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 입헌군주 푸미폰 국왕의 정치, 사회적 역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태국 입헌군주 푸미폰 국왕의 정치, 사회적 역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푸미폰 국왕

2. 왕권 강화요인

3. 국왕의 정치적 역할
1) 1981년 쿠데타
2) 1984년의 바트화 평가절하와 1985년 쿠데타
3) 1991년 쿠데타와 1992년 5월사태
4) 1992년 5월 사태 후

4. 국왕의 사회적 역할
1) 종교의 수호
2) 국왕개발계획의 실시
① 농업개발계획
② 보건, 위생개발계획
③ 푸른 '이산' 계획

5. 평가와 전망
1) 중재자의 역할
① 군의 정치적 중립, 변화하는 역할
② 기업가
③ 정당
④ 시민사회운동 세력
⑤ 국왕
2) 입헌 군주제의 앞날

※ 레포트를 쓰면서

본문내용

태국 입헌군주 푸미폰 국왕의 정치, 사회적 역할
1. 푸미폰 국왕
태국에는 1932년 입헌혁명으로 쑤코타이 왕국(1238-1350) 이래 약 700년간이나 지속되어 왔던 절대군주제가 붕괴되었다. 입헌군주제가 도입된 이래 태국에는 모두 3명의 입헌군주가 즉위했다. 최초의 입헌군주가 되었던 라마 7세(1925-35)는 혁명 주체세력과의 알력을 빚던 중 1935년 퇴위했다. 두 번째로 즉위한 라마 8세(1935-46)는 즉위 당시에 성년의 나이에 이르지 못하여 섭정이 그 역할을 대신하던 중 1946년에 가서야 정식으로 왕위에 올랐으나 의문의 죽음을 당하게 되었다. 이어서 현재의 태국 국왕인 라마 9세, 푸미폰 국왕(Bhumibol Adulyadej)이 즉위하게 되었다. 1946년 즉위 당시 19세였던 푸미폰 국왕은 스위스의 로잔느 대학에서 유학을 마치고 1950년 귀국하여 공식적인 대관식을 치른 후 입헌군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오늘날 재위 반세기를 넘긴 푸미폰 국왕은 절대적인 카리스마를 발휘하면서 태국사회의 가장 영향력있는 인물이 되었다. 그의 카리스마는 오늘날 입헌군주제를 채택하고 있는 다른 국가의 입헌군주와 비교해도 탁월할 것이다. 카리스마를 한 인간의 비범한 자질로 정의한다면 푸미폰 국왕은 지도자로서의 비범한 자질을 입증해 보임으로써 국민들의 절대적인 신뢰를 받고 막강한 사회적 영향력을 발휘하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2. 왕권 강화요인
태국의 국왕은 입헌군주로서 정치적 실권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정치적 영향력을 발휘해 왔다. 그가 정치적 역할을 할 수 있게 된 것은 불교도 왕으로서의 카리스마적인 자질과 정치적 환경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이었다. 그의 카리스마는 “국왕, 종교, 국가”라는 국가 이데올로기와 국왕개발계획을 통해 일상화 되어왔다. 국왕개발계획은 국민들에게 입헌군주제의 실용성을 입증해 보였다. 푸미폰 국왕의 카리스마를 높이는 방안은 여러 가지 법적, 제도적 장치(국왕 모욕죄)나 매스컴 홍보 등에 의해서도 일상화되었다.
1980년대 들어서도 왕실의 권위를 높이기 위한 여러 가지 행사들이 추진되었다. 나레쑤언 대왕의 누이인 Suvana Kanlaya 공주 우상숭배는 왕실의 권위를 높이기 위한 하나의 작업이다. 상품화를 통해 국왕의 신성성을 고양시키는 요인 중의 하나는 정부의 관광 진흥이다.
