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대중음악의 역사와 현주소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의 대중음악의 역사와 현주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ꊱ 대중음악의 정의

ꊲ 한국 대중음악의 역사

ꊳ 한국 대중음악의 흐름과 문제점

ꊴ 한국 대중가요의 특징

ꊵ 한국 대중음악의 나가야 할 방향

본문내용

내 음반 제작사의 수는 음반을 전문적으로 제작하는 업체가 125개, 비디오 제작을 겸한 업체가 23개로 총 148개이다. 한편 음반 소매 업계는 1998년 말을 기준으로 전문 판매업소가 5,735개, 음반과 비디오 판매를 겸하는 업소가 3,441개 등 총 9,176개로 구성되어 있다<문화산업발전방향 54-55>. 또한 매체별 음반 판매량을 살펴보면 약 41억 장이 판매되어 전년 대비 약 1%가 감소한 것으로 집게되었다. 그러나 CD가 6%의 성장률을 보인 반면, 카세트테이프, LP, 싱글음반은 모두 감소함으로써 전체 판매량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2001년 현재 우리나라의 전체 음반판매량은 작년보다 17%증가하였으며 이중 특히 CD 음반판매량은 46%로 급신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MC음반 판매량은 3 % 감소하여 이제 CD가 MC를 따라잡을 날이 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 연간 국내 생산량 및 매출액 >
비교 년도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생산물량(천개)
188,086
187,833
236,262
200,800
259,888
293,284
매출액(백만원)
137,890
150,361
196,362
166,900
183,590
205,620
음반산업의 기술적 현황을 살펴보면 음성압축 기술의 고도화와 인터넷 비즈니스의 확대라는 기술혁신이 레코드업계를 비롯한 음반업계에 혁명을 일으키고 있다. 음성과 정보의 압축기술인 MP3의 보급은 세계 악곡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레코드 업계에 커다란 충격을 던져주고 있다. 아직 국내를 비롯한 전세계의 저작권 침해문제가 완전히 해소되지 않은 상태이나,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영상 전송기술의 출현은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 보급이라는 유통 방식의 변화와 맞물려 음악 업계에 상당한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이는 향후 가장 많은 유통경로로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며, 디지털 기술의 발달에 따른 음악콘텐츠의 온라인 거래는 제작, 패키지, 유통 등에 혁신적인 비용 절감을 가져오고 과거의 유통환경에 불편을 겪어 왔던 새로운 소비자층을 확대시키는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② 음반 소비자 시장
우리나라 음반 수요층은 ‘10대 강세’라 불릴 만큼 편중되어 있다고 본다. 이러한 연령 구조적 특성은, 음반 장르의 다양화를 억제하고 대중 음악으로부터 기성 세대를 소외시키는 등 여러 부작용들을 촉발하기도 하지만 반대로 10대 젊은 층들은 대중 음악에 대한 높은 이해나 공감도로 인해 성장한 후에도 음반 구매를 지속할 가능성이 큰 잠재적 수요층이라는 점과, 생활 수준의 향상이나 개별 여가 활동에 대한 관심 증대로 10대의 상품 구매력이 점증적으로 상승되어 가고 있다는 점, 그리고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 신흥 라이프 스타일은 다른 연령 계층에 크나큰 파급력을 행사한다는 점 등에서, 음반의 내수 시장 확대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것이라는 진단도 있다.
반면 미국의 경우 음반 시장 소비자의 연령별 특성은 연령별로 고루퍼져 균형을 이루고 있고, 구매력 있는 계층이 음반 고정 수요로 작용하고 있어 음반 시장의 안정이 다른 나라보다 강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우리 음반 소비자 시장이 발라드와 댄스에 치중되어 있는 반면, 미국의 경우는 장르의 다양화에 성공하고 있다.
한국 대중음악의 나가야 할 방향
98년 10월 20일 문화관광부에서는 일본 문화를 단계적으로 수용한다고 공식적으로 발표했다. 이에 관련하여 많은 사람들이 일본음악의 다양성에 대해 우려를 하고 있다. 일본은 우리나라와는 달리 많은 장르들이 공존하고 있고 실제로 다양한 청자들에 의해 수용되고 있다. 댄스음악과 발라드 음악에 길들여진 우리나라의 음악팬들이 일본의 현란한 기법과 다양한 시도에 잠식당한다면 우리음악은 설자리를 잃게 될 것은 뻔한 일이다.
일본음악의 개방에 즈음하여 우리나라는 대처를 해야 한다. 더 이상의 소모적인 작업은 줄여야 한다. 댄스음악과 발라드 음악이 질이 떨어진다는 이야기는 아니다. 그리고 그러한 음악도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하지만 다른 음악도 같이 살아남고 같이 들어져야 한다. 일반 청취자들은 여러 음악을 들을 권리가 있고 매체들은 여러 음악을 고루 들려줘야 하는 의무가 있기 때문이다.
지금도 홍대 앞과 신촌 일대의 클럽에서 자신의 음악을 하는 사람들이 있다. 비록 듣는 사람들이 많지 않더라도 소수의 열광적인 팬들을 위해 또 음악의 순수한 열정 때문에 음악을 하는 사람들이다. 이들은 1억원을 호가하는 제작비와 그 제작비를 훨씬 웃도는 매니지먼트의 비용이 상식화 되어있는 음반 산업계의 고정관념을 깨고 있다. 또 인기장르와 스타 중심으로 포장되고 있는 대중 음악계의 불공정한 행위를 소리 없이 고발하고 있다.
이들을 우리는 인디음악(Independent Music)이라 부른다. 인디음악은 메이저 레이블의 제작, 유통, 홍보를 위해 사용되는 많은 거품 돈들을 제거하고 순수한 앨범제작을 위해 예산을 책정하고 작업하는 음악이다.
보통 메이저 레이블의 한 장의 앨범을 만드는 돈으로 인디 음반 스무 장은 만들 수 있다. 거대한 자금을 들여 대량으로 음반을 찍어내고 배포하는 것보다 실속 있게 소량 생산하여 이익을 남기는 일에 눈을 돌려야 할 때이다. 인디 음악은 새로운 시대에 가장 부합하는 장르로 생각된다. 다가오는 21세기는 다품종 소량생산의 시대라고 한다. 댄스와 발라드로 규정되어 있고 대량으로 살포하는 주류음악을 지양하고 여러 장르가 공존하며 소수의 팬들에게 크게 어필할 수 있는 음악이 필요한 시기가 아닌가 생각한다.
어떤 이는 거대 매니지먼트사에 필요성에 대해 말할지 모른다. 개인적인 생각에도 그러한 기업형 에이전트가 필요한 상황이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것이 대중음악가의 개인적인 에이전트 형태에서 행해져야지 무슨 나이트클럽에 나가는 가수를 만들 듯이 무턱대고 생산해 내거나, 비디오형 가수를 선호하는 등의 행태는 사라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것은 직접 음악을 하는 음악가의 입장에서나 그것을 향유하고 소비하는 소비자의 입장을 생각함에 있어서도 결코 무시해서는 안될 것이며 우리나라 전체적인 대중음악의 발전을 위해서도 꼭 필요한 일이다.
  • 가격2,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5.03.01
  • 저작시기2005.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67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