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의 전반적인 이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판소리의 어원

▶ 판소리란 무엇인가?

▶ 판소리 12마당

▶ 판소리의 내력

▶ 판소리사

▶ 판소리의 창법과 유파

▶ 판소리의 가창 방법

▶ 판소리의 구성과 문체 : 부분의 독자성

▶ 판소리의 사회의식

▶ 판소리의 발생

▶ 판소리의 발전

▶ 판소리의 민중의식

▶ 판소리의 미학적 특징

▶ 판소리의 문학사적 의의

▶ 판소리사의 시대구분

본문내용

가의 조조 등
- 민중들의 이상을 실현하고자 하는 인물에 대한 우호적 동정
토끼전의 토끼, 춘향전의 춘향과 이몽룡, 흥부전의 흥부, 심청전의 심청 등
판소리의 구성원리 : '창'과 '아니리'의 반복
- '창'은 상황적 의미와 정서가 강화 확장된 대목으로 길고 화려한 운문으로 되어 있으며, '아니리'는 산문으로 된 요약 서술이다. '창'과 '아니리'의 반복 구조는 창자에게 긴장과 이완의 연쇄적 반복을 통하여 소리판을 엮어가게 하는 한편, 청중에게는 비장과 골계의 미적 체험을 반복적으로 환기시킨다. 판소리는 창과 아니리, 비장과 골계를 반복함으로써 정서적 긴장과 이완, 극적 환상에의 몰입과 해방의 연쇄 구조를 엮어나가는 것이다.
판소리의 문학사적 의의
판소리는 일상어나 비속어를 적극 활용하여 현실적 정황을 생동감 있게 그려내는 구어체적 문체를 확립하는 데 기여하였다.
판소리는 조선후기의 다양한 인간군상들을 개성 있게 창조하였다.
판소리는 소설의 시대라고 하는 조선후기에 가장 주도적이고 핵심적인 문학으로 등장하여 당대의 생동하는 현실을 풍부하게 담아냈다.
판소리사의 시대구분
제1기 : 형성기(18세기) - 숙종 말에서 영조에 이르는 12마당의 형성시대
- 영조 30년(1754) 晩華本 「춘향가」(「歌詞 春香歌 二百句」)의 성립
- 충청도 목천 사람인 柳振漢(1711∼1791)이 廣大의 打令辭를 듣고 총 2,800자의 7언 한시로 옮긴 것이다.
- 梁周翊(1722∼1802)의 「春夢緣」(1756)
- 丁範祖(1723∼1801)의 「春娘詞」 : 정조 대
제2기 : 전성기(18세기∼19세기 말)
- 正祖 대에서 高宗 말까지에 이르기까지의 상당히 긴 기간
- 宋晩載의 「觀優戱」 : 正祖 20년대(18세기 말) 12마당 기술 - "아들의 登科聞喜宴"
- 甲申完文(1824)·丁亥所志(1827) : 당대의 명창(高·宋·廉·牟) 소개
- 申緯의 「觀劇詩」(1826)
- 尹達善의 「廣寒樓樂府」(1852) : 108첩의 한시, 12마당 다시 부각
- 純祖·憲宗·哲宗 때의 명창 배출
河殷潭 / 權三得 : 순조대, 1771∼1841(?) / 禹春大 / 高秀寬(충남 해미) / 林春鶴(충남 한산) / 宋興錄(전북 운봉) / 廉啓達(충남 덕산) / 金鍾運 / 牟興甲(경기 진위) / 朱德基(전남 창평) / 金難得 / 金啓喆(충청) / 廉啓良 / 方萬春 / 金成玉(충남 해미) / 宋光錄(충남 강경) / 申萬葉(전북 운봉) / 黃海淸(전북 여산) / 朴裕全(전북 순창) / 李錫順(경기 안산) / 朱祥煥(전남 창평, 주덕기의 아들)
- 申在孝(1811∼1884)의 6마당 정리
· 아전 출신의 광대 패트론
· 6마당의 정리(「가루지기타령」 포함)
· 「廣大歌」
· 「童唱 春香歌」 창작, 「烏蟾歌」·「桃李花歌」 창작
- 廣寒樓記
- 판소리계 소설 방각본의 정착
- 李裕元의 「觀劇八令」
- 李建昌의 「賦沈淸歌 2首」
제3기 : 쇠잔기와 창극화(20세기) - 圓覺社(1907) 이후 현대에 이르기까지
鄭魯湜의 『朝鮮唱劇史』(1940) : 당시의 가객들로부터 얻어들은 민속적 채집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05.02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53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