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근대 경제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근대 경제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탐구 배경

2. 책의 구성

3. 작가의 집필 관

4. 책의 내용
① 농촌 빈민의 생활
② 화전민의 생활
③ 토막민의 생활
④ 공사장 막일꾼의 생활
⑤ 실업자 문제

5. 결 론

6. 책의 장점

7. 책의 단점

본문내용

산업구조가 이
들을 공업인구로 수용할 만한 조건을 마련하고 있지 못한데다 일본인이 각 부분에 침투해옴
으로써 조선사람 실업자가 증가 해 가는 실정이었다는 것이다. 특히 일용노동자층의 실업자
의 수가 많음을 지적하고 있고, 도시와 농촌 중에서는 농촌의 실업자 비중이 높음을 지적하
고 있다. 도시 실업자의 비중이 낮거나 줄어들고 있음은 식민지 시기 후반기에 세계공황의
여파가 가셔지고 있었고, 일본의 전쟁준비가 본격화함으로 인함을 말하고 있다.
5. 결론
이 책에서 지금까지 살펴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일제시대의 빈민형성은 자본주
의 발전의 보편성에 따른 농민층의 양극분해에 의한 결과가 아니라 일제 식민지 농업정책의
결과로 야기된 농민층의 몰락과정을 통해 광범위하게 이루어졌다. 이러한 빈민의 존재형태
는 농촌빈민, 화전민, 토막민 등으로 대표되며, 이 중 토막민은 그 용어 자체부터 식민지시
대에 처음으로 등장하였으며, 근대 도시빈민의 원형으로서 그 존재의의를 갖는다고 말할 수
있고, 실제로 식민지 지배당국의 빈곤정책이 식민통치의 합리화와 식민본국의 필요성에 따
라 생성, 전개되었다는 사실은 그 당시 빈곤정책이 식민지 지배체제를 강화시키는 수단으로
작용하였다는 점을 말해 주고 있는 것이다.
6. 책의 장점
이 책이 가장 큰 장점 및 특징으로는 첫째, 다양한 역사적 고증자료의 소개와 그에 따른
현실의 철저한 분석을 들 수 있을 것이다. 당시 총독부의 문헌 자료는 물론, 당시 국내 일
간지 자료와, 해방후 일본인들의 조선에 대한 분석자료, 국내자료를 총 망라해서 식민지 시
기 빈민의 형성에서부터 생활상을 여실하게 보여준다. 둘째, 식민지 시기 빈민의 형성과 빈
민들의 생활상을 다룸에 있어 식민지 지배 당국정책의 실패를 여실하게 드러내준다. 식민지
시기 민중생활의 실태를 밝힘으로써 일본의 조선 식민지정책의 정당론 주장을 여지없이 무
너뜨릴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셋째로, 식민지 시기 빈민을 다룬 몇 안 되는
책이라는 점이다. 식민지 시기 조선의 경제상황에 대한 서적들은 많지만 구체적으로 빈민의
실상을 다룬 서적은 찾기 힘들었다. 식민지 시기 빈민의 의미의 중요성을 생각해보면 이 책
은 단연 돋보인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7. 책의 단점
식민지 시기 빈민의 역사적 의미적 측면에서 과연 당시 빈민들이 어떻게 연결되고 있으며,
향후 농민운동이나, 해방 후 한국 노동자의 형성과정, 남북의 분단에로의 고찰 등은 이 책
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고 있다. 농민운동에서 크게는 독립운동으로 연결되던 당시 운동의
방향성과, 노동운동이 좌익 민족운동세력화로 발전한 측면은 소개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
물론 이 책은 충실하게 식민지 시기 빈민의 형성 원인과 생활상을 보여주고는 있지만, 당시
빈민의 역사적 의미를 생각해볼 때 이 점이 상당히 아쉽다.
그리고 당시 수많은 빈민들, 특히 이농민들의 적지 않은 수가 해외 즉, 일본이나 만주,
그리고 미국의 하와이 등으로 갔던 점을 소홀히 하고 있다. 이 책은 한반도 안에서의 빈민
생활에 초점을 두고, 해외로의 유출 빈민에 대한 소개는 없는 것이다. 또한 동범위 내에서
일제의 조선 노동력의 수탈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 일제의 식민정책의 주요정책 중
의 하나로 조선에서의 노동력 수탈을 빼놓을 수 없고, 이것은 당시 빈민들과 직접적으로 연
결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일제의 조선인노동력수탈 연구」 -김민영- 한울아카데미 제 1장 서설에서
마찬가지로, 이 책은 농민에서부터 출발하여 실업자까지의 빈민을
다루고 있는데, 당시 조선인구의 팔 할 정도가 농민이었음을 감안해보면 그 중요성이 이해
는 가지만, 나머지 이할 - 적은 수지만 어민이나 상인, 수공업자 - 의 빈민으로의 전환과정
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또한 당시 존재했던 '조선 구호령'
http://midas.i-dream.ac.kr/digital_lib/down/bo.hwp
과 같은 식민지 지배당국의
빈곤대책의 자세한 소개가 없어 이러한 정책들이 식민지의 효율적인 통치체재의 수단이었음
을 한층 더 여실하게 드러낼 수 있는 기회를 놓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참고도서
김민영 저 「일제의 조선인노동력수탈 연구」 한울아카데미
이우재 저 「한국 농민 운동사 연구」 한울아카데미
한귀영 「일제시대 부랑자의 사회적 성격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 논문
http://midas.i-dream.ac.kr/digital_lib/down/bo.hwp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4.05.24
  • 저작시기2004.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26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