제점이 있다.
① 니버는 인간의 죄악을 강조하나, 그의 죄 개념은 철학적이다.
) 박아론, op.cit., p.123 인간이 자연과 자유라고 하는 이중적이며 이율배반적인 존재 구조속에서 갈등과 긴장을 느끼면서 고뇌를 맛보게 된다는 니버의 해석은 철학적인 죄의 개념을 내포하고 있다.
그가 말하는 원죄는 성경적 범주에 속하지 않는다. 따라서 그의 인간관은 성경에 입각한 것이라기 보다 실존주의 철학사상에 입각하여 전개된 것이다.
② 니버에 의하면, 피조성을 거부하려는 것은 죄이다. 죄는 단지 나쁜 행위'가 아니라, 인간이 스스로 자기 중심이 되려는 왜곡'이다.
) 현대신학자 20人, 제7장, p.65.
그러나 소요리문답의 정의에 의하면, 죄는 하나님의 법을 순종함에 부족한 것이나 혹 어기는 것'이다. 원죄이든 사실상 짓는 죄이든 모든 죄는 하나님의 의로운 율법에 대한 위반이다.
) G.l. 윌리암슨,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강해, p.102.
③ 인간존재에 대한 니버의 분석은 심오'하다. 그러나 그는 인간의 본서을 철학적이며 존재론적으로 해석하고 있다. 개혁주의 기독교교육의 관점에서 볼 때, 이러한 해석은 용납될 수 없는 것이다. 성경에 따르면 모든 사람은 영적으로 죽은 상태에서 태어난다. 그 누구도 스스로 자기를 구원할 수 없으며, 하나님이 받아실만한 영적 선을 행할 수가 없다.
개혁주의 기독교 교육에 있어서, 성경적 인간론은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인간관은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좌우한다. 비성경적 인간관은 그릇된 교육철학을 세우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니버의 인간이해는 - 개혁주의 기독교 교육의 입장에서 볼 때 - 그 문제점이 명백하게 지적되어야 한다.
4. 맺는 말
앞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니버의 통찰력은 뛰어나지만 그의 인간관은 성경에 기초하고 있지 않다.
) 박아론, op.cit., pp.122-123.
인간의 피조성에 대한 니버의 해석은 존재론적이다. 그의 인간관은 실존주의의 영향을 받고 있음은 분명하다. 그는 역사적 기독교의 인간관을 포기한 것이다.
) Ibid., p.122.
비록 그의 진지함과 창의성은 인정해 줄 수 있지만, 개혁주의 기독교 교육의 기초로서 그의 인간이해를 받아들일 수는 없는 것이다.
참고문헌
1.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2. An Interpretation of Christian Ethics.
3. The Nature and Destiny of Man
4. Faith and History
5. Creative Minds in Contemporary Theology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2.09.26
  • 저작시기2002.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43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