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원 운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론

II. 수도원 운동의 전개
1. 수도원의 기원
2. 중세초기의 수도원 운동: 아일랜드와 베네딕트 수도원(6세기)
3. 스투디움의 테오도레와 과격파 수도원운동(8세기)
4. 클루니 수도원운동과 교회개혁(10세기)
5. 시스터시안 수도원 운동(12세기)
6. 탁발 수도사운동(13세기)

III. 수도원주의와 경건생활
1. 서언
2. 경건생활의 내용: "Ora et Labora"
3. 수도원정신과 자본주의

IV. 수도원운동의 영향
1. 교회와 사회의 개혁
2. 지역사회의 개화: 경제적 측면
3. 성서와 신학의 발달: 스콜라철학

V. 결론 - 수도원 운동의 현대적 의미
1. 수도원운동과 개인의 경건
2. 수도원운동과 사회개혁
"중세 수도원 운동과 경건생활에 대하여"

본문내용

해 성경의 사본이 만들어지고 학문이 발달하고 교육이 진흥되었다는 점이다. 중세의 수도원과 대사원에는 부속교육기관이 있었는데 이러한 부속학교들이 후에 대학으로 발전하였으며 이러한 대학을 중심으로 배출된 학자들(school men)에 의해 이루어진 신학을 스콜라 철학이라고 한다. 11세기와 12세기의 대표적인 학자로는 켄터베리의 안젤름, 아벨라드, 빅터의 휴고, 중세기 신학교과서인 '센텐스'의 저자인 피터 롬바드가 있다.
도미니칸은 처음부터 학문중심이었고 기독교 신앙에 대한 변증을 위해 교리를 연구하였으므로 스콜라 신학에 큰 영향을 주었다. 그리하여 알버투스 마그누스와 토마스 이퀴나스가 배출되었다. 특히 아퀴나스는 5세에 수도원학교에 입학하였으며 19세에 도미니칸 수도원에 가입하여 알버투스부터 신학을 배워 중세 스콜라 신학체계를 완성하였다.
프랜시스칸들은 원래 학문연구 보다는 실천신학에 치중하였는데, 이후 신앙의 우위성은 믿었으나 신앙을 전파하는 데에는 학문이 없이는 불가능하다는 것을 깨닫고 신학연구에 집중하였다. 이리하여 각 지방의 대학과 사원학교에 탁발수도사들이 대거 신학교수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고 그 결과 할르의 알렉산더, 보나벤투라, 던스 스코투스, 윌리암 오캄과 같은 신학자들을 배출하였다.
V. 결론 - 수도원 운동의 현대적 의미
1. 수도원운동과 개인의 경건
우리가 교회사를 공부하는 목적은 과거 교리의 일어남과 그 결과를 공부해서 지금 어떻게 믿어야 하는가를 살피는데 있다. 그러한 관점에서 중세 교회사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 수도원운동에서는 경건생활이 신앙의 가장 핵심이며, 경건을 지킨다는 것이 얼마나 어렵고 힘든 싸움이라는 것을 배워야 할 것이다. 처음에는 은둔생활이나 고행을 통해 인간의 욕망을 억누르려고 하였고, 이후에는 수도원에서 집단생활을 하면서 엄격한 계율하에 경건생활에 힘을 썼으며, 후기에 와서는 탁발수도운동으로 세상속에서 경견운동의 실천을 하였지만 시간이 갈수록 세상과 타협하면서 속화되어 갔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중세 1천년을 통해 끊임없이 계속된 수도원운동의 시작과 타락 및 개혁의 순환은 우리 개개인의 경건생활에서도 그대로 재현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초기수도원운동의 정신을 공부하여 그를 본받고 수도원의 타락원인을 살펴 이를 거울로 삼아 속화를 방지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중세 1천년을 통해 끊임없이 계속된 수도원운동의 시작과 타락 및 개혁의 순환은 우리 개개인의 경건생활에서도 그대로 재현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초기수도원운동의 정신을 공부하여 그를 본받고 수도원의 타락원인을 살펴 이를 거울로 삼아 속화를 방지해야 할 것이다.
2. 수도원운동과 사회개혁
수도원운동은 교회와 개인의 신앙생활뿐 아니라 중세 사회와 세상에도 큰 영향을 미쳐 교회의 개혁이 이루어지면 경제와 문화가 발달하고 교육이 풍성하게 일어났음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기독교가 들어오면서 학교와 병원이 건립되어 사회개혁에 큰 역할을 하였고 3 1운동과 같은 민족적 의거에도 많은 기독교 신자들이 참여하였으며, 그 결과 외래종교인 기독교가 우리 사회의 중심 되는 신앙으로 뿌리를 내리게 되었다. 이에 따라 현대에 와서도 기독교가 사회개혁문제에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개혁을 이루어야 한다는 주장들이 교회내에서 많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중세의 수도원운동을 살펴볼 때 그 순서는 우선 수도사(개인)의 경건생활을 통해 자신을 깨끗이 한 후에야 교회의 개혁이 이루어 졌으며, 교회가 개혁으로 영적 권위를 회복한 후에야 그 힘으로 사회와 세상을 변화시켰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에 대한 하나님의 뜻은 개인의 경건생활에 우선적으로 맞추어져 있음을 믿어야 한다.
  • 가격1,4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4.09.27
  • 저작시기200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86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