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인집권기 농민항쟁과 대몽항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무인집권기 농민항쟁과 대몽항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들어가며

II. 몽고침략 이전의 농민항쟁
1. 12, 13세기 향촌사회의 변동 농민항쟁의 원인
2. 농민항쟁의 추이

III. 몽고침략 이후의 농민항쟁과 대몽항쟁(投蒙과 抗蒙)
1. 충주 관노들의 봉기
2. 강화천도
3. 항쟁의 성격

IV. 삼별초의 항쟁
1. 삼별초의 성격
2. 삼별초 항쟁에 대한 평가

V. 마치며, 함께 생각해 보고 싶은 문제

본문내용

다.
삼별초는 정부의 필요에 따라 이용되던 집단이었다. 그들은 무인정권의 안정을 위해, 정적을 제거하고 반란을 진압하는 등 궂은일을 맡아하다가, 몽고가 침략해오자 고려의 전위부대로서 치열한 싸움을 맡게 되었다. 무인정권 또는 고려 정부는 실상 하는 일이 없었지만, 삼별초는 그들 대신 위험한 현실에 뛰어들어야 했다. 그런데, 무인정권이 몰락하고 정부가 몽고와 강화를 맺으면서, 삼별초를 해산시키고 오히려 정치적 보복을 가하려 하니, 그들은 정부에 대한 반감이 생길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또 그들이라고 해서, 다른 고려 민중들과 같은 민족적인 반몽의식이 전혀 없었을까. 그들 또한 몽고군과 치열하게 싸움을 벌이면서 이미 반몽의식이 깊어졌을 것이다.
삼별초의 항쟁을 단순한 지배층내의 권력 투쟁의 하나로 보는 입장에서는, 삼별초의 '반정부 반몽고'의 기치는 민들의 '반정부 반몽고'의 기치와 그 입장과 성격이 다르다고 보고 있다. 두 집단의 항쟁대상이 우연히 일치하여 서로 호응하였다는 것이다. 하지만, 삼별초와 민은 그 항쟁대상만 같았던 것은 아닌 듯하다. 삼별초와 민은 전쟁을 피해 수수방관하던 정부와는 다르게, 몽고에 대항하여 싸웠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또 정부에 의해 보호받지 못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면에서만큼은, 두 집단의 '반몽고 반정부'의 기치가 같은 성격을 가진다고 할 수 있지 않을까.
처음의 삼별초는 분명 반민중적인 성격을 가진 집단이었으므로, 민과 동일시 할 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삼별초를 단순히 지배층에 속한 집단으로 치부해 버릴 수 있을까. 그들 또한 무책임한 정부의 또다른 피해자, 또다른 민중으로 생각할 수도 있지 않을까.
참고문헌
강진철, 「몽고의 침입에 대한 항쟁」『한국사』7, 국사편찬위원회, 1973
박종기, 「12, 13세기 농민항쟁의 원인에 대한 고찰」『동방학지』69, 1990
채웅석, 「12, 13세기 향촌사회의 변동과 '민'의 대응」『역사와 현실』3, 1990
윤용혁, 『고려대몽항쟁사연구』일지사 1991
이익주, 「고려후기 몽고침입과 민중항쟁의 성격」『역사비평』24, 1994
이익주, 「삼별초는 무엇을 위해 싸웠나」『고려시대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청년사1997
윤용혁, 『고려 삼별초의 대몽항쟁』일지사 2000
이익주, 「서평 『고려 삼별초의 대몽항쟁』」『한국학보』104, 2001
신안식, 「삼별초를 어떻게 볼 것인가」『한국전근대사의 주요쟁점』역사비평사 2002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04.27
  • 저작시기2004.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76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