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시의 황금시대_중국 근체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당시의 발달]

[근체시란 무엇인가?]

[근체시의 종류]

[근체시의 형식]

[ 사성팔병설(四聲八病說) ]

본문내용

팔병설(四聲八病說) ]
중국 남조 양나라 때 심약(沈約)이 주창한 시의 음률상 법칙이다. 중국어에 평상거입(平上去入)의 4성조가 있는 것은 본래 경험적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제나라 양나라 때의 심약,주옹 등에 의해 확실하게 논의됨에 따라 시(詩) 한 구(句) 속에서 조화를 이루는 방법을 의식하게 되었다. 심약은 팔병설을 내세워 시를 쓰는데 있어서 피해야 할 점을 지적하였다. 팔병(八病)이란, 5언구에 관해서 시율상으로 중요한 부분의 같은 성조의 중복을 피한 것이다. 이것은 반드시 지켜졌던 것은 아니지만, 시는 이 때부터 점차 세련되어져 당(唐)나라 때에는 근체시(近體詩)가 탄생했다.
① 평두(平頭) : 오언시에 있어서 두 구 10자 중에서 첫째 자와 여섯째 자 및 둘째 자와 일곱째 자의 성조가 같은 것.
② 상미(上眉) : 오언시에 있어서 두 구 10자의 다섯째 자와 열 번째 자가 같은 성조인 것.
③ 봉요(蜂腰) : 오언시에 있어서 1 구의 제 2자와 제 5자가 같은 성조인 것.
④ 학슬(鶴膝) : 오언시에 있어서 압운하지 않아도 되는 제 1구와 제 3구의 끝자가 같은 성 조인 것.
⑤ 대운(大韻) : 오언시에 있어서 운자(韻字)를 제외한 두 구의 다른 아홉자 중에 운자와 같은 운의 글자를 한 자 이상 쓰는 것.
⑥ 소운(小韻) : 운자(韻字)를 제외한 다른 자 중에 한 자 이상 같은 운의 글자를 쓰는 것.
⑦ 정뉴(正紐) : 오언시의 두 구 중에 성과 운이 같은 글자, 곧 독음이 같은 글자를 또 쓰는 것.
⑧ 방뉴(傍紐) : 오언시의 한 구 중에 성(聲)이 같은 글자를 한 자 이상 건너 쓰는 것.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03.27
  • 저작시기2005.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01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