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 배비장전의 이해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배비장전>의 줄거리
2.2. <배비장전>의 주요 모티프와 근원설화
2.2.1. 상투, 이빨의 모티프
2.2.2 입궤 모티프
2.3 <배비장전>의 풍자성
2.4 '남성훼절소설'로서의 <배비장전>
2.5 조선후기에 집중 출현한 '남성훼절소설'의 사회사적 의미
3. 결론

본문내용

條化된 規範을 절대가치로 盲信하면서 이의 철저한 준행을 주장하는 主人公과, 規範대로의 삶이 現實的으로 어렵다고 보고 이를 現實에 맞게 신축적으로 적용하려는 毁節 謀議者間의 觀點 對立을 통해, 朝鮮後期 價値觀의 對立과 混亂을 정확히 捕捉하여 드러내고 있다. 規範을 盲信하며 無條件的 준행을 고집하는 주인공들은 規範에 어긋나는 사회 관행들을 不道德한 것으로 批判하는 반면, 規範의 現實性을 의심하는 毁節 謀議者들은 오히려 그들을 驕慢하고 僞善的인 俗物로 批判함으로써, 두 觀點은 팽팽히 맞서 있다. 이러한 對立的 입장 중에서 男性毁節小說이 窮極的으로 肯定하고 있는 것은 後者의 입장이며, 이는 朝鮮後期의 敎條化된 규범들이 當代人들의 現實的 삶을 지배하는 데 차츰 限界를 드러내고 있음을 말해 준다. 삶과 乖離된 規範의 非現實性이 批判되고, 人間의 本性에 따른 삶이 肯定되는 쪽으로 價値觀이 바뀌어 가고 있었다는 뜻이다.
-생각해볼 문제-
조선후기 <裵裨將傳>과 같은 男性毁節小說의 集中 出現의 社會史的 意味
-참고문헌-
윤경수(1999), <조선조 소설의 신화적 분석>, 태학사
박지원 외(2001), <우리 고전소설 한마당>, 해문서판
석인해 주해(1999) <裵裨將傳>, 한국문화사
박일용(1988), <조선후기 毁節小說의 變異양상과 그 社會的 意味>
이원수(1989) <男性毁節說話의 實像과 意味>,「 국어교육연구」21집, 경북대 국어교육과
김종철(1985) <<裵裨將傳> 유형의 소설 연구>, 관악어문연구(10),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최 웅(1980), <裵裨將傳과 그 根源說話에 대한 연구>, 강원대 논문집(14).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02.14
  • 저작시기2005.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53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