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전통문화의 이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가림토 문자
1.1 가림토 문자의 발생
1.2 한글과 가림토 문자
2. 일본의 고대글자
2.1 신대문자의 발생
2.2 일본어의 발전과정
3. 현대 일본어
3.1 일본어의 특징
3.2 일본의 문자
3.3 경어
4. 현대 일본어와 한국어의 비교
4.1 한국어에서 일본어로
4.2 일본어에서 한국어로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및 web site

본문내용

세는 수사로서 또 다른 체계가 있다. 말하자면 '하나, 둘, 셋, … 열'에 대응하는 말이다. 물론 현재 우리가 쓰고 있는 '하나 · 둘 · 셋… '의 숫자 이름체계는 신라어이다.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결과로, 고구려 말은 한반도의 중심무대에서 퇴장해 버렸으나 일본에 건너가서 살아남았다.
삼국사기 고구려 본기 지리지의 지명에 남아있는 숫자는 다음 표와 같다.
수사
현재 일본어 수사
고구려 지명에서 확인된 숫자 읽기명
1 하나
ひとつ(히토쯔)
2 둘
ふたつ(후타쯔)
3 셋
みっつ(밋쯔)
미(み), 밋(みっ)
4 넷
よっつ(욧쯔)
5 다섯
いっつ(이츠쯔)
いつ
6 여섯
むっつ(뭇쯔)
7 일곱
ななつ(나나쯔)
なな
8 여덟
やっつ(얏쯔)
방언'야듭', '야뜨'와 대응
9 아홉
ここぬつ(고꼬노쯔)
10 열
とお(토-)
とお(と)
일본 숫자명과 고구려 지명에 나타난 숫자명( 삼국사기 지리지편에서 발췌한 것임 )
위의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네 가지 숫자를 세는 말은 고구려 지명에 명확히 남아 있어서 고구려어임을 알 수 있다. 다만 지명포기는 철저한 이두식 표기에 의해서 이루어졌으므로 이두로 풀면 숫자의 절반가량이 풀린다. 그러나 위의 네 가지를 제외하면 기타의 나머지수는 그 연원을 알 수 있는 자료가 없으므로 파악할 방법이 별로 없다. 다만 ひとつ(히토쯔)는 '홑'(單, 단)이라는 말에서 그 흔적을 엿볼 수 있을 뿐이며, '여덟'을 북한 지방에서나 호남에서는 '야듭'으로 발음하고 있어서 어두음(語頭音) 야(や)가 정확히 대응하는 것으로 보아 やっ(얏)의 っ가 '듭(덟)'의 'ㅂ'이라는 음가를 대신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런데 수사(數詞)에는 일정한 통일성과 체계가 있기 마련이다. 이를테면 'いち, に, さん…' 의 읽기를 하다가 욧츠(よっつ) 또는 이츠쯔(いっつ)로 바꿔서 세는 경우는 없으며, 더 나아가 서로 다른 나라말을 섞어 쓰지 않는다. 한마디로 일본의 수사는 고구려어 이다.
4.2 일본어에서 한국어로
나라부(ならぶ) 라는 말은 '줄을 잇다', '나란히 있다' 는 뜻을 가진 말 이다. 이 말의 부사형으로서 '나란히', '나라니'라는 의미로 쓰일 때는 '나라베데(ならべて)'라고 한다. '나란'이라는 어간이 정확히 같아서 '나란'과 '나라'의 어간이 정확히 같다.
"주욱 나래비 서서 가야 되니?"
이렇게 말할 때의 '나래비'는 ならぶ(나라부)의 명사 ならび(나라비)에서 나온 말이다. 이것은 일제시대에 기생하게 된 말이니, 말하자면 일본어가 남긴 역이민(逆移民)의 흔적이다.
Ⅲ. 결 론
지금 까지 우리나라 언어의 기원과 일본어의 기원, 일본어의 변천과정과 우리나라 어와의 일본어의 비교를 해보았다. 가까우면서도 먼 나라라고 일컬어지고 있는 일본과 우리나라는 차이점도 많았지만 비슷한 점이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일본어가 우리나라 언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한글이 최초의 우리나라언어라고 확신하고 있던 나에게 가림토어는 꽤 큰 충격이었다. 물론 확실하다는 증거가 나온 것은 아니지만 여러 다양한 증거로 인해 가능성을 제시 한 것은 한국사람 으로서 한글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였다. 또 자료를 보던 중, 예전의 일본과 우리나라가 교역했다는 문서에 통역이 필요하지 않았다는 사실로 보아 일본과 우리나라의 언어는 북한과 우리나라의 언어 정도의 차이밖에 없었다는 사실도 신기했다.
일본의 한자로 쓰인 단어들이 우리나라의 언어와 발음이나 쓰이는 곳이 비슷하다는 사실은 일본어를 배우면서 느낀 것이었다. 내가 알고 있는 단어 중 '공원'이라는 단어도 일본어로 '코우엔'이라도 할 정도로 비슷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다른 단어에서는 별로 비슷한 점을 느끼지 못했었다. 내가 빌린 책에는 일본어와 우리나라의 비슷점, 일본단어의 기원이 우리나라임을 밝히는 많은 단어들이 있었는데, 그것을 보다보니 일본어가 더욱 친근하게 다가오고 단어를 암기하기도 더 쉽게 느껴졌다.
일본어와 우리나라의 단어가 비슷했다는 사실은 알았는데 우리나라 안에서의 말의 변화는 잘 알지 못하는 것이 안타까웠다. 예전 삼국시대에 삼국의 말이 어떠했으며 어떻게 변천되었는지도 알아보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였다.
일본의 언어의 기원과 변천사를 살펴보면서 우리나라의 언어에 대해서도 조금이나마 더 알게 되었고, 관심을 갖게 되어서 다행이다. 일본어는 여러 가지의 글자(히라가나, 가타가나, 한자)를 합쳐서 쓰느라 배우기도 쉽지 않고 일본어 자판을 치면서 일본어로 타자를 치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을 느꼈다. 그에 반해 우리나라 언어는 굉장히 단순하면서 많은 글자를 표현할 수 있기에 한글에 대해 자부심을 느낄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Ⅳ. 참고문헌 및 web site
일본고대문자
< web site >
http://bluecabin.com.ne.kr/data_store/shindamoonja.htm
http://www.jls.co.kr/
http://www.jls.co.kr/japan/qna/japanconversationsystem.htm
http://www.jls.co.kr/japan/conversation/jlan1_0.htm
http://www.donggoo.hs.kr/study/japan/%C8%F7%B6%F3%B0%A1%B3%AA%B8%DE%B4%BA.htm
http://www.uhak.net/japan2/language/japanese.asp
http://mahan.wonkwang.ac.kr/culture/97fall/기사02.htm
http://www.jsd.or.kr/a/change/k_change10.htm
http://hanbada.kmaritime.ac.kr/~k9627503/han/han9_2.htm
http://design.cj.co.kr/jun/COLU/column1.html
< 참고서적 >
권재선(1994) 『한글』가림토에 대한 고찰 제 224호, 한글학회
문화이론연구소(2001) 日本人과 日本文化의 理解, 보고사
김용운(1998) 문화로 배우는 이야기 日本語, 디자인하우스
서동찬(2000) 일본어 그거 다 우리말이야!, 동양문고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4.11.09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27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