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정 이덕무 청비록에 나타난 평어의 의미와 범주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정 이덕무 청비록에 나타난 평어의 의미와 범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淸'자 계열 - 淸致, 淸和, 淸拔, 淸刻拔俗, 淸眞澹遠, 淸眞, 淸遠幽澹, 淸警, 淸婉新警, 淸姸, 淸虛灑脫

2. '精'자 계열 - (不)精, 精新, 精絶, 精鍊, 精工, 澹精, 精切.

3. '妙'자 계열 - 妙, 纖妙, 妙絶, 妙解, 敏妙.

본문내용

할 수 있다. 장마는 하늘의 변화가 즉, 검은 구름이 모여들어 날씨가 어둑어둑해지는 것을 이야기한다. 그런데 위의 두 시는 비에 대한 어떤 묘사도 없이 장마 오기 전의 모습을 단지 주변의 물고기, 새, 꽃등의 자연물을 묘사하여 장마를 형상화하고 있다.
장마를 절묘한 풀이로('妙解') 형상화하고 있다. 이덕무는 이를 두고 妙하다고 하는 것이다.
이상으로 '妙'字 계열의 평어들의 의미와 범주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덕무가 『淸脾錄』에서 사용한 '妙'字 계열의 평어는 '妙, 纖妙, 妙絶, 妙解, 敏妙.' 등이 있었다. '妙'는 一字 평어와 二字 평어로 시품을 하였는데, 一字 평어가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妙'字는 '정치함, 절묘함'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시의를 절제하여 직접적으로 드러내지 않거나, 시어의 의미, 정치한 관찰을 통한 대상을 형상화하는 기준에서 사용되어짐을 알 수 있었다.
'精絶'은 소재의 선택과 배치가 시의에 정교하고 절묘함을 나타내었고, '精鍊'은 대우의 측면에서 시의 감상과는 상관없이 字의 대우가 정교하고 숙련되었음을 나타내는 평어였다. '精工'은 내용상으로 공통적인 특성과 대립된 특성의 대를 이루고 있으며, 字에 대해서도 대를 이루고 있다. 이 평어는 대우가 정밀하고 공교함을 의미하였다. '澹精'은 묘사의 담박함과 정밀함을 의미하였다.
'妙'는 같은 시어의 의미 측면에서 평어를 사용되었다. '纖妙'와 '妙解'는 시적 대상을 절묘하게 형상화하는 측면에서 사용되었다. '妙絶'은 시의를 절제하여 직접적으로 드러내지 않고 절묘하게 나타내는 것에 사용되었다.
[參考文獻]
1. 資料
李德懋, 『靑莊館全書』『淸脾錄』, 서울대학교 奎章閣 所藏本.
, 『國譯 靑莊館全書』7, 『淸脾錄』, 솔, 1997.
『東文選』, 민족문화추친회,1984.
『中文大辭典』, 학고방, 중화민국 57년.
皎然,『詩式』.
竇蒙, 『語例字格』.
劉禹昌, 『司空圖《詩品》義證, 武漢大學出版社, 1992』.
徐居正 原著, 張鴻在 譯編, 『東人詩話』.
申景濬, 『詩則』, 태학사.
劉 지음, 최동호 역편, 『文心雕龍』, 민음사, 1997.
李 珥 編著, 기태완 譯註, 『精言妙選』, 보고사, 1999.
李 光,『芝峯集』 , 文淵閣, 1998.
曺 伸 原作, 정용수 飜譯, 『국역 聞 錄』, 국학자료원, 1997.
鍾嶸 撰, 林東錫 譯註,『詩品』, 學古房, 2003.
崔滋, 『補閑集』, 亞細亞文化社, 1972.
許筠, 『惺 詩話』.
胡應麟, 『詩藪』.
洪萬宗 原著, 洪贊裕 譯註, 『譯註 詩話叢林』, 通文館, 1993.
2. 一般論文
朴守川, 『동아대구당논총』18,「《淸脾錄》의 詩話論的 考察」, 동아대학교, 1992.
위항론, 『순천향대순천향인문과학논총』6,「한국이덕무 《淸脾錄》논고」, 순천향대학교, 1998.
유재일, 『어문학연구』37,「《續函海》本《淸脾錄》의 문헌적 면모,1 : 一山本과의 대비를 중심으로」, 어문연구학회, 2001.
