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의 철학사상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공자의 시대와 생애

Ⅲ. 공자의 철학사상
1. 인(仁)과 예(禮)
1) 예 (禮)
2) 인 (仁)

Ⅳ. 유가사상 (儒家思想)

Ⅴ. 결 론
⊙ 참고 문헌

본문내용

재설(先在說)에 반대하였다. 한편 청유(淸儒)들의 정치·사회에 대한 관심이 매우 강하여 그들은 전제정치에 반대하고 원칙적으로 유가의 전통정신인 민본적 민주정치의 정립을 주장하며 기존 사회제도의 개혁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역사의 이해에 있어 《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을 중심으로, 역사는 합리적으로 발전하여 대동사회(大同社會)로 나아간다는 생각을 가꾸었는데, 이러한 사상은 청말, 캉유웨이[康有爲]에 이르러 집성되었다.
【현대중국의 유교사상】
서구의 과학문명의 충격을 직접 여러 측면에서 겪었던 중국의 현대사상가들 중에는 중국철학의 중추를 이루어온 유학의 현대적 역할에 대하여 회의를 품는 사람이 많이 나타났다. 류스페이[劉師培]·정원장[丁文江]·후스[胡適] 등은 서구의 과학사상과 사회 및 정치이론을 집중적으로 연구하여 반(反)형이상학의 방향으로 나아갔으며 혹자는 유물론적 입장으로 나아갔다. 여기에 공산주의철학이 들어오면서 유학에 대한 회의는 공자비판으로까지 전개되었다. 다른 한편에서는 사회변혁기에 있어 중국의 전통철학들을 계승하되 새시대 새이념이 될 수 있도록 재창조하려는 사조도 일어났고 그 중의 하나가 쑨원[孫文]의 삼민주의였다. 이 회오리가 지나간 뒤 중국의 철학자들은 유가사상을 새롭게 연구하기 시작하였다. 정주이학(程朱理學)의 입장에서 중국철학을 재정리한 탕쥔이[唐君毅], 정주철학을 재편성한 역사학자 첸무[錢穆], 서양에 중국철학을 소개한 천룽제[陳榮捷] 등은 현대중국의 유가철학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으며 한편 모우중싼[牟宗三] 등 많은 현대철학가들은 양명심학(陽明心學)을 깊이 연구하고 있다.
【유가사상의 본질】
이상에서 기술한 유가사상의 본질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① 인본주의 정신을 기본으로 한다. 유가는 전통적으로 인간의 본성을 좋은 것(善)으로 보고 이것을 계발(啓發)하는 이론을 정립해 왔다. 성악설(性惡說)을 주장한 순자(荀子)도 선인(善人)이 목표였고 그것을 이룩할 수 있는 인위(人爲)의 능력을 인정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인본주의로 나아갔다. 인간에 대한 근원적 신뢰와 인간중심적 사상은 유가의 본질이다. ② 천인합일(天人合一)의 일원적 사유를 기본으로 한다. 천인합일은 우주와 인간의 원리를 일관된 것으로 보는 것, 즉 이 둘을 유기적 전체로서 이해하는 것을 말한다. 이 경우 잘못 이해하면 인간중심적 가치원리를 존재의 세계로까지 확장하는 것으로 볼 수도 있으나, 유가의 기본입장은 우주에서의 인간의 위치와 역할을 생각하는 것이라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여기에서 유가는 나와 다른 사람, 인간과 만물, 인간과 우주를 언제나 조화적 발전단계로 보는 존재이해의 기본방식을 형성하였다. ③ 모든 문화현상을 실천적으로 다루는 실천철학의 성격을 띤다. 유가사상은 문화철학·정치철학으로 여겨질 만큼 서양철학과는 달리 문화의 여러 문제에 대하여 실천적 관심을 보여왔다. 