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경제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중국의 대외무역 전망

3. 대중국 교역관계 분석

4. 대중국 교역확대 방안

5. 결 론

본문내용

밀한 분석에 기초한 대중국 홍보논리는 개발이 요망된다.
⑤ IMF 사태 이후 한국의 투자 여력은 크게 위축되어 대중국 투자에서도 외화절약형의 진풀을 적극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 즉 합자투자보다는 합작투자 측면이 자본의 부담을 덜 수 있는 방안이다. 또한 중국 진출을 겨냥하고 있는 국가·지역은 매우 많기 때문에 중화경제권이나 선진권 국가·지역들과의 컨소시엄 구성 등으로 자금부담을 완화하면서 중국 진출을 모색하는 것도 유용한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5. 결 론
다가오는 새로운 천년에 한국이 직면하는 과제는 하나, 둘이 아니겠지만 중국과의 경제교류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증진시켜 나아갈 것인가도 우리의 피할 수 없는 과제일 것이다. 중국은 1979년 개혁·개방정책을 추진한 이래 경제발전과 대외무역 측면에 눈부신 성과를 달성하였다. 즉 중국은 1998년 현재 수출 1,838억 달러, 수입 1,402억 달러로 436억 달러의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하여 '세계의 성장센터'란 호칭을 얻고 있다. 또한 내수시장의 개방과 수출입 권한의 점진적 확대에 따라 외자기업의 대중국 투자진출이 급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중국이 앞으로 대외무역체제를 지속적으로 개혁·개방하고, WTO의 가입으로 세계경제권에 편입되고, 9.5계획전략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경우 2000년까지는 세계의 중진국권으로 진입하고 2010년까지는 미국, 일본에 이은 세계 3대 경제대국으로 부상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한·중건의 교역규모는 1997년 현재 237억달러로 연평균 37.4%의 폭발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그 결과 대중국 무역수지는 1993년 처음 흑자 이후 1997년 현재 3,456백만달러를 기록하였다. 그리고 한국기업들의 대중국 직접투자는 1997년 기준 3,494건에 32.8억달러(잔존투자기준)을 기록하는 등 1993년 이후 한국의 최대 투자대상국으로 부상하였다. 그러나 1998년 동아시아의 금융위기와 중국의 내수시장의 경기부진, 수입규제 강화 그리고 한국의 IMF사태의 여파 등으로 1998년 1∼9월 현재 한·중간의 교역은 137.5억 달러로 약간 감소한 8.2%의 비중을 점유하였다. 특히 1998년 1∼9월 현재 대중국 수출은 그 비중이 9.1%로 사상 처음으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대중국에 대한 교역을 확대시키기 위해서는 ① 중국경제의 중장기적 변화 및 한·중 교역관계의 중장기적 전망에 기초하여 대중국 교역확대를 구축해 나가는 전략적 시각이 필요하다. ② 한국의 대중국 교역은 최근 국제분업에 입각한 산업 내 무역이 상당한 진전을 보이고 있지만, 이를 더욱 활성화해야 할 것이다. ③ 대중국 투자기업의 경영활동 지원강화로 원부자재 수출 촉진과 틈새품목 및 타겟아이템(TI) 품목을 선정하여 집중적으로 중국시장을 개척해야 할 것이다. ④ 중국의 대도시 고소득층을 겨냥한 소비재 수출과 자본재 수출에 주력해야 한다. ⑤ 지방정부와 접촉 강화로 수출선 다변화와 구상무역 등 외화절약형 교역방식을 고려해야 한다.
대중국 투자부문에 있어서는 ① 기존의 한국기업들이 대중국 투자는 지리적·문화적 인접성을 활용하여 단기적 효율성을 추구하는 성격의 투자가 중심이 되었지만 앞으로는 중국의 경제여건 및 정책의 변화에 맞추어 장기적 시각에서 투자가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② 중국시장 진출에 핵심요소가 되는 자금조달(financing)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경제개발협력기금(EDCF), 연불수출자금, 해외투자자금의 확대 및 국제금융기구와 국제금융시장 자금의 효과적 활용을 강구해야 한다. ③ 중국의 지역별 특성, 지역별 시장분할, 지방정부의 경제적 자주권 등을 고려한 지역별 경제협력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④ 한국의 대중국 투자는 단순가공업에서 벗어나 기술집약적 산업으로 확대되어야 한다. ⑤ IMF 사태 이후 한국의 투자여력은 크게 위축되어 대중국 투자에서도 외화 절약형의 진출을 적극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우리는 중국의 대내외적 경제환경요인이 변화를 옳게 해석하고 능동적으로 대처해야 한다. 우리는 현재 중국과의 교역 및 투자에 있어 중국을 알기 위한 사전조사를 철저히 하고 내실 있는 자세를 가다듬는 것이 중요하다.
참고문헌
1. 김익수, 중국의 WTO 가입이 중국경제와 한·중 경제에 미치는 영향, KIEF, 1995.
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의 제9차 5개년계획 및 2010년까지의 장기발전계획, CAS, 1995.11
3. 대한상공회의소, 중국의 유통산업현황과 진출전력, 1994
4. 대한상공회의소, 중국경제 2000년 예측과 전망, 1996.
5. 백홍기, 외국유통업체 중국진출 현황과 대외개방 전망, 한중경협소식, 1998.4·5
6. 산업자원부·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99 대한무역투자 전략회의, 1999.
7. 신태용, 중국의 산업정책과 한·중 경제협력 방향, 한중경협소식, 1998,7·8.
8. 오용석, 중국의 WTO체제 이행과 무역구조변화, 1997.
9. 유세준, 대중국 투자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생산성논집, 제 12권 제 4호, 1998.
10. 이민형, 21세기 중국의 경제변화와 우리의 진출 확대전략, 한중경협소식, 1998,8·9
11. 통상산업부, 중국투자의 경제적 효과, 통상무역연구자료 98-5, 1998.
12. 최상래, 중국의 최근 투자환경변화와 한국기업의 진출방향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산업연구 제8집, 1997.
13. 최상래, 중국의 대외무역구조 변화에 따른 우리의 대응전략, 경기대학교 한국산업경제연구소, 1998.
14. 한국무역협회, 최근 대중 수출동향 및 무역흑자 요인, 1998.
15. 한국무역협회, 중국투자 우리기업의 경영실태와 성과, 1995.
16. 한중경협, 한중경협소식, 1998, 1·2.
17. 중국신식보, 1999년 4월 7일.
18. DRI/McGraw-Hill, World Economic Outlook, vol.2.3, 1997.
19. WEFA Group, Asis Economic Outlook, 1997.
20. World Bank, Global Economic Prospects and the Developing Countries, Apr. 1993.
  • 가격2,3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2.11.25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31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