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가요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려가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차례
1. 머리말
2. 고려가요의 개념 및 정의
2.1 고려가요의 개념 및 정의
2.2 속요의 개념 및 정의
3. 고려가요의 형성과정과 역사적 배경
4. 고려가요의 장르적 명칭
5. 고려가요의 장르적 특성
5.1 여음구의 사용
5.2 구성상 특징 - 단연체와 분연체
5.3 재제상 특징
6. 맺음말
참고자료
참고문헌

본문내용

흥을 돋우면서 한 편의 노래로서 형식적 동질성을 갖추기 위한 장치”였을것으로 짐작된다. 그런가 하면 감탄사로 보이는 표현으로 정읍사의 ’아으 처용강하‘, 정과정의 ’아으‘와 ’아소 님하‘, 사모곡의 ’위 덩더둥셩‘과 ’아소‘, 이상곡의 ’아소 님하‘ 등이 많은 점도 눈에 띈다. 이 점과 관련하여 정과정이 향가의 형식의 잔영이라는 점도 주목된다. 그러나 감탄 표현이 있다고 해서 다른 노래들까지 모두 그러한 형식성과 관련이 있다고 하기는 어렵고 노래의 정감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이런 정도의 유사성이 있기는 하지만 그것도 고려가요 전체에 걸쳐 나타나는 동질성이라고 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고려시대의 노래를 일률적으로 규정하는 것보다는 그 유형에 따라 살피는 것이 바람직하다.
5.2 구성상 특징 - 단연체와 분연체
작품 전체의 구성상으로 보아 고려가요의 형식은 크게 단연체와 분연체의 두 가지로 나뉜다. 단연체는 작품 전체가 하나의 연으로 된 것으로 정읍사, 정과정, 사모곡, 상저가, 유구곡 등이 그 예이다. 분연체 노래는 “한 연을 노래하는 악곡에 맞추어 거듭되는 연들을 노래하는 형식”이므로 얼마든지 길어질 수 있으나, 현재 전해지는 작품들 가운데 서경별곡이 14연으로 가장 길고 동동이 그 다음으로 13연, 정석가는 10연, 청산별곡은 8연, 만전춘은 6연, 쌍화점과 가시리가 4연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려가요를 가리켜 長歌라고 부르기도 하는 것은 이처럼 연을 거듭함으로써 길어지는 특성을 지칭하는 것이다.
5.3 재제상 특징
고려가요의 제재로 남녀간의 애정에 관한 것이 많고 그 정서의 표출에 거리낌이 없이 대담하다는 점을 고려시대 노래의 특징으로 지적하기도 한다. 물론 일부가 그런 성향을 보이기도 하고, 조선조 초기에 고려가요 가운데 여러 작품이 남녀간의 쾌락을 노래한 것이라 지적을 받아 노랫말을 고쳤다는 기록이 보이기도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애정의 대담성이 속요 전체의 속성이라고 말하기는 어렵다. 고려가요 중에는 처용가처럼 巫歌계통의 노래가 있는가 하면 사모곡이나 상저가처럼 부모에 대한 애정을 노래한 것도 있으며, 유구처럼 노래하는 자체에 즐거움을 추구한 것도 있어 그 내용의 속성을 일률적으로 말하기는 어렵다.
더구나 현재 기록에 남아 전하는 작품들이 궁중 음악에 한정되어 있어 고려시대의 노래 전체를 대표할 수 없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속요의 성격을 애정 일변도의 것으로 규정하는 것은 무리다. 또 비록 남녀간의 애정을 제재로 한 노래가 많다고는 할지라도 속요가 그 쾌락을 추구했다는 것은 옳지 않다. 물론 남녀간의 쾌락을 표방한 쌍화점 같은 노래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은 애정을 노래하되 변치 않는 사랑과 지속적인 그리움을 노래하고 있다. 가시리, 서경별곡, 청산별곡, 정석가, 동동, 만전춘, 이상곡 등 대부분의 작품들이 그러하며, 정과정 처럼 임금에게 자신의 억울함과 변함없는 사랑을 호소하는 노래조차도 그 표현은 사랑하는 임에게 드리는 노래로 형상화되어 있다. 특히 서경별곡은 이러한 내용적 특성을 잘 드러내고 있다. 고려가요.
