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의 기초개념으로서 양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론

II. 양심의 개념
1. 다양한 용례
2. 칸트와 헤겔의 양심개념
3. 법개념으로서 양심

III. 양심의 효력
1. 법과 양심의 충돌
2. 양심적 거부

IV. 양심범
1. 확신범과 양심범
2. 보편화가능성
V. 열린 사회

본문내용

Traktat uber kritische Vernunft, Tubingen, 1991, 35면 이하; 비판적 합리주의의 기조 위에서 법효력의 문제에 대한 검토는 Reinhold Zippelius, Kollision des Rechts mit heterogen Normen und Pflichten, FS-Hans Liermann, 1964, 305-322면; 라드브루흐는 계몽주의시대의 작가 레싱(G.E. Lessing)의 『나탄현인(Nathan der Weise)』에 나타난 불가지론을 상대주의로 표현하였다. 이에 대해서는 이재승, 나탄과 빌라도의 알레고리, 『민주법학』 7호, 1994, 141쪽 참조.
물론 차이의 인정요구는 정당한 것과 부당한 것간의 투쟁도 아니며, 진리와 오류간의 투쟁이 아니라 정당한 것들간의 긴장이다. 즉 세계관의 윤리적 등가성을 인정하도록 요구한다. 국가이성 대 양심간의 싸움에서 비판적 태도를 배제하고 양심에 대하여 이데올로기적 공격을 일삼는 사회는 아직도 닫힌 사회이다. 열린 사회라면 통상의 범죄와 양심적 이유에 기한 법규위반행위를 헌법상의 기본권조항, 헌법재판, 실정법상의 정당화사유, 책임조각사유, 여의치 않을 때에는 양형의 단계에서 나아가 사면권의 행사를 통해서 합리적으로 분별하게 될 것이다. 이제 열린 사회로 차원이동을 감행할 때가 되었다.
abstract
8
conscience as basic concept of human rights
Jae-Seung Lee
Prof. of Law
Kookmin Univ.
This article aims at defining conscience and taking validity claim of conscience into account. It has been recognized in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1948) and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1968) that everyone has the right to freedom of conscience. Thus that right has been regarded as a fundamental human right in the liberal states.
Conscience can be defined as human being's innate moral sense of right or wrong. The origin and essence of conscience has been elucidated from the theological, philosophical or psychological viewpoint. Philosophical concepts of conscience are summarized as the Kantian subjectivist and the Hegelian objectivist version. But if we adopt the latter, individual conscience should be simply submitted to the ethical horizon of the dominant majority or community. Therefore, only the subjectivist version of conscience is adequate for supporting freedom of conscience.
To begin with, this article separates concept of conscience from its validity claim. If the absolute freedom is permitted to the conscience in the subjectivist form, then conscience would be degraded into the principle of ethical anarchy. Secondarily, we evaluate the concrete contents of conscience from the viewpoint of universalizability. In that case the universalizability test should not be reduced to the dominant ethical view of majority or legal order. To the contrary, universalizability presupposes ethical pluralism and a inviolable fundamental right to differ from the dominant moral standards.
In conclusion, the universalizability principle demands open society. The open society is the community which extends the ethical horizon of the majority in order to include ethical minority within the community without interruption. In the open society a prima-facie crime which is contrary to positive law may be justified as an exercise of right to freedom of conscience, if the intent and performance of such crime is universalizable. At present, recognition of conscientious objection to military service is the first step towards open society in Korea.
주제어(keywords)
개방사회(open society), 보편화가능성(universalizability), 소수자(minority), 양심(conscience),
양심적 거부(conscientious objection)
  • 가격2,3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2.11.14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19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