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개론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철학개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부 고대철학
제 1장 희랍로마 신화
제 2장 자연철학
1. 일원론적 자연철학
2. 다원론적 자연철학
제 3장 아테네기의 철학
1. 소피스트
2. 소크라테스
3. 플라톤
4. 아리스토텔레스
제 4장 헬레니즘-로마시대의 철학
1. 스토아(Stoa)학파
2. 에피쿠로스학파
3. 회의학파
4. 절충주의학파
5. 신플라톤학파

제 2부 중세 철학
제 1장 기독교 사상
1. 기독교의 기원
2. 예수의 생애
3. 예수의 사상
제2장 교부철학
1. 그노시스파
2. 호교파
3. 아우구스티누스
제3장 스콜라철학
1. 초기 스콜라철학
2. 중기 스콜라철학
3. 후기 스콜라철학
4. 독일 신비주의
근세철학의 배경 ( 르네상스 및 종교개혁의 의미 )
1. 자연과학의 발달
2. 휴머니즘
3. 르네상스 (Renaissance)
4. 종교개혁
5. 근세 초기의 사회적·정치적 변혁
6. 과도기의 철학

합리론과 경험론 ( 이성과 경험 )
1. 대륙의 합리론
2. 영국의 경험론

칸트의 비판철학 (지식과 도덕)
1. 비판 전기
2. 순수이성비판
3. 실천이성비판
4. 판단력비판
5. 종교론
6. 교육론
7. 비판철학 이후
8. 평가

독일관념론과 유물론 (정신과 물질)
독일관념론
1. 피히테
2. 셸링
3. 헤겔
유물론
1. 포이에르바하의 유물론
2. 맑스의 유물론
실존주의 (삻과 철학)
제 3장 20세기의 철학
1. 현상학
2. 해석학
3. 비판이론
4. 철학적 인간학
5. 신 형이상학
제 4장 영미철학
1.실용주의
2. 분석철학

《 중 국 철 학 》
1.선진유학
1) 공자(孔子)
2) 맹자
3) 순자
2. 도가사상
1) 노자
2) 장자
3) 청담사상
4) 도교사상
4. 제자철학
1) 묵자
2) 양주
3) 명가(名家)
4) 법가
5. 송대 성리학

