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성곽에 대하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성곽의 개념

2. 성곽의 기원과 발달

3. 성곽의 특징

4. 성곽의 종류

5.역사에 따른 성곽의 특징

본문내용

축성 계획은 평지성과 산성의 기각 방어 계획 (성곽간이 기각( 角)의 모양을 취하여 성곽간의 방어를 하는 것.
각각의 성이 서로를 조망할 수 있게 설계되어 하나의 단위성이 포위되면 나머지 성이 적을 포위할 수 있도록 된 모양을 이른다)
이다.
4) 고려 시대
고려 시대 초기의 성곽 은 남북국 시대의 도성제를 거의 그대로 이어받았다. 특히 고구려의 평양성과 매우 비슷하여 내성은 거의 모두 돌로 쌓았으나 외성(나성)은 흙으로 쌓았다. 성벽에는 사방에 큰 성문을 내고 그 사이에는 여러개의 작은 문을 내었으며 주요 성문들에는 옹성을 설치하였다. 도성 영역은 내성과 외성으로 나누어지는데 내성은 궁궐과 지배층의 거주지 였고 외성은 일반 피지배 계급의 거주지였다. 이런 양식은 남북국 시대의 양식과 거의 다를 바가 없다.
5) 조선 시대
성곽 양식에 있어서 조선 시대는 크게 前期와 後期로 나뉜다. 전기는 17세기까지이며 후기는 17세기 이후를 말한다. 전후기를 나누는 17세기는 임진왜란이 있던 때이다. 즉, 조선의 축성 양식은 임진왜란으로 큰 전환을 맞게 되었다.
一. 前期
전기의 성곽 양식은 큰 변화 없이 내실을 다지는 것에 치중했다.
고려말에 거란족등 외민족의 침입에 파괴된 북방의 성곽을 보수하고 확장시켰다. 또 연해 지방에 왜구의 침입으로 주민들이 극도의 어려움을 격자 조선에서는 진보 축성을 했다. 또한 세종 대에 이르러서는 지방 행성들의 보수가 대대적으로 일어났다.
이는 화약과 화포의 사용으로 인해 산성뿐 아니라 읍성의 중요도가 커지고 옹성·해자·적대(敵臺)등이 필수적이 되었기 때문이다. 성종대에 이르러서 전략적으로 변화가 왔다. 일단 상륙한 외적을 수륙 양면으로 공격하는 방식으로 변화한 것이다. 이런 전략을 위해 연해 진보마다 성보(城堡)가 축조 외었다. 이런 변화는 삼포왜란(三浦倭亂)같은 소규모 전투에는 효과가 있었다.
二 後期
임진왜란을 통해 우리 나라의 성곽이 대규모의 외적 상륙에 얼마나 무력한지 여실히 드러났다.
임진왜란 중에 방어에 성공한 성은 진주성과 몇몇 산성들뿐이었다.
이런 결과를 분석하여 우리 나라 축성은 일대 변화를 맞이하였다. 임진왜란 중에 참전한 明, 倭의 성곽을 분석하여 이들의 성곽에도 장점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중국의 평지 네모꼴의 성은 직선·성벽을 보완하는 방법으로 성밖의 깊은 참호와 현안·치성·여장 등의 부대 시설과 성벽 자체의 견고함이 우수하였다.
또한 벽돌로 안팎을 똑같이 채워넣은 겹축 성벽, 성벽의 규형 단면, 각종 화포를 설비하는 시설과 현안(懸眼)시설 등이 뛰어난 것으로 지적되었다. 왜식 성에 있어서 지형은 고립된 산과 구릉을 이용하고, 벽을 겹겹이 쌓되 물매를 많이 두는 방법 등이 지적되었다. 축성의 재료도 벽돌이 응용 외어야 한다고 생각하였으며, 또한 축성에 있어 각종 기구가 새로이 소개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반성과 종합이 이루어진 위에 나타난 것이 수원성(水原城)이다.
수원성은 조선 후기 축성 기법의 거의 모든 것을 보여준다.
