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항공기 산업 - 보잉 VS 에어버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차세대 항공기 산업 - 보잉 VS 에어버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세계의 항공산업
1. 세계의 항공기 산업의 동향
2. 90년대 이후, 세계의 항공우주산업

Ⅲ. B7E7 vs A380
1. 차세대 항공기 출시 배경
2. 각 항공사가 보는 향후 전망
3. 항공기 제원 비교
4. 수주 상황

Ⅳ. 수요예측

Ⅴ.우리의 대응
1. 우리나라의 입장
2.우리나라의 실정에 비추어본 A380과 B7E7의 장점
3. 취항 노선별 적합 항공기

Ⅵ. 결론

본문내용

비엔나
1개
노르웨이
오슬로
1개
체코
프라하
1개
자료 : 대한항공 homepage
[표 ] 대한항공 취항노선
국내 - 14개 도시
국제 - 32개국 75개 도시
합계 - 33개국 89개 도시
A 330, A300 이 운항하는 공항
- 일본
; 아오모리,후쿠오카,가고시마 ,나가사키, 나고야, 오이타, 오사카, 삿포로, 도쿄, 하네다, 도쿄 나리타
- 중국
; 홍콩,킹따오 상하이 텐진
- 아시아
; 울란바토르 타이베이 호치민 방콕 콸라룸푸르 자카르타 봄베이
- 오세아니아
; 브리즈번 ,난디
- 유럽
; 취리히,로마,모스크바 ,프라하
스케쥴은 항공사간 경쟁에 중요한 수단으로서 보다 많은 비행과 유리한 시간대의 비행편 확보 등의 경쟁전략과도 상통한다. 즉 대형항공사의 경우 항공기 이용률을 높이는 효율적 항공기 배정이 무엇보다 중요하고 실제 하루에 평균 2분씩 이용률을 증가시킨다면, 한 대의 항공기를 더 보유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는 다고 한다.
우리나라의 이와 같은 실정에 비추어서 A380과 B7E7 도입시 장단점을 살펴보자.
2. 우리나라의 실정에 비추어본 A380과 B7E7의 장단점
실제 일본의 경우 전일본공수(All Nippon Airways)가 B7E7의 단거리 모델 50대를 주문했다고 한다. 이는 향후 일본 국내선의 항공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이에 적합한 모델이 B7E7이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나라 역시 과연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적합한 모델이 무엇인지 예측, 분석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A380
장점
우선 A380은 우리나라의 입장과 상통하는 경쟁전략을 내놓고 있다.
이제까지 우리나라는 인천공항을 동북아 허브로 만들기 위한 투자를 아끼지 않았고 A380 역시 555석 대형규모의 항공기를 이용하여 허브공항을 연결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둘째, A380과 같은 대형기의 경우 일반적으로 항공기가 클수록 단위 직접운영비는 작아진다고 본다. 이는 항공기의 운영비가 유로하중에 비례해서 증가하지 않기 때문이다. 비행시간 또는 블록 시간당 운영비는 항공기가 클수록 커지지만, 이 시간당 비용을 다시 좌석수로 나누면 큰 항공기일수록 좌석-킬로미터당 직접운영비는 줄어들게 되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는 항공사의 입장에서도 이득이 되는 측면이다.
단점
A380의 경우 무게나 크기의 규모가 엄청나서 우리나라에 도입하게 될 경우 상당한 문제점이 예상된다. 쉬운 예로 기상이 나빠져서 인천 공항에 착륙할 수 없는 상황에 쳐하면 이에 대한 교체공항 선정이 어려울 수 있게 된다. 실제 우리나라의 국제선 회항율은 총 126,595 운항횟수 중 회항은 150회 발생했으며 회항지로는 김포(78회), 제주(29회), 김해(14회), 중국 대련(5회)이 있었다. 그나마 이들을 제외한 여타 공항들은 이착륙 여건이 대형기에 맞지 않는 다고 한다.
B7E7
장점
B7E7의 경우 규모가 작기 때문에 상당한 융통성을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즉, 높은 운항빈도는 스케줄 계획에 유연성을 부여하고 이로 인해 항공기 이용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해주어 단위 비용 감소에 기여한다.
게다가 B7E7은 경쟁 기종인 A330-200에 비해 20%의 연료 감소가 가능하므로 요즘과 같은 고유가 시대에 특히 석유 전량을 수입하는 우리나라의 경우 상당한 이득이 될 것이다.
단점
한편 B7E7은 'Point to Point'의 Non - stop이 목표로 앞으로는 대도시 간을 운항하는 슈퍼 점보가 아닌 대다수의 사람들이 여행하는 중형 도시들을 연결하는 작은 여객기가 주류를 이룰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의 입장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
만일 B7E7기와 같이 9500마일을 운항하는 기종이 일반화 되어 홍콩에서 뉴욕까지의 긴 장거리 구간 운항이 가능하게 된다면, 그간 동남아와 미주를 오가던 상당수의 승객을 잃게 되어 우리나라에겐 타격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3. 취항 노선별 적합 항공기
A380과 B7E7은 서론에서도 언급했듯이 동급이 아니므로 단순 비교 대상은 아니다. 따라서 이들이 투입되는 노선도 각자의 특성에 맞게 적절한 배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A380
A380은 여객이 많은 노선을 중점적으로 투입하고, 특히 성수기나 Peak time에 활용하여 항공사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활용해야 할 것이다.
B7E7
B7E7이 연료감소율이 탁월하다면 A330에 대응하는 기종으로 활용해 볼 만하다. 연료가 항공사의 수익에 상당한 영향을 끼치고 조금이라도 이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B7E7의 도입은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Ⅵ. 결론
이제까지 살펴 본 바와 같이 새로운 전환기를 맞아 Airbus와 Boeing의 경쟁은 치열했다. 각기 추구하는 미래형 민간항공기의 모습과 역할이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우선 그들이 예상하는 미래의 항공시장이 현재와 같이 '허브 앤 스포크' 개념이 계속 유지될지 아니면 'Point to Point' 개념의 지역간 항공 운송이 우세하게 될지 관한 전망의 차이와 연료절감의 측면을 중시하는 입장과 보다 큰 대형기를 지향하는 입장이 대두되었다. 그러나 이들이 공통적으로 인정하는 것은 이 두 회사 중 누구도 옳을 수는 없다는 점이다.
과연 미래의 항공시장이 Airbus가 전망한 대로 나아가게 될지 아니면 Boeing이 전망한 대로 바뀔지 단정 할 수는 없다. 그러므로 수요자는 각각의 장점만을 이용할 수 있도록 정확한 예측, 분석을 바탕으로 결정해야 할 것이다.
이들의 선의의 경쟁이 곧 고객들에게 다양한 선택권을 부여한다는 점과 탁월한 선택을 한 항공사만이 여행이나 비즈니스 고객들에게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곧 항공사들이 현재의 기종 단순화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것과는 별개로 차후에 새로운 기종을 도입 해야만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앞으로의 항공시장에서 경쟁이 치열해 진다면 항공사의 입장에서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수입증대에도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항공기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A380이나 B7E7은 이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을 것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4.08.25
  • 저작시기2004.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41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