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 이전의 아랍의 역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자힐리야 시대
1. 아라비아 반도의 상황
2. 이슬람의 가르침
3. 무함마드의 후계자와 정복사업

Ⅱ.우마이야조(661~750)
1. 무아위야(661~680)
2. 제2차 내란과 압둘 말리크(685~705)의 등장
3. 아랍인의 지위
4. 비아랍인의 지위
5. 시아운동
6. 하와리지운동
7. 부족간의 분쟁
8. 압둘 말리크의 행정개혁
9. 정복사업의 전개
10. 세제와 급료개혁
11. 우마이야조의 멸망

Ⅲ.압바시야조
1. 압바지야조 前期(750~945)
1) 압바시야 혁명
2) 바그다드의 건설
3) 칼리프의 성격
4) 행정조직
5) 경제 생활
6) 사회 생활<br>
2. 압바시야조 後期(945~1258)
1) 북아프리카 지역
2) 이란지역
3) 비옥한 초생달 지역과 이집트
4) 파티마조(909~1171)
5) 부와이흐조(945~1055)
6) 중앙 아시아
7) 셀주크조(1038~1194)
8) 십자군 원정
9) 동북지역의 변화와 칼리프의 세력강화
10) 압바시야조의 멸망

Ⅳ.맘룩시대
1. 개요
1) 맘룩국(1250~1517)
2) 이슬람의 전파
3) 일한국(1256~1353)과 티무르

Ⅴ.오스만 제국
1. 개요
1) 오스만조의 등장
2) 오스만제국의 관료조직과 관료양성제도
3) 종교조직체와 밀라제도
4) 술탄의 계승
5) 국경분쟁
6) 서방의 진출과 개혁운동
7) 개혁운동
2. 오스만 치하의 아랍민족
1) 17세기경 중근동의 아랍지역
2) 18세기경의 동향
3) 무함마드알리의 등장
4) 영국과 프랑스의 이해관계
5) 무함마드 알리의 후계자
6) 아라비아 반도
7) 비옥한 초생달 지역의 변화

