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란 무엇인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판소리란 무엇인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판소리란 무엇인가

2. 판소리의 명칭과 기원

3. 판소리의 역사적 전개

4. 판소리의 특징 및 판소리 다섯마당이란?

5. 판소리의 거목들

본문내용

하듯 소리를 질러야 하고, 부침새를 잘 구사해야 하는 <적벽가>를 특히 좋아하여 많은 명창들이 다투어 <적벽가>를 불렀다고 한다.
5. 판소리의 거목들
조상현 선생
-1970년대와 1980년대 선생의 활동 약력 입니다.-
1953 1960 :古 정응민 선생님께 춘향가, 심청가, 수궁가사사 (입문)
1966 1969:목포문화방송국 국악전속 방송
1970 1982:국립중앙 창극단 근무(해외공연
1970 1974:古 박록주 선생님께 흥보가 사사
1973 1975:(사)한국판소리 보존연구회 초대사무국장
1973 현재:제1회부터 판소리 유파발표회 출연 (현재
1974:(사)한국국악협회 방송분과 위원장
1974. 6:국가지정 중요 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심청가)후계자 지정
1975. 4:일본 EXPO 75 해양박람회 초청공연(문공부
1975 1980:MBC-TV 내강산우리노래 전속 출연
1976 1978:새마을잡지한국 여성사 논설위원
1976:국가지정중요 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심청가)이수
1978:(사)한국 국악협회 상무이사
1978. 10:한미친선 예술단 도미공연(문공부
1980:제일동포 위문공연(문공부)
1980. 10 :국립중앙극장 수궁가 완창 발표회
1981:아세아 민속 예술제 참가(홍콩, 문공부)
1982.:KBS-TV 창극단장
1982 현재:사단법인 한국판소리 보존연구회 제5대 이사장취임
1982. 5:뿌리깊은 나무 전통판소리 전집출판 (춘향가 완판)
1982 :국회, 새마을연수원, 정부각부처, 언론기관, 경찰대학,각대학, 각연수원, 각기업체, 일반사회단체, 은행, 각기관,전통 음악 예술강의 활동 중
1982 현재 :남원, 전주, 광주, 경주 및 각지방 전국국악대전 및 명창대회 ,고수대회 심사위원
1983 :재미교포 도미 위문 공연(문공부)
1983 :한국문화예술진흥원 전통예술지원 심사위원
1983 현재:판소리 실기 강습회((사)판소리 보존연구회
1983. 6:문예진흥원 춘향가 발표회
1983. 7: 부산카톨릭센타 수궁가 완창 발표
1984 1995 :전남대학교 국악과 전임교수
1986:프랑스 파리 뽕피드 문화센타 춘향가 완창 발표
1987. 1:국가지정 중요 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심청가) 보유자 후보지정(문공부)
1987. 7: 여수시민회관 심청가 완창 발표
1988 :88서울올림픽 기간 중 전통음악 판소리 공연
1989:동구권, 헝가리, 유고 등 8개 도시 국극 심청전 공연
1989 1998:광주광역시 시립국극단 단장
오정숙 선생
생년월일 : 1935년 6월 21일(乙亥生.女)
현주소 : 전북 완주군 운주면 산북리 동초각 (Tel : 0652-263-8980)
서울 사무실 : 서울시 강남구 논현동 252-1 양우아파트 다동 401호
(Tel : 02-545-9035)
본적 : 서울시 종로구 와룡동 132
출생지 : 경남 진주시
오정숙은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 김연수제 춘향가 기예능보유자이다.
오정숙은 어려서 어른들에게 판소리 기초를 배웠다 한다. 선고께서 오삼룡이라하는데 전주태생으로 명창이었다. 14세때부터 17,8세까지 우리 국악단 단원으로 수행하였다 한다. 이 단체에는 박옥진, 박복아, 조양금(박병기 부인)등이 활동했다 한다. 21세때부터는 창극활동을 그만두고 판소리학습과 공연에 주력했다 한다. 23세때에 상경하여 김소희에게 심청가 범피증류를 배웠다 한다. 24세때부터는 은거하고 있다가 1962년에 김연수선생 전수생이 되었고 그때부터 김연수선생에게 춘향가, 흥보가, 수궁가, 심청가, 적벽가를 공부하였다 한다.
오정숙은 1972년부터 매년 판소리 한바탕씩 완창발표회를 가졌는데 춘향가, 흥보가, 수궁가, 심청가, 적벽가 순이었다 한다. 1977년에 국립창극단에 입단하여 지금까지 창극활동을 하고 있으며 1982년에 중요 무형문화재 제5호 춘향가 기예능보유자 후보로 인정되었고 전주대사습 1회 장원, 남도 판소리 명창부 1회 장원을 하였다.
현재 국립창극단 지도교수 및 서울대, 이화여대, 중앙대, 한양대 등 모든 학교의 출강을 중단하고 향리인 전북 완주군 운주면 산북리 315번지에 스승인 동초 김연수 선생님의 아호를 따서 동초각을 지어 후진을 양성하고 있으며 사단법인 동초제 판소리 보존회 이사장으로 재임하면서 동초제 판소리의 전국민 보급과 보존 육성에 노력하고 있다.
박동진 선생
1916년 충남 공주에서 태어났다. 대전공립중학 졸업반이던 열여섯살 때 판소리를 배우기 위하여 학교를 그만두었다. 1933년 당대의 명창으로 이름난 김창진 밑에서
심청가
를 배운 것을 시작으로 하여, 정정열에게서 춘향가(1934), 유성준에게서
수궁가
(1935), 조학진에게서 적벽가(1936), 박지용에게서 흥부가(1937)를 배우는 등 전국을 돌아다니며 소리를 익혔다.
1962년 국립국악원 국악사로 임용되었다. 1968년 '흥부가'를 완창하여 판소리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였다. 당시 소리꾼의 평균 공연시간이 20분 정도였던 데 비하여 5시간에 걸친 흥부가의 완창은 기록적이었다. 이어 1969년 춘향가(8시간), 1970년
심청가
(6시간), 1971년 적벽가(7시간)를 완창하는 등 거의 모든 판소리를 완창하였다.
1973년 판소리 다섯 마당 중 가장 비대중적이라는 '적벽가' 의 완창 능력을 인정 받아 중요무형문화재(인간문화재) 제5호 판소리 적벽가 예능보유자로 지정되었고, 같은해
국립창극단
단장으로 임명되었다. 1984년에서 1986년에 걸쳐 강릉해화전,
무숙이타령
, 궁가, 옹고집전, 장끼타령 등을 완창하였다. 1987년 국립국악원 지도위원이 되었고, 1993년 인간문화재진흥회 회장과 국립극장 명예종신단원이 되었다.
작품으로 《판소리 이순신장군 일대기》가 있고, 1995년에 음반《박동진 명창의 바탕소리로 듣는 판소리 길잡이》를 내놓았다. 은관문화훈장, 국악대상, 서울시 문화대상, 한국문화대상(성악) 등 많은 상을 수상하였으며, 1996년에는 판소리 전승에 기여한 공로로 제3회 방일영 국악상을 수상하였다.
최동현, 『판소리란 무엇인가』, 에디터, 1994.
서대석, [판소리의 기원],『판소리의 세계』, 문학과지성사, 2000
  • 가격1,4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4.08.24
  • 저작시기2004.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41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