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국어 피·사동의 용례 및 특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세국어 피·사동의 용례 및 특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중세국어 피·사동의 쓰임
가. 피동
나. 사동

2. '-어 디-'의 分布

본문내용

와 형용사와의 결합에 있어 {-이-}도 활발하게 나타난다는 점이다.
) ㄱ. 이대 아로밑 덞규밑로
ㄴ. 觀과 行앳 大病 ㅣ 되일싶 仔細히 까힝시니라
앞에 가설①에서 '디다'가 통사부에 도입도니 것이 처음에는 '어간+어간'의 방법을 통한 것임을 밝혔듯이, 이제 그 분포와 현대국어에 있어서의 생산성을 비교해 볼 때 그 도입시기가 國語史의 그리 멀지 않은 시기였던 것 같다.
지금까지의 예들은 피동구문과 그의 능동대당문에서 想定될 수 있는 타동사가 나타나는 것들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그러나 {-어 디-} 구성 예에서 능동대당문의 설정이 어려운 일련의 피동구문 예도 있다.
(11). ㄱ. 묏그름제 므래 것구라디니
ㄴ. 胎衣링 나티 몬힝야 胎 ㅣ 힝야디여 주구매
(1)의 예의 동사들에 대한 타동사 '?것굴다, ?힝이다'등의 예는 찾을 수가 없다. 그러나 예를 찾을 수 없다는 것이, 능동대당문을 설정할 수 없는 문장 즉 자동사문이라는 중거는 되지 못한다. 그 不在의 원인은 우리가 아직 발견하지 못한 것일 수도 있고, 중세국어에만 단지 존재하지 않는 것일 수도 있다.
지금까지 {-어 디-}가 현대국어와 비교해 볼 때 그다지 생산적이지는 못한, {-이-}와 동등한 자격으로 피동구문의 구성에 참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만 {-어 디-}를 조동사로 다룰것이냐, 접미사로 다룰 것이냐 하는 논의는 더 진행되어야 할 것 같다.
※ 참고문헌
박병채, 『국어발달사』, 世英社
이숭녕, 『中世國語文法』, 乙酉文化社
한재영, 「중세 국어의 피동구문의 특성에 대한 연구」, 『국어연구 61』
유창돈, 『李朝語辭典』, 延世大學校 出版部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07.19
  • 저작시기2005.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77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