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비평론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문학비평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탈구조주의 비평>
Ⅰ. 탈구조주의 설명
Ⅱ. 탈구조주의 이론가들
바르트/크리스테바/라캉/데리다/미국의 해체이론(드만/불룸/하트만)/푸코와 사이드
Ⅲ. 탈구조주의의 문학적 의의

---------------------------------------------------
<심리주의 비평>
Ⅰ. 심리주의 비평의 개념과 특성
Ⅱ.1.심리주의 비평의 전개-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롱기누스/필립시드니/흄
2.심리주의 비평의 세가지 영역( 작가심리학/작품심리학/독자심리학)
작가심리학-역사주의 비평과 유사
작품심리학-형식주의 비평과 유사
독자심리학-사회윤리적, 수용미학과 독자반응비평, 신화비평과 유사
Ⅲ.심리주의의 한계
---------------------------------------------------

<독자중심비평>
Ⅰ. 능동적 독자. 주관적 퍼스펙티브
-쿤:관찰자/ 게쉬탈트심리학:지각자 의 중요성을 강조
-야콥슨 언어소통모델이론
-볼프강 이저의 ‘빈자리’->독자가 채워야하는 것
Ⅱ.
1. 독자가 누구인가??-제랄드 프린스
2. 훗설의 현상학
3. 독자중심비평 이론가들
①이저의 ‘가상적 독자’
②야우스의 ‘기대의 지평’
③피쉬의 ‘독자의 경험’
④리파떼르의 ‘문학적 능력’
⑤컬러의 ‘독서관습’
⑥홀랜드와 블게이치의 ‘독자심리’
Ⅲ. 결론

