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죄의 기회와 사이버범죄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서론

2.본론
(1)사이버폭력의 개념과 유형
1)사이버폭력의 개념
2)사이버폭력의 유형
(2)사이버폭력의 피해원인론
-기회이론을 중심으로

3.결론

본문내용

을 피해자와 가해자 간의 역동적 상호작용의 산물로서 보는 시각은 재산범죄의 설명에는 한계를 갖지만, 폭력범죄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대단히 유용하다. 사이버범죄 중에서도 사이버성폭력의 경우 (오프라인에서의 폭력범죄와 유사하게) 비록 직접적이며 대면적인 접촉은 아니더라도 최소한 피해자와 가해자가 서로 고립되어 행동하지는 않기 때문에 상호작용이론들이 부분적인 설명력을 가질 수 있다고 본다. 예컨대, 채팅이나 대화방에서 가해자가 시작한 음담패설 또는 성적 언사의 희롱은 피해자의 반응형태에 따라서 성차별적ㆍ성적대적 언어폭력이나 폰섹ㆍ컴섹ㆍ번섹 제의 등의 형태로 발전할 수 있으며, 또한 피해자의 네티켓에 반하는 도발적 언행은 잠재적 가해자로부터 다른 형태의 일탈적 반응을 유발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이러한 상호작용의 특성들을 양화하기가 극히 어렵다는 것이다. 따라서 현재로서 생각해 볼 수 있는 한 가지 대안은 양적 연구설계를 사용하기 보다는 질적 연구를 활용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난점은 성폭력에 대한 기존의 가부장제적인 담론이나 사회문화적, 기호론적 접근의 유용성을 반증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참고문헌
김은경. 2000. “사이버성폭력의 개념과 유형,” 사이버범죄연구회 제3회 세미나 자료.
김은경. 2000. 「성의 상업화가 성의식 및 성폭력에 미치는 영향 」, 한국형사정책연구원.
백광훈. 2000. 「인터넷범죄의 규제법규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이민식. 2000. 「사이버공간에서의 범죄피해」,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이민식. 2002. “사이버범죄피해에 대한 반응: 일반모델의 검증,” 「피해자학연구」 제10권 제2호, 한국피해자학회.
이경화. 2000. “사이버성폭력 피해센터 운영 및 사례 보고,” 제1차 건전한 정보통신문화 정착을 위한 세미나 자료집, 정보통신윤리위원회.
이순형. 2000. “사이버성폭력 의식 및 실태조사,” 제1차 건전한 정보통신문화 정착을 위한 세미나 자료집, 정보통신윤리위원회.
정 완. 2000. “사이버성폭력의 실태와 대책,” 형사정책연구소식 제59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정진수 외. 2000. 신종 성폭력 연구: 사이버 성폭력의 실태 및 대책을 중심으로.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조병인 외 3인. 2000. 「사이버범죄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Baker, M. H. et al. 1983. "The Impact of a Crime Wave: Perceptions, Fear, and Confidence in the Police." Law and Society Review 17:319-335.
Baumer, Terry L. 1985. "Testing a General Model of Fear of Crime: Data from a National Sample." Journal of Research in Crime and Delinquency 22:239-255.
Box, Steven et al. 1988. "Explaining Fear of Crime." British Journal of Criminology 28:340-356.
Cohen, L. E. and M. Felson. 1979. "Social Change and Crime Rate Trends: A Routine Activity Approach."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4:588-608.
Hindelang, M. J. et al. 1978. Victims of Personal Crime: An Empirical Foundation for a Theory of Personal Crime. Cambridge, MA: Ballinger.
Lee, Min-Sik. 2000. "Policing, Culture, and Fear of Crime in the Korean American Community." Sociology of Crime, Law and Deviance 2: 63-87.
Maxfield, Michael G. 1987. Explaining Fear of Crime: Evidence from the 1984 British Crime Survey. London: Home Office.
Miethe, T. D. and R. F. Meier. 1994. Crime and Its Social Context. Albany, NY: SUNY Press.
The Criminal Opportunity and Sexual Violence Victimization on Cyber Space
Lee, Min-Sik*
This study addresses the etiology of the cyber-sexual-violence victimization and tests the effects of the criminal opportunity theories over the victimization. The data come from an online survey conducted in 2000 year and the sample consists of 2,081 internet users who have or have not experienced the cyber-sexual-violence victimiza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es indicate that the negative effect of age and positive effects of gender(female), duration of internet use, use-time per day, chatting and e-mail(as major usages) on the victimization measured in two ways are significant, whereas the effects of crime prevention behaviors are somewhat controversial.
_____________________
* Professor of Police Administration, Kyonggi University, Ph.D. in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5.05.10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65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