, 『人文科學論集』21,「《續函海》本《淸脾錄》의 발간 경위 고찰 : 이덕무와 청대문사들과의 교유를 바탕으로」, 청주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2000.
李宇正, 『중국어문학논집』14, 「嚴羽의 風格論」, 中國語文學硏究會, 2000.
정대림, 『논문집』20집, 「《淸脾錄》에 나타난 비평의 양상」, 세종대학교, 1993.
鄭淑仁, 『語文硏究』100, 「'奇'字 詩品의 의미분석 연구」, 韓國語文敎育硏究會, 1998.
정숙인, 『어문연구』102,「《淸脾錄》을 통해 본 이덕무의 비평양상」, 한국어문교육연구회, 1999.
鄭載喆, 『韓國漢文學硏究』28, 「《精言妙選》의 풍격 연구」, 韓國漢文學會, 2001.
河政承, 『漢文學報 』제3집, 「高麗 後期 詩話集에 나타난 詩品 硏究 :『破閑集』 『白雲小說』 『 翁稗說』을 中心으로」, 우리한문학회, 2000.
3. 學位論文
權民 , 『《小華詩評》에 나타난 風格 '淸'의 具現 樣相』, 光云大學校 大學院 國語國文學科 碩士論文, 2000.
金學敦, 『李德懋詩話硏究 : 淸脾錄을 中心으로』, 忠南大學校 大學院 國語國文學科 碩士學位論文, 1993.
朴京信, 『芝峯 李 光의 詩 硏究』,誠信女子大學校 大學院 漢文學科 碩士學位 論文, 2000.
李然世, 『漢詩批評에 있어서의 詩品 硏究』, 仁荷大學校 大學院 國語國文學科 博士學位論文, 1996.
李義澈, 『漢詩批評에서의 風格 硏究』, 慶熙大學校 大學院 國語國文學科 碩士學位論文, 1999.
李在元, 『芝峯 李 光의 詩 硏究』, 檀國大學校 大學院 漢文學科 碩士學位論文, 2002.
鄭淑仁, 『漢詩批評 硏究 - 風格용어를 中心으로』, 中央大學校 大學院 國語國文學科 博士學位 論文, 1999.
曺永任, 『韓國漢詩의 風格 硏究 - 諸 詩話集에 나타난 주요 評語를 중심으로』, 忠北大學校大學院 國語國文學科 碩士學位論文, 1995.
최순기, 『이덕무의 《淸脾錄》연구』, 숙명여대 교육대학원, 1987.
彭鐵浩, 『司空圖 《二十四詩品》 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中國語中國文學科 碩士學位論文, 1986.
洪學姬, 『陣 詩의 風格 硏究 - 詩品 "淸"을 중심으로-』,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國語國文學科 碩士學位論文, 1990.
4. 單行本
류재일, 『이덕무의 시문학 연구』태학사, 1998.
閔丙秀, 『韓國漢詩代表作評說』, 태학사, 2000.
박수천, 『韓國漢詩批評의 硏究』, 태학사, 2003.
안대회, 『조선후기시화사』, 소명출판, 2000.
, 『韓國 漢詩의 分析과 視角』,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0.
呂基鉉, 『古典詩歌의 表象性』, 월인출판사, 1999.
劉若愚 著, 李章佑 譯, 『中國의 文學理論』,同和出版公社.
尹浩鎭 著, 『漢詩의 意味構造』, 法仁文化史, 1996.
李圭虎, 『한국고전시학론』, 새문사, 1985.
이연세, 『고전비평용어연구』, 태학사, 1998.
李和炯, 『李德懋의 文學硏究-존재론적 의미의 탐색-』, 集文堂, 1994.
정 민, 『한시미학산책』, 솔, 2001.
曺斗鉉, 『漢詩의 理解』, 一志社, 1999.
車柱環, 『中國詩論』, 서울대출판부, 1989.
崔珍源, 『韓國古典詩歌의 形象性』, 乙文社, 1988.
, 『國文學과 自然』, 成均館大學校出版部, 1986.
팽철호, 『풍격론』, 사람과 책, 2001.

키워드

  • 가격3,600
  • 페이지수29페이지
  • 등록일2005.08.16
  • 저작시기2005.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84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