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세기의 사림파와 성리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16세기의 사림파와 성리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사림파의 대두와 성리학의 발달
2. 성리학파와 성리설
3. 성리학 윤리의 보급

본문내용

『동몽선습』(童蒙先習)
이이의 『격몽요결』(擊蒙要訣)
2) 가족윤리
① 부자유친(父子有親)
성리학에서 규정하는 인간관계 중에서도 부모와 자식 사이의 관계(父子有親)가 가장 기본
부모에 대한 효는 부모의 은덕에 대한 자식의 도리 모든 행실의 근원으로서 중요시
효는 가족윤리의 핵심 부모에 대한 절대적인 복종을 요구
『가례』는 효를 바탕으로 한 가족윤리를 규범화한 예서(禮書)임
② 부부유별(夫婦有別)
남편과 아내 사이의 관계는 남녀간의 구별과 차별로 이루어진 관계
성리학의 음양관에 근원한 남녀간의 관계는 남녀간의 거처와 직분 따위를 구분하며, 남존 여비(男尊女卑)의 관계로 설정
남편에 대한 아내의 덕목은 순종과 정절(貞節) 『소학』에서 삼종지도(三從之道)와 칠 거지악(七去之惡)등으로 표현
『가례』의 시행은 효의 개념을 중심으로 가부장의 권위를 높이는 것 조선사회에 큰 영향
가부장적 가족제도는 16세기 말부터의 예학 발달과 함께 더욱 강화
3) 군신유의(君臣有義)
임금에 대한 충은 부모에 대한 효를 국가적인 차원으로 확대한 것
『소학』의 덕목 : "임금과 부모는 일체이다"(君父一體)
군주에게는 예와 의에 의한 도덕성이 요구
『대학』은 군주의 도덕성에 기초한 정치를 지향하는 경서
조광조의 현철군주론과 이황의『성학십도』, 이이의『성학집요』는 이상적인 군주상을 제시
신하에게는 충성스럽고 의로운 자세가 요구
하지만 군주의 자의적인 행위는 사족들로 구성된 신하들에 의하여 견제될 수 있는 것
성리학 군신유의는 성리학의 정치가 광범위한 사족층의 기반위에서 전개된 데에서 연유한 것
4) 향촌윤리
성리학적 향촌윤리는 16세기에 들어 인식되고 보급 향촌윤리는 향약을 통해 실현
① 장유유서(長幼有序)
성리학에서 제시하는 향촌윤리는 장유유서의 윤리
장유유서는 가족 이외의 모든 사람과의 관계에 적용될 수 있지만 현실적으로 향촌사회 내에서 주로 적용되는 윤리
신분제사회인 조선시대에는 나이보다는 신분이 일차적 기준 향촌내에서 신분을 일차적 인 기준으로 삼은 것은 사족들의 배타적인 지배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것
② 붕우유신(朋友有信)
붕우유신은 친구 사이의 윤리를 규정한 것 친구관계는 도와 덕으로 맺어진 관계
사림파가 성리학적 이념을 실천함에서 실천의 주체자인 사족들의 결속을 다질 수 있는 덕 목을 붕우간의 윤리에서 찾은 것
그리하여 학연(學緣)에 의한 학문적인 동지관계가 매우 중요시되어 학파의 형성과 사족들 의 결집에 이념적 근거가 됨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05.24
  • 저작시기2004.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25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