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커뮤니케이션과 상품미학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머리말

II. 영화에서의 상품미

III. 영화에서의 상품미학

IV. 결론

*참고 문헌 *

본문내용

을 소외 시키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대중들의 자발적 정체성 형성에 도움이 되는가 하는 문제에 대한 대안을 수립하는데도 토대가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상품미학의 기본적인 개념을 바탕으로 영화 커뮤니케이션에서의 상품미를 분석하는데 초첨을 맞추었으며 이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상품미학은 자본주의 사회에 있어서 자본이 이윤 창출을 위해 어떻게 인간의 소비 욕망을 자극하여 소비를 확대하고 재생산하여 그로 인한 대중의 감성 및 일상 문화의 왜곡 현상을 파악해 낼 수 있는 중요한 연구 분야로 다각적인 측면에서 세심한 연구가 필요하다.
2. 영화 커뮤니케이션에서의 상품미학은 영화가 갖고 있는 상품 요소에 의하여 상품미를 형성하고 영화의 여러 장르에 나타난 상품미에 의하여 관객의 가상적 욕망을 형성하기 위한 자본의 소비 전략으로 나타난다. 즉, 소비 사회는 상품미학을 형성하고 전파하기 위한 기제로서 영화의 매체를 이용하였으며 재생산을 위하여 상품미적인 효과를 형성하여 새롭게 구성할려는 의도가 보이고 있다.
3. 영화에서 상품 미학 측면은 반론을 제기할 수 있다. 영화 문화가 상품미학에 의해 완전히 지배되지는 않기 때문이다. 자본주의 영화 문화 영역은 상품미학 이외에 이데올르기적 권력과 저항 문화가 또 다른 축을 형성하고 있다. 그럼에도 오늘날 우리 사회는 상품미학 개념이 출현한 서구의 60년대말, 70년대 초의 상황과 유사하면서, 동시에 아직은 자본이 휘두르고 있는 가상의 힘, 가상의 폭격에 상품미의 본질을 발전시킨다.
따라서 하우크의 상품미학은 상품자체의 사용가치보다는 교환가치, 즉, 자본의 획득만을 추구하여 일반 대중들은 상품의 화려한 외관에 현혹되어 진정한 공동체나 현실의 모습을 망각하고 상품의 단순한 미적 갈망에 빠져들게 되어 충동구매, 물신 숭배등이 정체성과 자기 분열을 유발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물론 영화의 흥행요소인 파괴, 섹스, 교활, 얄팍, 부드러움, 상큼함, 깔끔 등의 과잉 요소가 되는 자극들은 인간의 감각 둔화와 사고의 정지를 도출시키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인간들은 영화가 제고하는 가상 공간을 통해 권태와 나태의 삶과 인간성의 상실을 낳고 있다. 인간의 진정한 감성은 도태되고 모든 감성은 상품미학과 영화의 환상산업으로 장악하게 된다. 이러한 하우크의 주장은 예술가치가 전혀 없는 단지 교환가치에 의해서만 미적 구성이 되는 값싼 미적 대상으로 팔려 나간다는 고정된 시각으로 이론을 전개하고 있다. 또한 단순히 영화의 흥행 요소에 따라 소비자들은 그 상품을 선호하며 예술적이나 디자인적인 가치가 없는 것 마저 영화와 배우라는 상품미로 포장되어 그 가치를 존중하고 최고의 미적 가치로 인정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며 이러한 것들은 소비자를 현혹 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상품미학에 지배되는 영화의 각 요소들과 디자인의 요소들을 재조직할 필요가 있으며 보다 인간적인 면에서 많은 고찰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또한 국내에서 상품미학의 개념 검토가 정교하게 이루어지지 못한 실정을 감안하여 사회의 문화 현실을 읽어내고 진정한 미의 공간을 넓히기 위해 세분화된 상품미학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대중 매체의 가장 기본이 될 수 있는 영화에 대한 상품미학이 여러 각도에서 세밀하게 연구 되어져야 한다.
참고 문헌
(학위 논문/석사)
· 조철현, 대중문화의 상품미학과 스타 이데올로기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 1994
· 이재준, 상품미학과 현대 건축디자인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 1996
· 김철종, 소비 사회와 매스 미디어의 상품미학 형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 1995
· 최자경, 한국 영화포스터의 레이아웃에 관한 연구, 단국대, 1991
· 변정아, 영화포스터에 있어서 팝아트의 영향에 관한 연구, 상명대, 1991
· 도태곤, 영화의 제품적 구성요인에 대한 소비자 태도 연구, 연세대, 1994
· 김은주, 영화의 주체구성과 이데올로기 작용에 관한 연구, 중앙대, 1994
· 정종순, 영상매체의 포스트모던 현상에 관한 일고찰, 고려대, 1994
(단행본)
· 볼프강 F. 하우크 지음; 김문환 옮김, 상품미학비판, 이론과 실천, 1991
· 미술비평연구회 대중시각매체연구분과 엮음, 상품미학과 문화이론, 눈빛, 1992
· 김상준 지음, 프로이트와 영화를 본다면, 집현전, 1996
· 앙리 아젤 지음, 조병옥 역, 영화미학, 탐구당, 1990
· 김훈순 역, 영화 커뮤니케이션, 나남출판, 1994
· 유리로트만 지음, 박현석 역, 영화 기호학, 민음사, 1994
· 이동연, 문화산업의 새로운 이해를 위하여, 문화과학, 1993
· 이광대, 미셀푸코, 민음사, 1991
· 노동자 대학 교재 편찬 위원회 편, 정치 경제학, 백산서당, 1993
· 앙드레바장 지음, 성미숙 옮김, 오손웰즈의 영화미학, 현대미학사, 1996
· 권중운 편역, 뉴미디어 영상미학, 민음사, 1994
· 박성수, 전수일, 이효인 지음, 영화 이미지의 미학, 현대미학사, 1996
(해외 서적)
· W.F Haug, Toward a critique of commodity Aesthetics, Commodity Aesthetics
Idealogy and culture, 1986
· P.Adam Sitney(ed)., The Avant Garde Film, NewYork Univ Press, 1978
· Germaine Dulac, The Avant-Garde Cinema, Form Visual and Anti-Visual Film
· Lucy Fischer, American Experimental Cinema, The Museum of Modern Art, 1984
· Hans Maguus Enzenberger, Constiuents of a theory of the media, Michael Koloff(ed).
The Consciousness Indestry, NewYork, Seabury, 1974
--------------------------------------------------------------------------------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2.10.29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92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