본문내용

데서 비롯된다.
② 한스 로베르트 야우스의 '기대의 지평'
독일의 중요한 '수용'이론가 야우스는 독자중심비평에 역사적 차원을 부여한다. 그는 과학철학에서 '패러다임'이라는 용어를 빌려와 어떤 주어진 시기의 문학 텍스트를 평가하기 위해 독자들이 사용하는 기준을 '기대의 지평'이라 제시한다. 기대의 지평이란 문학작품에 대한 독자의 기대를 말한다. 최초의 기대지평은 그 작품이 등장하던 때 어떻게 평가 해석되었는가를 알려준 뿐이어서 작품의 의미를 결정적으로 수립하지는 못했다. 야우스의 관점에서 어떤 작품이 보편적이라고 말하는 것은 다시 말해 그 의미가 영구히 정해져서 어느 시기의 독자에게도 수용된다고 말하는 것은 잘못이다. 이러한 문제들에 대해 야우스는 가다머의 철학적 '해석학'을 빌어 대답한다. 가다머는 과거문학에 대한 모든 해석은 과거와 현재의 대화에서 나온다고 한다. 뿐만 아니라 우리의 현재의 퍼스펙티브는 언제나 과거와의 관계를 포함하지만 동시에 과거도 현재의 제한된 퍼스펙티브를 통해서 포함된다고 본다. 이렇게 보면, 과거에 대한 지식을 수립하는 것은 불가능해보이나 '이해'라는 해석학적 개념은 낯익은 경험과학의 방식으로서 인식자와 대상을 갈라놓지 않고 이해를 과거와 현재의 융합이 이루어지게 한다.
③ 스탠리 피쉬의 '독자의 경험'
20세기 영문학 비평가인 미국의 스탠리 피쉬는 '영향론적 문체론'이라는 독자중심이론을 전개한다. 이저와 마찬가지로 피쉬도 독서행위중에 독자에 이루어지는 기대의 지평의 조절에 초점을 맞추지만 피쉬는 문장의 차원에 국한시켜 논의한다.
그는 문학언어의 특수한 지위를 인정하지 않음으로써 그의 접근법이 모든 종류의 형식주의와 별개의 것임을 밝혔다. 스탠리 피쉬는 문학적 문장이나 비문학적 문장이나 독서전략을 사용해 해석하게 된다고 주장한다. 또, 그는 낱말이 문장 속에서 시간에 따라 연속되어지는데 따라 발전하는 독자의 반응에 관심을 집중시켰다. 그에 따르면 문장이 진해되는 각 단계마다 독자의 기대와 해석이 조절됨을 보이며 의미에 대한 독자의 기대가 끊임없이 조절되어 의미는 결국 독서의 총체적 활동이 된다고 한다. 그는 자신의 문장독서법이 교양있는 독자의 자연스러운 반응을 따라가는 것일 뿐이라 생각한다. 그가 보기에 독자는 '언어적 능력'을 소유한 사람으로 독서에 필요한 구문론적 의미론적 지식을 내면하고 있는 사람이다. 따라서 교양있는 독자는 '문학적능력'까지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하지만 이러한 피쉬의 입장은 뒤에 컬러에 의해 비판되어지는데 이데 대해 피쉬는 해명으로 해석이 개인의 전유물이 아닌 같은 경험을 한 공동체에 의한 것이라는 '해석공동체'를 제시한다.
④ 미셀 리파떼르의 '문학적 능력'
미셸 리파떼르는 시를 언어의 특수한 용법이라고 보는 점에서 러시아 형식주의자들과 동렬에 선다. 리파떼르는 <시의 기호학>에서 능력있는 독자는 표면적 의미를 넘어서 나아간다고 주장한다. 그는 독자라면 시를 읽을 때 종종 마주치는 '비문법적인 부분들'을 다루기 위해 '문학적 능력'이 요구된다고 하였다. 독서과정중에 미문법적인 부분이라는 장애는 독자로 하여금 어쩔 수 없이 텍스트의 비문법적 자질들을 서명해줄 더 높은 의미차원을 찾아내게 하는데 그 결과로서 매트릭스가 드러나며 이 매트릭스는 한 문장 혹은 한 낱말로까지 좁혀질 수 있다고 한다. 이 매트릭스는 간접적으로만 추출되는 것으로, 실제로 시속에 낱말이나 진수르이 형태로 존재하지 않고 주형의 드러난 형태들 다시말해 낯익은 진술, 상투어, 인용구, 관습적 연상등을 통해 그 매트릭스와 맺어진다. 이 실재의 형태들은 하이포그램이라고 하는데 궁극적으로 시에 통일성을 주는 것은 매트릭스이다.
⑤조나산 컬러의 독서관습
조나산 컬러는 독서이론은 독자의 해석작용을 밝혀내야 한다고 주장한다. 우선 그는 독자에 따라 상이한 해석이 나올 수 밖에 없음을 지적한다. 그것은 독자의 독서관습에 의한 것이다. 컬러는 독서한 바를 이해하는 독자의 능력에 관해서 이야기하며, 시인과 소설가는 이러한 능력에 근거하여 작품을 쓴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결국 읽혀질 수 있는 것을 쓴다는 말이다. 텍스트를 문학으로서 읽기 위해서는 '문학적 능력'을 가져야 하며 이는 교육제도를 통해 문학의 '문법'을 습득해야한다고 컬러는 보고 있다.
⑥노먼 흘랜드와 데이비드 블레이치의 '독자심리'
노먼 흘랜드와 데이비드 블레이치는 심리학에서 독자이론의 접근법을 끌어낸 미국 비평가이다. 노먼 흘랜드의 이론에 따르면 어린이는 누구나 어머니로부터 '일차적 정체성'의 gs적을 억고 성인은 '정체성 테마'를 가지는데 이는 마치 음악의 테마처럼 변환은 가능하지만 고정된 정체성을 가진 중심구조는 그대로 유지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는 이러한 경향으로 텍스트를 읽을 때도 각자의 정체성 태마에 어울리게 일어나게 된다고 본다. 블레이치는 '주관적 비평'을 주장하는데 이는 '각자의 가장 시급한 동기는 자신을 이해하는 것'이라는 가정에 바탕을 둔다. 블레이치에 따르면 어린이는 언어습득을 통해 경험을 주관적으로 통제할 수 있게 된다. 우리는 다른 사람의 말을 '동기부여된 행위'즉 화자가 사물을 파악하는 방식으로서만 이해할 수 있다. 발화마다 하나의 의도가 내포되었고, 발화를 해석하는 행위는 결국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Ⅲ. 결론
독자중심ㄹ이론에는 한가지 지배적인 철학적 출발점이 있는 것은 아니었다. 독일의 이론가인 이저와 야우스는 현상하과 해석하게 의존하여 독자의 의식이 맬락에서 독서과정을 설여하였다. 리파떼르는 특수한 문학적 능력을 갖춘 독자를 전제하고 스틴리 피쉬는 독자가 문학적 문장이든 아니든 문장 내의 낱말의 연쇄에 반응한다고 생각한다. 조나산 컬러는 '구조주의적'해석이론을 수립하여 독자의 전략에서 규칙성을 밝히려 한다. 미국의 홀랜드와 블레이치는 독서란 독자의 심리적 필요의 동자중심이론에 대한 생각은 각자 다르지만 그 이론들이 신비평과 러시아 형식주의라는 텍스트 중심이론의 지배에 심각한 도적을 가했다는데 그의의가 있다. 독자중심비평이론이후ㅡ 텍스트에 대한 독자의 기여를 고려하지 않고는 텍스트의 의미를 말할 수 없다는 것을 부정할 수 없게 된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5.02.24
  • 저작시기2005.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64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