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와 조선의 도자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려와 조선의 도자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머리말

Ⅱ.고려와 조선의 도자기의 특징
ⅰ.고려시대의 도자기 -청자를 중심으로
ⅱ.조선시대의 도자기
1)분청사기
2)조선백자

Ⅲ.맺음말

본문내용

롭고 흥미로운 조형으로 발전하였다. 한편 고종 말기 이후의 백자청화는 그 이전에 비해 靑華의 발색이 너무 짙고 기면의 문양으로 가득 메워 여백이 줄어들며 필치는 거칠고 치졸해졌는데, 이는 대량생산을 위해 틀로 찍어 접합하는 방법등이 대두되었기 때문이었다.
③백자상감(白瓷象嵌)은 순백의 순도 높은 태토의 기면에 분양을 새기고 자토를 메워 넣고 그 위에 백자유약을 시유하여 번조하면 문양이 검은 색으로 나타난다. 백자상감은 고려의 상감기법을 이어받은 것으로 질에 따라서 두 종류로 구분된다. 우선 연실의 고려백자에 黑象嵌을 한 것이 있는데 이것은 문양이 상당히 세련됐다. 다음은 元, 明代와 같은 硬質白瓷에 흑상감한 것으로 광주 초기 관요인 우산리와 번천리 요지에서 번조한 것들이다.
④백자철회(白瓷鐵繪)는 백자태토를 사용하고 철분이 많이 함유된 자토로 문양을 시문한 것으로서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대체로 15세기에서 17세기에 본격적으로 제작되었다. 이것에는 당시의 회화수준에 어울리는 상당히 세련된 문양들이 나타난다. 또 조선 후기에는 청화나 산화동 등과 혼용되어 사용되기도 하였다.
⑤백자동화(白瓷銅畵)는 순도 높은 백토로 성형된 器面에 산화동으로 시문하고 백자유로 시유해서 환원염으로 燔造하면 산화동이 환원되면서 붉은색을 나타낸 것을 통해 제작한 것이었다.
⑥흑유(黑釉)는 태토의 경우 白瓷胎土이며 유약내에 철분이 많이 함유되어 번조 후 표면의 색이 흑갈색 또는 암갈색이 되는 것으로 전국에 걸쳐 조선 초기의 백자나 분청사기의 요지에서 제작되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Ⅲ.맺음말
이상에서 高麗時代에서 朝鮮時代까지 이어지는 陶瓷器의 변천과 각각의 세부종류와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토기에서 자기로의 변화와 그리고 靑瓷에서 粉靑沙器, 白瓷라는 커다란 틀에서의 高麗時代와 朝鮮時代의 陶瓷器의 변화는 단지 工藝의 변화가 아닌, 정치·사회·문화의 변화라는 큰 틀 속에서 진행되었다. 비록 여기서는 각시대의 정치·사회·문화적인 전반적인 모습을 살펴보지 못했지만 그것들은 항상 상관관계를 가지고 변화되어진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사진참조>
국립중앙박물관 홈페이지 www.museum.go.kr
호암미술관 홈페이지 www.hoammuseum.org
여주민속도자기조합 홈페이지 www.yeoju.co.kr
<한국미술사> 2000년 6월 15일
高麗와 朝鮮의 陶瓷器
과목 :
담당 :
학과 :
학번 :
이름 :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3.10.16
  • 저작시기200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65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