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회복지학의 정체성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 사회복지학의 정체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 론

II. 사회복지학이란 무엇인가?
1.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2. 사회복지학의 정의

III. 사회복지학의 발달
1. 사회정책 발달사
2. 사회사업방법 발달사
3. 한국 사회복지학의 도입 및 변화

IV. 사회복지학의 정체성
1. 다학문적 혹은 학제적 접근(multy or inter-diciplinary approach)
- 사회복지학은 독립학문인가?
2. 거시적 접근과 미시적 접근의 관계
3. 한국에서의 사회복지학의 토착화 문제

V.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학문의 이념적 분화가 충분하게 진행되지 못하여 거시적 접근방법은 주로 집합주의의 입장을, 미시적 접근방법은 상대적으로 개인주의의 입장을 취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양접근 방법의 통합에 적극적인 입장은 거시적 접근과 미시적 접근의 대립이 아니라 유기적 관계의 강화가 필요하다고 보는 반면, 통합에 소극적인 입장은 사회복지 현상의 연구와 전문직 양성은 별개의 목표로 구분되어야한다고 보고 접근방법의 분리를 지향한다(이혜경,1995, 오정수,1996:6). 이러한 분리의 문제는 사회과학이 갖는 딜레마 중의 하나인 '구조와 행위의 이분법'에 있다. 즉 사회현상의 이해에 있어 인간행위의 창조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입장과 인간행위에 대한 사회구조의 영향을 강조하는 입장간의 차이이다. 따라서 구조와 행위간의 이론적 딜레마의 문제는 사회복지학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과학 전반에 적용되는 문제이다.
그러나 사회복지학 고유의 내적 일치성이 어디에 있는가 하는 의문에 대한 하나의 답은 사회복지학이 Wilensky와 Lebeaux가 '기능적 일반화'라고 표현한 인간욕구의 통합성에 근거하여 구할 수 있다. 즉 인간의 욕구는 거시적 접근과 미시적 접근으로 분리해서 접근할 수 있는 성질이 아니라 통합적인 측면이 있기 때문에 양접근방법이 사회복지학이라는 하나의 경계에 포함될 수 있는 것이다(오정수,1996:15).
3. 한국에서의 사회복지학의 토착화 문제
개인적 결함을 강조하는 미국식 사회사업방법의 무비판적 수용을 통해 드러났던 한국사회의 토착성 문제는 영국을 비롯한 유럽, 일본 등의 사회정책을 받아들인 거시적 접근에서도 마찬가지로 제기되는 문제이다. 토착화의 문제는 우리사회는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어떠한 사회복지가 도입되었으며 어떠한 사회복지가 적합한가하는 것과 관련되어있다. 이러한 토착화의 문제는 앞으로 계속 풀어나가야할 과제인 것이다.
먼저 가족중심구조 및 가족이데올로기를 살펴보면 1960년대 산업화 이후 전통적 가족구조가 해체되기 시작했지만 여전히 가족책임주의 또는 가족부양주의는 특징적으로 남아있고 이것이 개인에 대한 국가책임의 약화라는 결과로 나타났다.
둘째, 우리나라에는 지역, 학교 등을 중심으로하는 비공식적 사회적 지원체계가 존재하여 사회전체적으로 봤을때 집합주의보다는 개인적 집단주의 혹은 소집단주의가 강하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집합주의가 요구되는 사회복지의가 저발달하는데 일정정도 영향을 끼치고 있다.
셋째, 강력한 비공식문화는 앞의 두 요인과 관련되는데, 개인의 사회적 문제를 '사회적 차원'보다는 '개인적 차원' 혹은 가족 내지는 비공식적 체계의 차원에서 해결되어야할 문제로 보는 것이다.
넷째, 국가주도에 의한 자본주의발달을 살펴보면 자본주의의 합리성이란 부분을 결여한 채 비민주성과 시민적 자아 정체감의 상실 등을 내재하는 특성을 보인다. 따라서 국가 강제력에 의한 사회적 책임성이 기업에 전가되고, 사회보험의 경우 국가의 기능적 필요성에 의해 도입되는 경우가 많았다.
위의 논의들 중 특히 한국 사회 특유의 가족중심주의적 문화가 개인의 문제에 대한 사회적 책임 혹은 국가적 책임이 덜 강조되었다데 대한 적절한 문화적 특징인 것같다. 이것은 가족중심주의가 나쁘다는 것이 아니라 가족중심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를 국가가 방관하게 된다는 점을 지적한 것이다. 현재 우리사회는 가족해체를 비롯한 가족중심주의의 약화로 노인문제 등이 대두대고 있는 실정임을 감안할때 이러한 문화적 요인도 서서히 변화를 맞고 있음을 알 수 있다.
V. 결 론
이상으로 사회복지학의 개념과 서구에서 사회복지학의 발달배경, 그리고 사회복지학의 정체성과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갖는 독립학문으로서의 논쟁과 거시적-미시적 접근방법간의 문제, 그리고 한국사회 특유의 사회·문화적 정체성과 사회복지학 토착화의 문제를 살펴보았다.
먼저 외래학문으로 유입된 사회복지학은 외국에서 이미 학문으로서의 정체성에 대한 논의를 마친 상태에서 차차로 유입되었지만, 여전히 다른 사회과학과의 관계에 관한 문제는 어떻게 타학문을 활용할 것인가하는 과제로서 계속되고 있다.
둘째, 거시적-미시적 접근간의 관계를 둘러싼 논의는 사회복지의 방법이 다양화한 현실과 전문직으로서 사회복지의 정체성 확립이라는 요구와 관련된 것으로, 대립과 반목이 아니라 각 접근방법의 특수성을 인정하고 발전시키는 한편 사회복지라는 공통목표하에 상호의존적 관계를 정립시키고자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세째, 한국사회에의 토착화문제는 사회복지학 뿐만 아니라 외국에서 들여온 모든 학문, 모든 문화가 한국사회에 올바로 정착하기 위해 반드시 제기되어야하는 문제이다. 사회복지학의 초기에 외국의 이론과 실천경험들이 소개되었고, 이론과 실천의 한국사회에서의 적합여부가 계속적으로 실험되고 있다. 이러한 실험과 더불어 기존의 영미와 유럽을 중심으로한 연구를 넘어서 일본, 북한과의 비교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밖에 동남아시아, 남미와의 비교연구에도 노력을 기울여야할것이다.
-참고문헌-
김홍숙(1980), 『교양사회과학』, 한국도서관협회 (재인용: 송정부, 1993)
남세진(1992), 『인간과 복지』, 한울 (재인용: 최경구, 1993)
송정부(1993), "사회과학과 사회복지학 연구방법", 한국복지연구회 편, 『사회과학과 사회복지학』,한울.
장인협(1987), 『사회복지학개론』, 서울대출판부 (재인용, 송정부,1993)
최경구(1993), "사회학과 사회복지학", 『사회과학과 사회복지』, 한울
한국사회복지연구회(1990), 『사회복지의 역사』, 개정판, 이론과 실천
현외성(1993), "정치학과 사회복지학", 『사회과학과 사회복지』, 한울
John M.Romanyshin(1971), Social Welfare, Charity to Justice, Random House
(재인용, 김영모, 1983)
K.Pearson(1951), The Grammar of Science, Everyman's Library, Dent & Sons Ltd.
(재인용: 이만갑 외, 1979)
社會福祉學科 編(1986), 社會福祉學原論, 佛敎大學 (재인용: 송정부, 1993)
  • 가격1,8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5.06.16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28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