본문내용

의하여 치명타를 입어 한동안 사라지는 듯했으나, 1830년대에 사우드家의 등장과 함께 재기하였다. 그 후, 오스만 술탄에게 조공을 보내지 않았으므로 술탄은 다시 이집트 총독에게 이의 분쇄를 명령했으나 성공하지 못하였다. 술탄은 직접 통치를 도모하고자 1845년에 왈리(W li, 총독)를 보내어 메디나를 점령하였으나, 나즈드에는 그 영향력이 미치지 못하였다. 그러나, 사우드 가에서도 내분이 생겨 그 세력이 위축되었고, 새로 일어난 샤마르(Shammar) 부족의 수장인 이븐 라쉬드(Ibn Rashid)의 세력이 서서히 확장되어 1870년대에 들어와서 중앙 아라비아에 확립되었다. 1891년에는 사우드가의 본거지인 리야드를 점령하자 그 일족은 쿠웨이트로 망명하지 않을 수 없었다. 1902년, 현 사우디아라비아의 창건자인 압드 알 아지즈(Abd al-Aziz)가 20세의 나이로 약 200명의 추종자를 이끌고 리야드를 탈환한 사실은 이제 거의 전설화되어 있다. 그는 와하비 운동을 재건하여 형제단(Ikhw n)을 조직하였고, 점차 세력을 회복한 그는 1913년에 터키군의 점령하에 있는 알 하사(al-Hasa, 바레인과 마주 보고 있는 페르시아만의 해안 지역)를 점령하여, 영국의 영향권에 들어 있는 연안의 아랍 토후 국가와 접하게 되었다. 제1차 세게 대전이 발발한 시기에 사우드가와 아라비아 반도에서의 주도권을 다투었던 경쟁자는 북쪽의 라쉬드가와 히자즈 지방의 후세인 이븐 알리(Husayn ibn 'Ali)였다. 한편, 예멘 지역은 본래 시아의 한 분파인 자이드 파가 8세기 후반부터 이 곳에서 세력을 키우고 있었다. 이 파는 계속해서 그 명맥을 이어 오다가, 1633년에 이 파의 이맘 카심(Q sim)의 영도 아래 오스만 투르크 군을 사나(S'ana)에서 추방하여 독립하였다. 그 후, 그의 자손은 때때로 중단되었지만, 1849년에 터키 군이 다시 사나를 점령할 때까지 그 명맥을 유지하였다. 그 후, 약 50년 동안 터키의 총독(W li)이 이 지역을 통치하면서 예멘 부족의 반란을 진압하는 데 골몰하였다. 그러나,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터키 군은 고립되어 철수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으며, 예멘은 에티오피아를 발판으로 하는 이탈리아와 아든(Aden, 남 예멘의 항구 도시)를 근거지로 하는 영국 세력의 각축장이 된 것이다.
7) 비옥한 초생달 지역의 변화
20세기 초 오스만 제국의 아랍인 거주 지역은 형식상으로 술탄의 종주권을 인정하지만, 실질적으로 그 통치를 벗어난 지역과 술탄의 통치가 강화된 지역으로 나눌 수 있다. 전자에는 비옥한 초생달 지역과 아라비아 반도이다. 탄지마트 개혁이 비옥한 초생달 지역에도 적용되어서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게 되었다. 지방 호족을 중심으로 한 세력의 파당 의식은 여전히 남아있었으나, 그 발로 양상은 종래 거리의 무질서와 난동 대신 새로 도입된 지방 의회를 통하여 나타났다. 그와 함께 이스탄불의 중앙 집권적 현상이 두드러졌다. 이것은 교통과 통신망의 발달에 힘입었으며, 1864년에 제정되어 시행된 지방 행정법에서 구체화되었다. 이스탄불 정부는 19세기 중엽부터 이미 200년 전에 자이드(Zaid)파 이맘에게 놓친 예멘에 대한 통치권을 회복하려고 노력하였으나 별 성과가 없었다. 그러나, 히자즈( ij z) 지역에 대한 통치권은 수에즈 운하가 개통되고, 메디나와 다마스쿠스를 연결하는 철도가 1908년에 개통됨으로써 더욱 강화되었다. 그 결과, 1908년에는 메카의 하쉼가(Hashim家) 출신의 샤리프 후세인 이븐 알리(Sharif Husain ibn 'Ali)를 아미르(Amir)로 임명하였다. 이 임명은 술탄 압둘 하미드 2세의 전제 정치에 종지부를 찍은 청년 터키당 정부가 결정한 것이다. 그 이전에 술탄은 아랍계 백성의 불만을 무마시키고 터키 족에 대한 견제 세력을 만들기 위해서 아랍족 출신의 근위병을 창설하고, 아랍의 저명 인사를 요직에 등용하였으므로, 권력 행사에 아랍인은 어느 정도 영향력을 발휘하였다. 그러나, 이 술탄의 몰락과 함께 아랍인은 청년 터키당의 오스만화 정책에 직면하여 중앙 정부에 대한 참여도가 위축되었다. 그 결과, 그 때까지 몇몇 불평 분자의 넋두리에 불과하였던 아랍 민족주의는 비록 아직 소수이기는 했지만, 시리아와 이라크의 지식인과 젊은 장교 사이에 점차 불붙기 시작하였다. 이 민족주의는 아직 오스만 제국의 비옥한 초생달 지역과 아라비아 반도에 대한 통치를 위협할 정도는 아니었다. 1914년에 발발한 제1차 세계 대전은 아랍 민족주의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다. 청년 터키당의 치하의 오스만 제국은 발칸 반도에서 잃은 영토의 회복을 꿈꾸고, 樞軸國(추축국, the Central Powers)에 가담했으므로 연합국(the Allies)은 두 가지 당면 문제에 부딪치게 되었다. 즉, 무슬림 가운데 누리는 술탄의 권위와 영향력에 손상을 준다는 점과 연합국이 승리할 경우 오스만 제국 영토의 분할 여부였다. 이집트와 수단을 통치하고 있었던 영국은 오스만 제국의 술탄 칼리프가 제창한 聖戰(성전, Jih d)의 반향이 두렵다는 사실을 잘 인식하고, 이의 효력을 감소시키려고 예언자 무함마드의 후손이며, 성지 메카와 메디나의 실질적인 아미르(Amir, 首長)인 샤리프 후세인 이븐 알리(Sharif Husain ibn 'Ali)와 협상에 들어갔다. 후세인은 당시 히자즈 지역에 대한 그의 통치권을 확립하여 자기 가문의 영달을 추구하고 있었다. 그는 아들인 파이살(Faysal)을 동원하여 시리아의 아랍 민족주의자들과 접촉함으로써 스스로 이제 싹트기 시작한 아랍 민족의 대변인으로 자처하였다. 그리하여, 영국의 이집트 고등 판무관(High Commissioner)인 멕마흔 경(Sir. Henry Mcmahon)은 이 협상에 임하여 영국이 아랍인의 독립을 지지한다는 의도를 후세인에게 전달하였다. 영국은 비옥한 초생달 지역의 지중해 연안에 욕심을 내고 있는 프랑스와 손잡고, 1916년에 양국 외무성 간에 사이크스-피코 협정(Sykes-Picot Agreement)을 공표하여 중근동의 분할 방안을 논의하고, 겉으로는 아랍족의 독립을 약속하게 된 것이다.
  • 가격500
  • 페이지수61페이지
  • 등록일2004.07.09
  • 저작시기200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00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