1996년 11개월 동안 국왕 어머니 유해공개와 왕실의식으로 치러진 장례식에서 왕실의 영광은 극에 달했다. 동년 국왕의 50년제가 치러졌으며 이 행사는 1999년 12월 5일 국왕의 72 생신까지 이어졌다(Sixth Cycle Anniversary). 1997년 10월 23일에는 라마 5세의 승마상에서 기념행사가 있었다.
1987년 왕의 60회 생신때 국왕 개인 비서국(His Majesty\'s Principal Private Secreatary)은 A Memoir of His Majesty King Bhumibol Adulyadej을 발간했다. 그 서문에는 쑤코타이이래 태국의 국왕은 어떤 신성한 권리(divine right)에 의해 통치하지 않고 신하들의 동의(consent)로 다스렸으며 그래서 태국의 왕은 국가에 얼마나 많이 이익과 행복을 줄 수 있는 가라는 유일한 척도로 평가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1982년 방콕은 도시와 짝끄리 왕들의 200주년을 기념했다. 구궁 단지와 몇 개의 왕실 기념물들(유적)이 돈을 많이 들여 복구되었다. 아유타야 왕조이래 주요한 왕실 행사인 왕실 배 퍼레이드(royal barge parade)가 짜오프라야 강에서 다시 재연되었다. 1983년에는 타이어 창제 7세기 가 기념되었는 데 암묵적으로 쑤코타이로 거슬러 올라가는 왕실 유산의 인정과 이 기념비적 타이 문화를 창조한 데 있어서의 왕실의 역할을 인정하는 것이었다.
텔레비전 방송에 왕실가족이 출연하는 것도 왕의 홍보이다. 군 방송 7은 1979년까지 대부분의 지역에 방송되었다. 1980년 중반까지 텔레비전은 도시 가구의 90%까지 보급되었고 1980년대 말에는 농촌의 70%에 보급되었다. 뉴스 시간에는 왕과 왕실 활동, 수상, 군사령관, 다른 정치, 군사 지도자의 활동이 방영된다.
쑤코타이 이래 뜨라이 품은 왕권 이론 관련 주요한 텍스트였다. 그리고 왕권비상한 중요성의 시기에 정기적으로 부활되었다. 1974년 예술국은 거의 200년만에(몽꾸 이후) 재편집을 명했으며 1983년 예술국은 회의를 주제했는 데 보수적인 학자들은 그 텍스트의 윤리적 가르침과 현대사회생활, 정부, 국가안보와의 계속적인 관련성을 강조했다.
3. 국왕의 정치적 역할
1) 1981년 쿠데타
1981년 쿠데타는 육사7기생인 영터크스 주도로 발생했다. 쁘렘은 대표적인 국왕제의 신봉자로서 국왕의 신임이 두터운 인물이었다. “그는 국왕제에 대하여 확고한 충성심을 보였다... 그는 국왕제를 옹호하고 그것에 대한 경외심을 보임으로써 신뢰와 존경을 받게되었다.” 뿐만 아니라 쁘렘내각의 각료들도 많은 시간을 왕실행사에 할애하게 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국왕과 쁘렘정권간의 관계는 아주 밀접했으며 엉터크스가 쁘렘이 의사에 반하여 1981년 쿠데타를 일으켰을 때 국왕은 국왕제의 신봉자였던 쁘렘을 지지하게 되었다.
영터크스는 쁘렘내각의 경제적 이익을둘러싼 파벌투쟁, 신임 각료임명건등을 이유로 1981년 4월1일에 쿠데타를 일으켰다. 1981년 4월 1일에 쿠데타를 일으켰다. 80년 3월에 구성된 쁘렘의 1차내각은 연립내각내의 주요세력인 낏상콤당과 찻타이당간의 경제적 이해- 외국으로부터 설탕과 원유구매를 둘러싼 갈등으로 사퇴하고 81년 3월 새로운 연립내각을 구성케 되었으나 새로 참여한 정치인중 국민들의 신망을 얻지 못하는 인사가 포함되었으며 이들중 한명이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5.06.20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36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