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문화사업의 과제와 향후전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배경

Ⅱ. 한국 문화산업의 성장과 위기

Ⅲ. 7大 발전 과제
1.글로벌 스탠더드의 정착
2.대표 브랜드의 육성
3.재원 확보 및 체계적인 자금 운용
4.전문 인력 확보 및 육성

Ⅳ. 성공 사례 : 난타

Ⅴ. 제언

본문내용

라서 문화산업을 관장하는 정부 기관이나 기업 임직원에 대한 윤리경영 의식이 도입되고 철저히 지켜져야 할 필요가 있음
Ⅳ. 성공 사례: 난타
------------------------------------------------------------------------------
Ⅳ. 성공 사례: 난타
------------------------------------------------------------------------------
Ⅳ. 성공 사례 : 난타
- 국내 공연의 여건
·당시 국내 공연 시장은 극히 협소했으며, 작가주의가 지나치게 강조되고 있어 공연의 대중화가 어려운 시기였음
·순수하게 문화상품 자체 경쟁력을 기반으로 해외에 수출된 사례가 전무하였으며 해외에서 국내 문화의 이미지는 전무한 상태였음
- 제품 컨셉트 및 기획 의도
·송승환 대표는 PMC(주)를 설립하면서 극단의 기업화를 추구하였고, 공연의 세계 진출을 위해 세계 어디서라도 공연할 수 있는 비언어 연극(non-verbal performance)을 기획함
·1997년 호암아트홀에서 식당 요리사들이 펼치는 에피소드와 한국적 사물놀이의 리듬을 결합한 타악 퍼포먼스로 상품화함
·문화 공연은 어떤 성향을 갖추었든 간에 관객을 배려하는 차원에서 기획되어야 한다는 인식을 갖고 있었음
- 커뮤니케이션 전략
·공연 문화의 대중화를 위해 창의적이며 역동적인 작품을 기획했고, 대중적 마케팅 소구를 위해 간결하고 쉬운 어감의 「난타」로 브랜딩함
·커뮤니케이션의 효율성 극대화를 위해 PC 동호회를 첫 타겟으로 잡고 온라인 마케팅을 실시함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확대하기 위해 관객의 입소문, 언론 홍보, 그리고 연극계의 선도자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자극함
- 해외 마케팅 전략
·1998년 해외 시장 공략을 위해 도쿄, LA, 뉴욕, 파리, 런던 등 5개 도시의 공연 프로모터를 방문함
·성공적인 해외 마케팅을 위해 전문 공연 에이전트인 'The Broadway Asia Company'와의 배급 계약 체결함(단, BA社가 추천하는 세계적 연출가와 함께 「난타」에 대해 추가의 수정 작업을 해야 하며, 해외 진출 이전에 세계 공연 프로모터들에게 노출시키기 위해 영국의 에딘버러 페스티벌에 「난타」를 출시해야 하는 조건)
·이에 따라 「난타」는 한국 연출가 3명과 외국 연출가 3명에 의해 수 차례수정·보완되었으며, 브로드웨이의 '쇼닥터'에 의한 4차례의 점검이 있었음
·이 과정을 통해 「난타」는 연극적인 드라마와 리듬의 세련미가 보완되었고, 초기 작품에 비해 스피드와 오락성이 강화됨
- 경영 혁신 및 성과
·고정적인 수익원 창출을 위해 국내에서는 최초로 정동 극장의 상설화를 추진함
·상설 극장의 유지를 위해 외국인 관광객에 대한 활발한 관광 마케팅 및 '어린이 난타' 등 브랜드를 확장시킴
·2001년 78억 원의 매출과 28억 원의 순이익을 올렸으며, 최근에는 공연 업계로서는 처음으로 코스닥 등록을 준비 중임
·타악이 아닌 또 다른 형태의 비언어 매개체인 춤을 통해 표현하는 디지털 시대의 신감각 퍼포먼스 「UFO」를 새롭게 런칭함
·최근에는 2004년 3월 22일부터 4월 25일까지 5주간 브로드웨이 42번가의 뉴빅토리극장에서 20만 달러의 개런티를 받고 공연하기로 하는 계약을 체결함
Ⅴ. 제언
- 문화산업을 성장 엔진으로 하여 새로운 경제 도약을 이루게 함
·한국의 문화산업 발전 수준은 초보적이지만 미래 성장 잠재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됨
·장기 불황이 지속되고 있는 일본은 문화산업의 핵심역량을 바탕으로 미래의 새로운 경제 대국으로 발전할 수 있다고 평가되고 있음
·한국은 성장주기상 캐즘에 빠진 문화산업의 도약을 위해서는, 질적 경쟁력 창출을 위한 7대 과제의 실행과 함께 다음과 같은 점이 강조되어야 함
문화산업의 사회적 홍보
- 우리 문화의 新가치 발굴 및 자긍심의 고취
·전통문화에 대한 재조명을 통해 새로운 가치 발굴하고 이미지를 포지셔닝해야 함
·자국 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바탕으로 풍부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 도출함
- 문화산업에 대한 매력도 고취
·투명하고 공정한 거래 관행을 정착함으로써 투자자들에게 신뢰를 줘야 함
·사업의 위험성 회피를 위한 다양한 수단 마련을 통해 기업들의 사업 참여 의지를 고취해야 함
문화산업의 정책적 입안
- 중장기 문화 정책의 입안
·문화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위해 정부는 정책의 전문성과 신속성, 그리고 일관성을 확보해야 함
·또 문화산업의 '창작자­촉매자­향수자'간 선진 환경(법과 제도 개혁 및 세제 개선)을 조성해야 함
- 선택과 집중을 통한 전략 콘텐츠산업 분야 집중 육성
·상대적인 경쟁 우위를 갖고 있는 IT 관련 인프라 및 우수 전문인력을 활용을 통해 차별적인 문화콘텐츠의 경쟁력 확보가 요구됨
·한편, 우리만의 고유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게임이나 애니메이션도 적극 개발하여 글로벌 차별화에 노력해야 함
- 문화상품 유통 프로세스의 선진화
·낙후된 유통 프로세스를 장기적인 안목에서 개선해야 함
·그리고 균형 잡힌 예산 배정으로 문화의 대중적 소비 유도뿐 아니라 이에 대한 적절한 보상으로 창작자의 창작 의욕을 고취해야 함
- 고품질 문화콘텐츠 개발 지원
·단기적인 산업 혹은 경제적인 측면만을 위한 문화콘텐츠 개발을 지양하고, 순수 예술 기반에 대한 투자 활성화를 유도해야 함
·순수 예술 분야와 응용 분야간 긴밀한 자원 공유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문화산업의 질적 경쟁력을 확보해야 함
- 고급 전문인력의 체계적 양성
·관련 학과의 전문 강사진 양성 및 학생들의 현장 경험을 위한 인터십 제도를 마련해야 함
·산업계의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 학내 커리큘럼을 마련해야 함
*참고 문헌
-·http://www.kha.or.kr/journal/9901/jan5.htm
-·임창희,『한국형 팀제』(삼성경제연구소 , 1996)
-·http://cuvic.chungnam.ac.kr/∼songkc/평론/팀제해설.htm
-·http://www.interlink.co.kr/company/com02_02.asp
-·http://www.centerworld.com/acad/prof/c대/02_0503.htm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3.09.06
  • 저작시기2003.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50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