6. 맺음말
지금까지 고려가요의 개념과 형성배경 그리고 장르적 특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향가가 쇠퇴하고 그 명맥만을 유지하던 향가계의 노래까지 자취를 감추면서 크게 유명한 고려가요를 정리하면서 크게 유행하고 성행하였지만 그 자료를 찾아보기가 쉽지 않고 자료가 있다 하더라도 장르적 명칭에 대해서 정확하게 규정되어있는 자료 또한 많이 부족했다. 그리고 어떤 문헌에는 속요와 고려가요의 생성원인을 따로 구분해 놓는가 하면 또 어떤 자료집에서는 고려가요가 속요와 같은 개념으로 이해된다고 규정하는 것도 있었다. 처음 선행 연구에서 인터넷을 찾아보면서 한 포탈 사이트 지인 검색에서 가장 많이 검색된 것은 “고려가요와 속요가 무엇이 다른가?” 라는 질문이었다. 그리고 그 답에는 거의 『고려가요=고려속요=속요』 이러한 형태로 많이 나타나 있었다. 그리고 국문학대백과 사전에서도 역시 위와 같이 정의하고 있었다. 앞의 연구에서 장르적 명칭을 가장 중점적으로 한 이유도 거기에 있다.
조사를 하면서 과연 고려 속요란 무엇이고 고려가요는 어떻게 다른 것인지를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다. 그래서 도출한 결과는 고려가요는 주로 고려 속요라고 부르며 고려시대 평민들이 부르던 우리말 노래를 말하는 것으로 별칭으로는 고려시대에 불리어진 속된 노래라고 하여 고려속요라고 불리며 그 형식이 길어지기도 하였으므로 장가라고 부르기도 한다. 주로 주제는 ‘남녀상열지사(男女相悅之詞)’ , ‘음사(淫詞)’ , ‘사리부재(詞俚不載)’ 라 하여 많은 작품들이 소멸 되었다.
또한 연구하면서 또 한 가지 연구해 봐도 좋을 것이라고 생각한 것은 작자의 이중성에 대한 것이었다. 주로 하층평민 사이에서 성행한 걸로 알고 있지만 일단 그 시대 특유의 상층문화로 변모되고 속악 정재 방식에 따라서 개편되었으므로 이중적인 성격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이는 동일한 내용의 가사 비슷한 내용의 가사가 두 고려 속요에서 나타난다는 점과 여름의 사용, 민요 특유의 구조인 병치와 반복, 변화 , 3음보 중심의 율격을 가진 점 등이 그 이유이다.
이처럼 고려가요는 참고문헌이 많지 않아서 여러 가지 논란들이 있지만 고려가요가 고려시대 평민들의 진솔한 삶의 모습과 풍부한 정서가 유려한 국어의 구사 속에서 뛰어나게 형상화 된 것은 우리 문학에 기여한 것은 높이 살만하다.
※ 참고문헌 및 자료
이성주, 1998, 고려가요에 나타난 서정성 연구 , 관동대학교
박병채, 1994, 고려가요 어석 연구 , 국학자료원
이임수, 여가연구, 형설출판사, 1988.
국어국문학회, 고려가요연구, 정음사(윤), 1979.
전규태, 고려속요의 연구, 학예사, 1982.
장덕순, 한국문학사, 도와문화사, 1993.
정병욱외4. 한국고전문학 정선. 아세아문화사. 1985
http://gugeo.netian.com/oldsong/goryeogayo.htm
http://www.seelotus.com/gojeon/gojeon/korea-gayo/korea-outline.htm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5.05.17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73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