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하회 별신굿 탈놀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안동 하회 별신굿 탈놀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들어가며

1. 하회 별신굿 탈놀이의 기원과 유래

2. 별신굿 탈놀이의 구성과 내용

3. 별신굿 탈놀이에서 보여지는 각 인물들의 특징과 의미

4. 하회 별신굿 탈놀이의 특색

5. 별신굿 탈놀이에 나타난 민중적 성격

6. 하회 별신굿 탈놀이의 문화적 성격.

< 참고자료 >

본문내용

노래에서는 한평생 고단한 삶을 살 수 밖에 없었던 여성의 통한이 흠씬 묻어나고 있지만, 그것만으로는 단지 신세 한탄이나 혼자만의 넋두리로 들릴 수 있다.
그런데 유한상의 채록본에 의하면 영감이 어제 사 온 청어를 벌써 다 먹었느냐고 묻자 할미는 "어제 저녁에 내가 아홉 마리 당신 한 마리, 오늘 아침에 내가 아홉 마리 당신 한 마리씩 다 먹었다"고 대답한다. 귀한 음식을 여자가 남자보다 많이 먹었다는 것은 여성들에게 순종과 희생을 미덕으로 가르쳤던 주자학적 질서 속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 일반적 현상이 아니다. 남자의 덕을 하늘에, 여자의 덕을 땅에 비유해서 설명하는 유교의 남녀 관을 일방적 상하 수직질서라고 매도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조선조 사회가 남성 우위의 사회였다는 것까지 부정할 수는 없다. 그래서 할미마당이 던지는 중요한 메시지는 바로 남녀 지위의 전도이자 전통적 여성관에 대한 반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하회탈춤 속에는 금기의 위반이 여러 차례 나온다. 그 금기의 위반이라는 것은 곧 주자학적 지배질서의 파괴이다. 양반의 지체와 선비의 학식에 대한 조롱, 특권층의 허구적 윤리성에 대한 폭로, 그리고 남녀 질서의 전도가 그것이다. 이것은 하회탈춤 속에 그 시대의 지배질서에 대한 피지배계층의 비판의식이 담겨 있음을 의미한다. 물론 그 비판이라는 것은 매우 제한적이다. 왜냐하면 그러한 비판이 양반사회 자체를 부정하고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는 데까지는 이르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하회탈춤 속에 반영되어 있는 민중의식은 사회변혁 의지로까지 승화되고 있지 못하다. 하지만 그 비판의식은 특정한 계기가 주어지면 언제든지 현실화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놓고 있다는 점에서 잠재적 변혁의식이라고 할 수 있다.
6. 하회 별신굿 탈놀이의 문화적 성격.
탈춤을 만들고 추고 즐기던 사람들은 일반 민중들이었다. 그것을 창작하고 향유한 집단은 육체노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이었고, 그러했던 만큼 그들은 교육받지 못한 피지배계층이었다. 하회탈춤도 예외가 아니다. 탈춤에 동원되는 광대들이 양반이 아니었음은 물론이고, 신내림의 과정에서부터 동제에 이르기까지 별신굿을 주관하는 산주 역시 양반층에서 나오지 않았다. 그 형식이 상당부분 유교 의례화 된 동제애도 양반들의 참여는 배제되었다. 적어도 조선 중기에 들어서면서부터 하회마을은 풍산 유씨가 주도하는 양반촌 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씨는 기본적으로 통제에 직접 참여할 수 없었다. 이것은 동제를 주도한 사람들이 피지배계층이었음을 말해 주는 것이고, 이러한 의미에서 하회탈춤은 민중문화이다.
그러나 이와 관련해서 하회탈춤은 다른 탈춤과는 조금은 다른 면을 보인다.. 우선 전통적인 하회를 지역적 배경으로 하고 잇다는 점이다. 그리고 대표적인 명문 가문인 풍산 유씨 집안에서 별신굿의 재정적 지원을 해 주었다는 점이다. 그리고 그 탈춤의 향유자가 일반 문중에게만 그친 것이 아니라, 제한적이긴 하지만 양반의 집안에서도 집돌이 형식으로 공연되었다는 점이다. 민중들의 문화이면서 동시에 양반의 재정적 후원을 받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양반들과 놀이를 공유하는 이중적 성격을 지닌 것이 곧 하회탈춤의 중요한 사회적 특징 가운데 하나이다. 민중들이 주체가 되었지만 제한적이고 소극적인 형태로나마 지배층의 참여가 있었던 것이다.
< 참고자료 >
▶ 안동문화연구소, <하회탈과 하회탈춤의 미학>, 사계절, 1999
▶심우성, <마당굿 연희본(2) 무형문화재 지정종목>, 깊은샘, 1988
▶하회별신굿탈놀이보존회 자료집
▶박진태, <탈놀이의 기원과 구조>, 새문사, 1991
※하회탈 그림 첨부 파일 올려놨습니다.
참조하실 분은 참조하세요.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3.12.13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79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