수원성은 정조 18년에 기공하여 2년만에 완성되었다. 임진왜란에서 얻은 경험과 실학 사상이 바탕이 되어 축조된 성곽이므로 가장 발달된 축성법을 쓰고 있다. 기중기와 녹로 등의 기계를 사용했으며 기와와 벽돌을 개량된 방법으로 규격화해서 제작했다. 이런 내용이 『화성성역의궤(華城城役儀軌)』에 기록되어 있다. 이런 과학기술뿐 아니라 우리 나라에서는 보기 힘든 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치성(稚城)이 그런 예이며, 망루의 역할, 총안으로 적의 방어를 막는 공심돈도 그 좋은 예이다.
또 화포를 주무기로 삼는 공용 화기 사용의 방어 구조는 이 성만이 가지는 특성이라고 하겠다.
結 論
세계 각국에 있는 성곽들은 인류의 역사와 함께 발전해 왔다. 우리나라의 성곽도 그 하나하나가 역사의 매듭이고 조상들이 살아온 삶의 발자취이며 외침이 많았던 우리 역사속에서는 외적을 막아 국토를 지키려 했던 선인들의 끈질긴 호국의지의 선물
이다. 중국과 서양과 다른 형태의 우리나라의 성곽은 우리나라의 자연 형세를 그대로 이용하여 자연에 거슬리지 않고 자연에 순응하는 우리의 민족성도 남아 있다.
방어적 수단으로 구축된 성곽들은 지금 평지에 산위에 바닷가에 얼핏보기에는 폐허나 돌무더기로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런 흔적들은 우리에게는 귀중한 문화유산이라는 점을 인식하고 많은 연구와 보존에 힘써야 할 것이다.
미비한 성곽의 연구가 처음 일본 학자들에게서부터 시작되었고, 우리 나라 학자들의 연구는 별로 없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많은 연구가 대학을 중심으로 많이 되어가고 있다.
현재 충남대 학교 백제연구소와 박물관을 중심으로 한 백제지역의 성지조사와 충북대학교에서의 삼년산성·상당산성 등에 대한 정밀조사와 발굴, 문화재연구소에 의한 야주산성·경 주월성 등에 대한 발굴조사, 공주사범대학에 의한 공산성 조사, 전북대학교에 의한 익산지방 산성의 조사, 전주시립박물관에 의한 전라도 지역 성지조사들이 시행되고 있다.
또한 북한과 일본의 성곽연구결과를 비교하여 성곽의 기원과 발생, 성읍국가의 구조와 성격, 축성술의 발전과정, 관방사상과 각종 공격·방어 시설의 발전과정, 성곽의 위치선전과 배치관계 등이 폭넓게 연구 되고 있다.
성곽의 연구는 성곽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그곳에 담겨져 있는 우리 숨은 역사와 선인들의 삶을 연구해야 할 것이다. 또한 성곽의 연구가 고대 자료의 미비한 점을 메 울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아직까지 성곽에 대한 연구가 대중에게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 그래서 일반 사람들이 성곽을 많이 훼손하고 있다.
이것은 성곽에 대한 무관심에서 나오기 때문인데 이글을 통해서 조금이나마 성곽에 대한 관심이 생겨났으면 하는 바램이다.
참고 문헌
『한국의 성곽』, 반영환, 1978, 세종대황기념사업회
『한국의 성곽』, 반영환, 1992, 대원사
한국의 성곽
편집부 엮음 『동아 대백과 사전』
편집부 엮음 『우리 건축을 찾아서 1권 2권』
도서출판 발언 1994년
송석상 이강승 편저 『그림으로 배우는 우리의 문화유산』
학연 출판사 1996년
손영식 『한국성곽의 연구』
문화재 관리국1987년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3.12.15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84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