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자왕과 삼천궁녀, 백제 멸망의 원인인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의자왕과 삼천궁녀, 백제 멸망의 원인인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의자왕과 삼천 궁녀, 백제 멸망의 원인인가?

1. 머리말
2. 의자왕 대의 권력강화
3. 의자왕의 측근세력
4. 대외관계의 변화
5. 맺음말

본문내용

수 없었을 것이다.
643년 당시 고구려의 경우 당과의 관계 개선을 위하여 도교를 받아들이려고 하였으며, 백제는 당과 고구려 중 어느 쪽이 유리할까 저울질하고 있었던 상황이었다. 고구려와 백제 양국은 당의 의도를 어느 정도 존중해주어야 했었다. 또 한편 백제의 국내 사정에 잇어서도 한강유역 점령을 달가워하지 않는 요인이 잠재되어 있었다. 한강유역 점령은 위덕왕 이후 대성팔족 사이에 형성되었던 세력균형이 깨어질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었으며, 대성 팔족에 대한 국왕의 입장을 강화시켜 줄 수 있었기 때문이다. 자연 대성팔족은 한강유역 회복에 대하여 예민한 거부 반응을 보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이유로 무왕대 이후 의자왕대 여러차례에 걸쳐 백제는 신라를 침공하였으나, 대부분 신라의 서변지역을 공격하였을 뿐이었다. 무왕과 의자왕은 각각 한번씩 한강유역 회복을 기도했으나 모두 신라가 재빨리 당에게 구우너을 요청함으러써 채 실행에 옮기지도 못하고 말았다.
그러나 권력강화를 의도했었던 목적에서 한강유역 회복을 꾀하였던 국왕은 권력강화를 포기하지 않는 한 한강유역에 대한 미련을 버릴 수는 없는 것이었다. 등거리 외교를 지향하였던 백제가 당과 고구려 중 어느 하나를 택해야 한다는 압력을 받으면서 의자왕이 결국 고구려를 택했었던 이유를 여기에서 찾아 볼 수 잇을 것이다. 당과의 관계를 단절한 이후 백제는 한강유역에 대해 더 이상 당의 눈치를 살필 필요가 없어졌다. 이제 백제와 당과의 관계는 돌이킬 수 없는 관계로 되어 버렸다. 반면에 신라의 당에 대한 군사요청은 끊임없이 이어졌다. 성충이 당과 신라의 연합군대가 쳐들어 올 것을 예견할 수 있었던 것은 이러한 대외관계의 변화에서 가능했을 것이다.
5. 맺음말
본문의 내용을 요악 정리함으로써 맺음말을 대신 하고자 한다.
의자왕은 선왕 무왕이 그러하였듯이 왕권을 강화하기 위하여 대성팔족을 억압하는 정책을 펼쳤으며 신라의 성을 탈환해 왕의 위엄을 세우며 전제왕권을 성립시켰다.
하지만 말년 대성팔족과 달솔의 분쟁, 요부 은고의 등장으로 인하여 백제 사회는 혼란에 빠지게 된다. 당과의 사이에서도 고구려와 화친을 맺음으로 인해 결국 나당 연합군의 결성을 보게 되었으며, 이러한 나당 연합군에 의해 멸망을 맞게 된 것이다.
이로써 우리는 의자왕의 향락으로 인하여 백제가 멸망하였다라는 점에서는 다시 한번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라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비록 의자왕 말년에 가서 향락에 빠졌던 부분도 있지만, 그것을 백제 멸망의 원인으로 보기에는 다소 무리가 따르며, 백제 멸망에 관해 논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당시의 사회내부적으로나 국내정세로나 다방면에서의 관찰이 필요한 것이다. 이렇듯 한 나라가 운영되어지기까지는 왕의 자력 뿐만 아니라 왕의 측근 세력과 대외관계 또한 무시 못함을 알 수 있어야 하겠다.
< 참 고 문 헌 >
1) 한국역사연구회, <문답으로 엮은 한국 고대사 산책>, 역사비평사, 2000.
2) 임병주, <삼국왕조실록>, 들녘, 1998.
3) 김주성, <백제의 역사>, 충청남도, 1995.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4.06.26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73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