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0년대 미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1930년대 미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1930년대의 상황.

2. 30년대의 화풍들의 성향.

3. 1940년대 미술.

본문내용

1. 1930년대의 상황.
우리나라 현대미술 초기에 있어서의 본격적인 미술이 전개된 시기로 이 시기에 많은 유학생들로 이뤄진 작가들이 활동하는등 질적 양적으로 팽창되던 시기였다. 이 당시 서양화가들의 중요한 데뷔 절차는 鮮展이었다. 협전이 친목중심의 그룹전이었던데비해 선전은 엄연한 시상제도가 있었고, 무엇보다 당시의 지배층(日帝)의 엄호와 지원하에 있었다는 점에서 충분히 매력적이고 무시못할 등단 절차였던 셈이다. cf. 하지만 선전의 반대편에 자리한 협전의 경우도, 기실 투철한 민족주의나 반일정서에 기반했다고 할 수는 없는것이, 해방이후 고희동이 이끄는 [ 조선 미술협회 ]는 이승만정권의 비호하에 화단을 정권을 장악하다시피 하기때문이다. 문제는 고희동이 이끈 서화협회가 바로 [조선 미술협회]의 전신이라는 것이다. 또, 서화협회는 문화주의, 개량주의를 견지하긴 했다지만, 일제체제하에서 구조적 한계속에서 안일한 전통고수나 신미술문화 보급과 같은 그들의 기치는 당대의 역사적 인식에 기반한 운동은 아니었다고 봐야 옳다. 도리어 이러한 관료중심의 미술이나, 아카데미즘의 관념주의(형식주의)의 반대편에는 30년대 중반 자취를 감추고 만, 'KAPF'를 고려해야 한다. 이는 뒤에서 향토색논의와 더불어 거론될 것이다. 2. 30년대의 화풍들의 성향.① 아카데미 미술.(선전을 중심으로 한 인물화와 누드)
20년대초부터 기반을 다진, 선전의 아카데미즘은 안일한 소재주의, 판에 박힌 양식의 복재라는 폐악을 가져온다. 이들이 지향하는 소재는 보통 소위, '여인좌상'으로 대표되는 인물화와 누드이며, 이같은 틀에 박힌 소재를 통해 그나마 그들이 추구하는 가치라고 한다면, 입체감에 대한 지향과 3차원적 표현, 인물에 대한 사실적 접근(표현)등을 들 수 있다. 사례: 김인승의 대표적인 인물화들을 들 수 있다. 그는 꾸준히 선전에 출품하게되고, 보통 '선전귀족'으로 불리워지기도 한다. (* 김인승, 이인성, 심형구를 일컬어 선전 3인방이라고 불린다.)② 인상주의 (풍경화) 근대미술 전반기에 가장 선호되던 주제였다. 이것은 당시 유행하던 인상주의에 대한 재현이라고 할 수도 있는데, 대표작가로 오지호를 들 수 있다. 그는 녹향회에 가입(31년)하여, 그동안 화단을 지배했던 어둡고 칙칙한 일본색을 지양하고 한국색이라는 이름하에 밝고 신선한 색감으로 화면을 구성했다. 이 또한 이후 '향토색'논쟁의 소재가 된다.
사례: 오지호 [남향집](1939)에서 구사된 보라빛 그림자는 관습화된 그림자=검정 이라는 도식을 대체한 사례이고, 전체적으로 봤을때, 파스텔톤 색감은 부드럽고, 화사하다. 이인성 [경주산곡에서](1934)에서 향토적 소재에 야수파적 색채구사등이 이국적으로 보인다.③ 30년대 후기 모더니즘(전위미술, 추상, 표현, 야수) 선전에 대립되어, 그룹전과 개인전을 선호하는 일군의 무리에 의해서 유럽 모더니즘의 흐름을 추종하는 일련의 실험작가들. 구본웅의 경우, 야수파의 영향과 더불어 [여인](1935)에서 극적감정의 표현이 압도하는 당대 발표된 유일한 표현주의 성향의 작업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07.20
  • 저작시기2005.07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3079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