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문과 졸업논문] 토마스 하디 (hardy) 시의 honesty와 내적풍경에서 나오는 개선론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보편적 진실을 이끌어내는 촉수로서의 하디의 honesty
2. 비관적 세계관을 형성하게 한 시대적 환경, 사상적 배경
3. 내재의지의 성격과 내재의지의 시적발현
4. 상상력의 구심으로서의 기억

Ⅲ. 결론 - 비관주의를 극복한 개선주의자

* 참고문헌

본문내용

그에게 주어진 불행들을 극복함으로써 보다 더 나은 세상을 갈망한다. 1904년에 윌리엄 아처(William Archer)와 나눈 대화에서 하디는 그의 입장을 분명히 밝힌다.
. . . 최근 문학의 강건하고 뻐기는 낙관주의는 사실은 비열하고 진지하지 못하다고 믿습니다. . . . 그것이 비관주의라면 나의 비관주의는 세상이 파멸할 것이라는 가정을 포함하지 않습니다. . . . 그러기는커녕 나의 실제적인 철학은 분명히 개선론자입니다. 나의 책들은 "인간에 대한 인간의 몰인정"--여성에 대한--과 인간보다 하등한 동물에 대한 인간의 몰인정에 대한 한가지 오랜 탄원을 제외하고는 그 무엇이겠습니까? 인생의 고유한 선 혹은 악이 무엇이든 지간에 인간은 필요 이상으로 훨씬 더 나쁘게 하는 것은 확실합니다.' (피니언 178)
사실 당대 사회에 대한 하디의 진단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자연스럽게 살기를 원하는 현대인의 일반적인 소망에 대한 커다란 위협이라는 의식이 생생하기 때문이다.
개선론자라는 표현이 역설적으로 들린다할지라도 하디의 기본적인 낙관주의를 "그의 근원적인 인류애에서, 쇼팬하우어의 철학 못지 않게 그의 작품을 통해서 울리는 근원적인 연민의 낮은 어조에서" 쉽게 느낄 수 있다(브레녀 147-48). 그는 사람들이 노력만 한다면 세상이 더 좋아질 것이라고 확신했다.「테너브리스에서」("In Tenebris")라는 시에서 하디는 "더 나은 방법이 있다면 그것은 최악의 것을 철저하게 바라보도록 강요하는 것이다"라 제시한다. 그의 시 「70년대에」("In the Seventies")는 낙관주의로 생기가 돈다.
In the seventies nought could darken or destroy it,
Locked in me.
Though as delicate as lamp-worm's lucency;
Neither mist nor murk could weaken or alloy it
In the seventies!--could not darken or destroy it,
Locked in me.
하디는 또한 「1967」에서 희망적으로 "숭고하지 않을지라도 /이 명멸하는 시대에 그 한창 때에/ 자유를 보여줄 세기를"("A century which, if not sublime,/ Will show, I doubt not, at its prime,/ A scope above this blinkered time") 기다리고 있다. 하디는 "무지한 군대들이 야간에 어두운 평원에서 충돌하는" 「도버 해변」에서의 아놀드처럼 애인에 대한 사랑으로 물러날 수 없었다. 또한 그는 너무나 현실적이어서 테니슨이 「록슬리홀」("Locksley Hall")에서 했듯이 짙은 우울함 속에서 영광스런 아마겟돈을 상상할 수 없었다. 또한 그는 「피파의 찬가」("Pippa's Song")에서 "하느님이 하늘에 계시니/ 세상만사 정의롭다"("God's in his Heaven, / All's right with the world")라는 브라우닝의 관점, 즉 하디의 입장에서는 점잖은 체하는 낙관주의를 받아들일 수 없었다. 대신에 그는 인류를 통해서 의식의 긴장과 연민을 통한 점진적인 개선의 과정을 보았다(셔먼 441-447). 하디의 희망은 실망에서 언제나 다시 태어난다. 그는 그의 소설과 시들이 그에 대한 증명이 되듯이 사람들의 잠재성에 대한 그의 신념을 잃지 않았다.
하디 시에는 명상, 부드러움, 경건함, 엄격성, 집중력, 그의 시골배경, 시골의 등장인물들, 지방에 특유한 전통의식, 사실주의, 구어와 개성이 잘 나타나 있다. 그의 많은 시들은 사적인 경험과 자료에 연유하며 그 사적인 반향은 조용한 사색과 체념으로 물러난다. 그는 그 혈통이 서민이며 그의 평생을 통해 가치들이 서민적인 극소수의 영국시인들 중의 하나이다. 그가 중요한 역사적인 변혁기를 통해 살고 있다는 감각이 없었다면 하디의 시는 단순히 지방적인 세부묘사와 수동적인 기록에 지나지 않았을 것이다. 또한 상속된 전통의 뒷받침이 없었다면 하디의 시는 독학자의 기이함과 한때는 도시에 거주한 사람이 품는 지방 제일주의로 타락했을 것이다. 그의 훌륭한 시들에 남는 것은 엄격하며, 객관적이고 공통적인 운명을 공유한다.
시인으로서 하디는 일상적인 삶의 조그만 사건들이 우리의 운명을 구성한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이 조그만 사건들에 가장 세련되게 반응했다. 특히 직접적인 체험의, 그리고 문학에서라기보다는 삶에서 포착된 경험과 느낌의 호소가 있다. 이것이 하디의 예술의 업적이다. 바튼의 지적대로 하디는 대상에 눈을 떼지 않는 워즈워스의 교훈을 지킬 뿐만 아니라 언제나 그의 대상 곁에 살게 됨으로써 그 자신을 상상적으로 젊게 유지했다. 고목처럼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그는 그 자신의 토양 속에 그의 뿌리들을 더 깊숙이 내렸다(275-81). 하디는 인생을 정면에서 단호하게 바라보고 그가 처한 과도기의 혼란과 변혁 속에서 그가 목격하고 느낀 것을 대담하게 시로 형상화시킨 위대한 영국시인으로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Drew, Elizabeth. The Novel: A Modern Guide to Fifteen English Masterpieces. New York: Dell Publishing Co., 1963.
Duffin, H. C. Thomas Hardy. Westport: Greenwood P, 1978.
Elliot, Albert Pettigrew. Fatalism in the Works of Thomas Hardy. New York: Russell & Russell, 1966.
Howe, Irving. Thomas Hardy. New York: Collier Books, 1966.
Lock, Charles. Criticism in Focus. London: Bristol Classical P, 1992.
Page, Norman. Thomas Hardy.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1977.
이세규, 시와 정직성 토마스 하디(한서대)
서혜련, 토마스 하디 시의 비극적 색채의 소극적 아름다움(우석대), 1998
  • 가격4,9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3.12.11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74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