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우구스티누스(Augustinus) 신국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신국론 저술의 배경
(1) 사회적 · 정치적 배경
(2) 종교적 배경
2. 이원론적 역사관
(1) 신국의 기원
(2) 신국과 지상국의 개념
(3) 신국과 지상국의 전개과정
3. 신국론의 중심사관
(1) 종말론적 사관
(2) 섭리론적 사관

Ⅲ. 결 론

본문내용

국적(大國的)인 측면(側面)에서는 논리(論理)의 일관성(一貫性)을 보여주어 기독교 역사서술에 하나의 모형(模型)을 제시(提示)했다고 보겠다. 그뿐만 아니라 아우구스티누스는 역사의 동인(動因) 중의 하나를 인간의 본성(本性)에서 구함으로써, 역사를 매우 현실적으로 보는 안목(眼目)을 가졌고, 역사의 규칙(規則)성과 일반성(一般性)을 그 곳에서 구하게 했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신국론』은 역사를 철학화(哲學化)하고 철학을 역사화(歷史化)했으며, 역사란 무엇인가 하는 답(答)을 제시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역사철학(歷史哲學)을 종교철학(宗敎哲學)과 깊은 관계를 맺게 하는데 효시(曉示)적인 역할을 했다. 그는 사학도들이 역사의 표면(表面)에 나타난 현상(現象)의 이해(理解)와 파악에 만족치 않고, 보다 더 본질적(本質的)인 내용을 파악하게 함으로써, 역사를 더욱 심화(深化)시켰다고 보겠다.
그런데 『신국론』은 부정적(否定的)인 측면(側面)도 생각할 수 있다. 그것은 역사를 종교(宗敎)와 혼동시키고, 역사의 목적(目的)을 신국과 지상국의 투쟁(鬪爭)과정에서 신국을 건설(建設)하는데 궁극적(窮極的) 목표를 설정하고, 역사의 목적 자체(自體)를 신이 인간을 구원하는 과정(過程)의 섭리사관적 입장에서 보았기 때문에 역사적 객관성(客觀性) 문제(問題)를 야기(惹起) 시켰던 것이다.
그렇지만 선(善)과 악(惡)의 투쟁, 신국과 지상국의 투쟁 속에서 선을 지상(地上)에 실현(實現)하려는 진보사관적 노력(努力)을 높이 평가(評價)해야 할 것이며, 특히 종래(從來)의 순환사관을 극복하고 직선적(直線的)이며, 종말론적(終末論的), 목적론적(目的論的) 새로운 역사철학관을 나타낸 것은 당시 혁명적(革命的) 견해(見解)로 생각되며, 역사를 신의(神意)의 섭리과정으로 파악한 그의 사상(思想)은 마침내 중세사상의 확고한 기초(基礎)가 되어 중세사학사상의 일대 전거(典據)를 마련해 주었다는 점도 간과(看過) 할 수 없는 사실(事實)이다. 그러므로 『신국론』의 역사적 평가(評價)는 종합적(綜合的), 거시적(巨視的) 차원(次元)에서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 참고 문헌 >
① 조인형,『사학지』16집,「성 아우구스티누스의 "신국론"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사학회, 1982
② 선한용,『신학과 세계』12권,「어거스틴의 "신국론"에 나타난 "두 도성"에 대한 문제 연구」, 감리교신학대학교, 1986
③ 이석우,『아우구스티누스』, 믿음사, 1995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06.28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80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