《 인 도 철 학 》
1. 고대철학
2.불교철학

본문내용

해 가는 것.
(4) 평가
- 송대 이학 집대성
·「사서집주」- 중국사상의 성서가 됨.
·궁리학설 - 송명이학의 영혼
·백록동서원의 교조 - 중국 교육의 지표가 됨.
- 중국 철학사에 있어서 가장 체계적이고 가장 큰 영향력을 끼친 사람.
《 인 도 철 학 》
1. 고대철학
■■■■ 제 1기 : 고대베다 or 찬미가의 시대 (기원전 약 1500 ∼ 1000년 )
■■■■ 제 2기 : 봉헌신비주의 시대 ( 기원전 약 1000 ∼ 700년 )
■■■■ 제 3기 : 우파니샤드 시기 (기원전 700 ∼ 500년 )
1) 찬미가 시대
- 찬미가 : 그 시대의 인도 아리아인이 지니고 있던 인생과 종교적 관념에 관한 그들의 분명한 모습을 전달해 줌.
- 종교적 관념의 특징 : 생명체와 비생명체, 인격체와 사물, 그리고 정신적인 것과 물질 적인 것을 전혀 구별하지 않음.
- "많은 신들이 있는 곳에 어떤 궁극적인 세계원인이 있으며, 또 대우주는 어떻게 하여 태초의 근원에서 발생하였는가?"하는 의문으로부터 모든 철학적 사유 발생
2) 봉헌 신비주의 시대
- 오늘날까지 전체 인도생활의 특질을 이루어오며 힌두교도 국가로서의 면모를 결정지은 사회적인 모든 기구가 바로 이 때 형성
- 힌두 사상의 두 가지 핵심개념( 브라아만-외부세계에 있음, 아트만-내부세계에 있음 ) 이 이시기에 점차로 윤곽을 드러내면서 동시에 철학적 관심의 전면에까지 등장함.
3) 우파니샤드 시대
- 승려들을 위한 바라문 법전이나 해설서 따위가 끊임없는 사색에 열중하던 대다수 인도 인의 정신을 만족시킬 수는 없었음 북부 삼림지대에 살던 예언자와 수도자들의 탐구 와 사색에 의해 우파니샤드(Uphanishad) 창조
- 근본입장 : 극히 염세적.
- 주요사상
① 아트만과 브라만의 교리
·브라만 - 기도나 신성한 깨달음 일반적인 창조적 세계의 원리
·아트만 - 본질 독자적인 자아
우파니샤드에 따르면 우주적 본체로서의 브라만과 현상적인 개인으로서의 아트만은 하나! 범아일체(梵我一體)
② 윤회와 구제의 사상
· 모든 인간은 끝없는 윤회로부터 벗어나야 한다. 해탈
· 해탈을 위해서는 모든 탐욕적 행동을 지양하고 생에 대한 욕망을 극복해야 함.
- 우파니샤드 사상은 신과 영혼의 일치 추구
2.불교철학
1) 유물론과 자이나교
① 유물론학파 - "물질만이 유일한 실존체이므로 모든 정신적 작용마저도 물질에 귀속된 다."
- 인간의 유일한 최고목표 : 감각적 욕망
② 자이나교 - 윤리적 요청이 지나치게 엄격
2) 석가(기원전 566 ∼ 486년)
3) 불교의 진리
·본래 부다는 반형이상학적인 태도를 취하여 영혼과 신체의 상호관계나 사후의 부활 여 부, 그리고 세계의 유무한성 등을 토론의 대상에서 배제.
(1) 삼법인
·인간구제의 근본명제 - 불교의 삼법인(三法印)
·법인 : 변함없는 진리
① 제행무상(諸行無常) : 모든 것은 인연에 따라 생멸하기 때문에 변화할수 밖에 없으며, 따라서 제행은 무상하다.
② 제법무아(諸法無我) : 원래 사물에는 '나'라고 할 만한 실체가 없다.
- 무아(無我)인 이유 : 모든 것이 인연이기 때문.
- 사정이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인간이 자기의 실체아(實體我)만 고집하기 때문에 모 든 아집과 오류 발생
③ 일체계고(一切階苦) : 제행무상과 제법무아의 이치를 깨달을 때 고통은 소멸. 고통의 극복은 실상(實相)을 파악하는 깨달음의 지혜로부터 나온다.
(2) 사성체(四聖諦) : 네가지의 신성한 진리
① 고체(苦諦) - 모든 삶이 번뇌다.
- 八苦로 괴로울 수밖에 없는 인간은 인간실존은 욕망에서 비롯됨.
- 현실적으로 엄습하는 이 괴로움의 원인은 집체에서 다룸.
② 집체(集諦) - 그 번뇌는 욕망에서 싹튼다.
- 현재의 괴로움이 있게 된 원인.
- 인간의 괴로움은 세가지 좋지 않은 마음(三毒心)에서 비롯.
‥ 三毒心 - 탐욕, 진에(瞋 ), 우치(愚癡)
③ 멸체(滅諦) - 그러므로 욕망을 지향해야 한다.
- 열반 : 삼독심의 불꽃을 끈 상태.
④ 도체(道諦) - 그러한 해탈의 길은 여덟가지 바른 길을 따라감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 八正道 : 올바른 견해(正見), 올바른 사유(正思), 올바른 말(正言), 올 바른 행동(定業), 올바른 직업(正命), 올바른 노력(正精進), 올바른 기억(正念), 올바른 자기몰입(正立)
(3) 연기(緣起) : 어떤 사물을 관찰할 때 밖으로 나타나는 현상만을 관찰할 것이 아니라 보편타당한 그 사물의 본질을 파악하도록 노력..이러한 관찰방법.
·발전 : 사물이 어떤 상태에서 새로운 상태로 옮겨가는 경과를 의미.
원인으로부터 결과를 맺는 것.
① 연기설 : 시간적·공간적 인과관계에 의하여 모든 현상이 야기됨을 깨달은 것.
② 십이연기설 : 연기설을 열두 개(十二支)로 나누어 설명한 것.
- 十二支 : 근본적인 어리석음(無明), 의지(行), 분별심(識), 인식대상(名色), 눈, 귀, 코, 혀, 몸, 뜻의 여섯가지 기관(六入), 접촉(觸), 감수작용(受), 갈망 (愛), 집착(取), 생존(有), 삶(生), 늙어 죽음(老死)
③ 열두 연기를 관찰하는 방법
- 열두 가지 현상 사이의 인과관계를 무명(無明)에서 시작하여 노사(老死)까지 이어가 는 순관(順觀).
- 결과인 노사(老死)에서 그 원인을 거슬러 올라가 근본적 인으로서의 무명(無明)에 이 르는 역관(逆觀).
4) 초기교단의 발전
- 초기교단에 속하는 사람은 누구나 불법승(佛法僧) 삼보(三寶)에 귀의할 것 요구
·불(佛) : 교조로서의 불타
·법(法) : 불타가 가르친 교설,
·승(僧) : 교설을 실천하는 승려
- 초기 교단의 중심 : 출가한 남자수행승인 비구중.
- 출가승에게 기본적으로 오계(五戒) 요구.
·오계(五戒) - 살생하지 말고(不殺生), 도적질하지 말고(不偸盜), 간음하지 말고(不 淫), 헛된 말을 하지 말고(不妄語), 술마시지 말 것(不飮酒).
- 부다의 열 제자는 초기교단의 발전에 크게 영향을 끼침.
5) 부다의 사상사적 의의
첫째, 실천적 윤리로서의 중도(中道) 강조.
·중도(中道) : 두 가지 극단을 피한다는 의미
둘째, 평등주의
셋째, 세계주의적인 휴머니즘에 입각.
넷째, 겸허한 구도의 자세 잃지 않음.
  • 가격3,000
  • 페이지수41페이지
  • 등록일2005.01.20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93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