이것은 문화가 인간의 산물이며 유가는 인간의 여러 문제에 관심을 갖고 관계중심으로 생각하는 특성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④ 유가는 전통의 계승과 새로운 창조를 조화 있게 이룩해 간 철학이다. 공자가 일찍이 온고지신(溫故知新)을 말한 것으로도 알 수 있듯이 그들은 역사나 문화의 전개가 극복적(克復的) 혁명의 방식으로 이루어진다고 보지 않고, 언제나 인습과 창조의 조화 속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았다. 이것은 인간이 추구하는 바는 유행이 아니라 진리의 세계요, 그 실천에 있으며, 이 진리의 체득과 실천은 물리적 시간의 제한을 받지 않는다는 기본입장의 반영이기도 하다. 즉 과거의 진리를 천명하고 실천한 철인(哲人)과 시대가 있었다면 그것은 언제나 계승되어야 한다는 진리에 대한 사랑을 뜻하는 것이라고도 볼 수 있다.
Ⅴ. 결 론
우리에게 있어서 공자의 영향은 대단히 깊고 넓다고 하겠다. 이러한 영향은 우리가 단지 좋다 나쁘다고 말할 성질의 것이 아니다. 이미 우리들의 세포 속에 스며들고 심하게 이야기해서 선천적인 유전자의 명령으로 변해버려 일상적인 행동과 언어 속에 자기도 모르게 드러나고 있다. 부모님들이 달래는 말 속에, 선생님들이 꾸짖는 말 속에, 사회의 분위기 속에, 각종 인간관계 속에서 저 오랜 2천5백년 전 이미 화석화된 것으로 알았던 공자와 논어의 이야기가 중국인들의 몸속에 그리고 우리의 몸속에 여전히 살아 숨쉬고 있는 것이다.
현대에는 과거 전통 사회에서 볼 수 없었던 전혀 새로운 인간 관계가 많이 등장했다. 거대화된 도시 사회와 인터넷, 통신 등의 발달은 과거엔 전혀 생각지도 못했던 전세계 인류와의 커뮤니케이션마저도 가능하게 해 주었다. 그러나 사람들끼리의 접촉이 다양해지고 그 기회가 상당히 많아졌음에도 불구하고 실제적인 인간관계는 더욱 소원해지고 멀어지게 되었다. 한 아파트에 몇백 명이 함께 살면서도 이웃 사람의 얼굴도 모르고 살아가는 게 우리의 현실이다.
이렇게 달라진 사회의 모습 속에서 어떻게 새로운 인간관계의 정형을 찾아낼 수 있을지는 우리에게 주어진 과제이다. 그리고 그 과제의 해답은 몇 천년을 걸쳐 내려져 오는 전통 윤리에서 찾을 수 있다. 구체적인 사람들의 삶의 모습이나 특수하고 개별적인 인간관계 등은 사회의 모습이 변함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할지 모르지만 보편적이며 본질적인 인간관계의 모습은 결코 변하지 않기 때문이다.
공자 사상을 바라봄에 있어서 구체적인 仁과 禮의 행동 지침까지도 따라야 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구체적인 仁과 禮란 당시 사회를 반영하는 모습이었을 뿐 시대에 따라 변화할 수 있는 가변적인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자의 철학사상은 불변하는 인간관계의 본질을 다룬 것만을 구별해 낼 수 있는 식견을 가져야 한다.
⊙ 참고 문헌
현대사회와 사상. 강대석 외. 현대사상 연구소
공자의 생애와 사상 김학주 / 명문당 / 1997
공자와 맹자의 철학사상 안길환 편 / 명문당 / 2001
공자의 철학 채인후 / 예문서원 / 2000
공자와 노자 그들은 물에서 무엇을 보았는가, 사라 알란 / 예문서원 / 1999
공자사상과 현대사회 김태길 / 철학과현실사 / 1998
공자의 학설 진대제 / 이론과실천 / 1996
공자사상의 계승 이애희 외 / 열린책들 / 1995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03.11.04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06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