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y-Dick의 사상적 형성 배경과 작품 분석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Moby-Dick의 사상적 형성 배경과 작품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Moby-Dick의 사상적 형성 배경
1. 사상적 형성 배경
2. 작품 분석

Ⅲ. Moby-Dick 의 'Ambiguity'와 Melville 의 'Gnosticism'
1. Melville문학의 Duality
2. Duality속의 Gnosticism
3. Melville의 세계관 - Gnosticism

Ⅳ. 결 론

Ⅴ.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y Dick] outrageous strength, with an inscrutable malice sinewing it(Ch. 36)."
"Thou knowest not how came ye, hence callest thyself unbegotten; certainly knowest not thy beginning, hence callest thyself unbegun. I know that of me, which thou knowest not of thyself, oh, thou omnipotent. There in some unsuffusing thing beyond thee, thou clear spirit, to whom all thy eternity is but time, all thy creativeness mechanical… defyingly I worship thee(Ch. 119)."
Moby-Dick에는 위에 든 것 이외에도 이 같은 Gnosticism의 색체가 농후한 표현들이 도처에 산재해 있고, 그 중에서도, Ch. 119("The Candles")는 chapter전체가 이를 바탕으로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물론 이러한 사실만을 가지고 Melville이 Gnosis를 신봉했으며 Moby-Dick의 세계가 Gnosticism의 지배하에 있는 세계라고 단정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Melville은 그 자신이 체험하고 목격한 인생의 참담한 실상을 통해서 스스로 도달해있었던 자신의 세계관에 보다 더 실질을 더해 주기 위해 Gnostic의 주장을 적절하게 활용했다고 보는 것이 옳을 것이다. 다만 분명한 것은 이같은 Gnosis적인 세계관이 Melville자신의 blasphemy(또는 'Gospel')를 독자들이나 작가 자신이 인간적인 온전함을 유지하면서('in his own proper character')직면할 수 있게 해주는 veil, 다시 말해서 ambiguity를 보다 완전한 구실을 하게 하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또한 그것은 그 veil과 상호보완적으로 Ishmael(또는 Melville자신)이 하마터면 헤어나지 못할 수도 있었던 nihilism과 atheism의 흡인력을 약화시키는 효과도 발휘했다는 사실이다. Moby-Dick에 뒤이어 발표한 Pierre의 부제가 The Ambiguities가 된 것은 우연한 일이 아니었는지도 모른다.
Ⅳ. 결
- 18 -

이상 Moby Dick을 분석한 대로 Moby Dick을 전우주로 Ishmael을 인간생활의 관측자(observer of human life)로 각각 상징하고 Moby Dick과 Ishmael 사이에 등장되는 덕(virtue)과 악(evil)을 대표하는 인물, 를 대표하는 인물, 또한 <고립>과<사회성>을 상징할 수 있는 사건을 각각 규명하였다. 등장된 인물, 그리고 대상(object)과 사건(event)을 통하여서 <덕> <악>, <어두움> <밝음>, 그리고 <고립>및 <사회성>의 세 category로 분류되었고 세 category는 행복한 측면(happy side)과 슬픈 측면(sad side)으로 양분이 되며 그 대립적 관계는 곧 대립적 상징을 의미하는 것이다.
Melville이 제시한 대립적 상징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 즉 여기에 대한 Melville 자신의 태도가 어떠한가? Ahab및 starbuck같이 삶을 다각적으로 관찰 못하는 독선적이 아니고 전우주 및 인류를 한 울에 넣고자 하는 Ishmael같은 인물이 그의 주인공이 될 수 있다. 즉 Melville은 균형적이며 타인과 조화할 수 있는 인물이 아니면 그의 주인공이 될 수 없는 것이다. Melville은 극단을 비격(批擊)하는 것이다. Moby Dick에서 Melville은 극단을 취하면 비극을 초래한다는 교훈을 보여주고 있다. Ahab의 경우를 말한다면 유한적인 인간으로서 한 가지일에만 열광적이 되면 멸망을 면할 수가 없다는 것이다. Ahab의 운명을 통하여 볼 때 신에 항거하는 것은 잘못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반대로 신에게 너무 기대하고 낙관적인 태도를 가지는 것도 Melville은 극단으로 인정한 것 같다. starbuck의 최후의 말을 보면 "Is this the end of all bursting prayers?"라고 했다. 이 말은 starbuck이 Moby Dick의 공격을 받아서 절망적인 말이 나오게 된 것은 신을 過度로 신뢰했다는 것이다. starbuck은 단순하게도 신을 믿고 기도만하면 곧 기도의 대상 즉 신의 인자하심이 수반된다고 확신했기에 돌발적인 죽음에 대하여 원망스러웠던 것이다.
Ahab와 starbuck의 예를 들어서 볼때 Melville이 제시한 주제는 낙관주의로서 인생생활의 장애물을 극복하는 것도 거부하고 또한 의지력을 신격화하여 신의 섭리를 역행하는 극단도 물론 거부하고 있다. 그러므로 Melville의 주인공 Ishmael이 보는 인생관은 선과 악이 동시에 존재한다고 생각한다. 대립적 상징의 어느 쪽이라도 한쪽에만 속하는 사람은 선과 악이 공존한다는 이원론적인 관찰을 할 수 없다는 것을 Melville은 지적하며 동시에 인간은 포부와 무기력의 양극을 조절하고 인위법과 신의 섭리를 조화시키는 것이 선악 및 명암을 함께 구할 수 있다는 것을 상징이라는 창작수법을 통하여 우리들에게 교시하는 것 같다.
참 고 문 헌
신원철『Melville의 문학연구』(서울:한신문화사,1992)
양병탁『영미작가론』(한국영어영문학회:신구문화사,1981)vol.6.
양병탁『영미작품론』(한국영어영문학회:신구문화사,1981)vol.7.
이태동『19세기 미국 소설 연구』(한국영어연구학회:민음사,1979-81)
오국근『백경;삼성판 세계 문학 전집』(서울:삼성출판사,1986)
임헌기『Melville의 주요 소설 연구;주요 인물들의 성서적 조명』
(서울:한신문화사,1992)
최창학『Moby-Dick의 'Ambiguity'와 Melville의 Gnosticism』(영학론집: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4.11.01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20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