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표기,서동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말 표기,서동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우리말 표기

1. 한자 차용 표기

서동요

1. 원문 내용 및 해석

2. 단어 해석

3. 요점

4. 배경 설화

5. 연구

본문내용

일으킨다. 여기서 그녀는 절대적인 요정으로부터 사랑의 화신으로 변모되면서 자신의 부끄러운 모습을 조용히 감출 수밖에 없다.
그래서 공주는 그 상대를 감추어‘ 두고(置古) ’내어 놓지 않는다. 그것은 가장 소중한 것을 오롯하게 확보하고 있는 안정감을 드러낸다. 그런 가운데에‘ 서동방(薯童房 : 서동의 방) ’ 이 갑자기 등장하여, 그 공주의 상대가 겨우 서동이요 그들의 야합처가 바로 그의 방인 것을 확인시킨다.
공주는 금지옥엽의 몸으로 미천한 서동과 결합하여 파격적인 충격을 주면서, 그가 숨어 있는 밀실로 찾아간다. 그녀는 자신의 모습과 만남의 현장을 감추기 위하여‘ 밤에(夜矣) ’ 비로소 행동을 개시한다.
이 밤에 공주는‘무엇을(卯乙)’가지고 갔는가. 이것은 이 노래의 큰 관심거리로서 그 ‘무엇’의 실상을 끝까지 감추고 드러내지 않는다. 이 노래의 함축미와 신비성이 그 ‘무엇’에 매여 있다.
이 공주는 그‘무엇’을‘안고(抱遣)’가는 것이다. 이‘안고’는 그 대상을 가장 소중히 여기고 직접 교감하면서 가슴 속 깊이 감추고 있음을 명시한다. 드디어 공주의‘가다(去如)’로 이 노래는 끝난다.
그것은 공주가‘간다’는 긍정적 종결이 아니고, ‘가는가’라는 의문형 종결이다. 이 노래에 일관되는 감춤의 문맥으로 보아서 감탄성 의문형이라야 맞는다. 마지막 어미를 이런 의문형으로 표현함으로써, 이 노래는 긴 여운을 남기며 끝까지 감춤의 아름다움을 지키는 ‘사랑의 주사’로 승화된 것이다.
이 노래는 서동설화의 내용을 절묘하게 집약하였으며, 산문전승의 존재와 전개를 좌우하는‘사랑의 정화’로서 문학성과 주술성을 잘 조화시키고 있다. 따라서 이 노래는 그것 자체만을 분리시켜 별도로 고찰하기보다는 그 산문전승의 문맥 위에서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
池憲英, 鄕歌麗謠新釋, 正音社, 1946.
梁柱東, 增訂古歌硏究, 一潮閣, 1965.
金烈圭, 鄕歌의 文學的硏究, 西江大學校人文科學硏究所, 1972.
李丙燾, 薯童說話에 對한 新考察, 歷史學報 1, 1953.
金善祺, 쑈뚱노래, 現代文學 151, 1967.
金炳旭, 薯童謠考, 百濟硏究 7,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1976.
薯童謠硏究(金鍾雨, 三國遺事와 文藝的價値解明, 새문사, 1982.
黃浿江, 薯童謠硏究, 新羅文化 3 · 4,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1987.
史在東, 薯童謠의 文學的 實相, 韓國文學流通史의 硏究 Ⅰ , 中央人文社, 1999.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09.09
  • 저작시기200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60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