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의 이해 - 청소년과 청소년문화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청소년과 청소년 문화
1. 청소년의 개념
(1) 아동의 발견
(2) 청소년의 개념
(3) 초자아의 회복

2. 청소년 문화
(1) 문화의 개념
(2) 청소년 문화의 가능성

<참고 문헌>

본문내용

고 한탄해 보지만, 그 모든 이유는 아이들의 잘못이 아니다. 그런 환경에 대응하여 청소년은 감성을 억압하지 않고 대안 찾기를 주저하지 않는 문화 비판자요 문화 생산자로서의 정체성을 이미 내면화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설사 가벼움일지언정 희망의 가벼움이다. 오염된 권력이 강제한 경쟁과 위계의 무거운 도덕이 청소년에게는 더 이상 통하지 않게 되었다. 붕괴한 학교는 작은 배려와 사랑을 소중히 여기는 날아갈듯한 가벼움으로 회복되어야 한다.
또 다른 좋은 예는 2002년을 경천동지한 온라인의 힘이다. 붉은 악마의 월드컵은 가벼워빠진 청소년의 유희가 그 어느 무거운 이념과 정략도 압도하는 감동임을 웅변하였다. 갑자기 청소년은 찬탄의 대상이 되었고 대중문화의 콘텐츠는 시대 정신이 되었다. 태극기가 패션이 되고 응원가 록 음악은 퓨전이 되어 평양까지 울려 퍼졌다. 사람들은 이 감동이 억눌리고 분열된 대한민국을 통합할 수도 있다는 희망을 보았다.
그리고 그 해 겨울에는 미군의 장갑차에 희생된 여중생을 추모하기 위한 촛불이 광화문을 밝혔다. 젊은 네티즌들에 의해 시작된 촛불집회는 전 계층의 시민을 동참시키며 반전 평화 운동의 상징이 되었다. 냉엄한 국제 관계의 헤게모니에 눌려 단 한번도 움트지 못했던 반미의 기운이 사회적 토론과 성찰의 무대에 올려진 것이다. 이 열기는 그대로 미세한 대선 판도를 좌우했고 탄핵 반대와 이라크 파병 반대 집회를 거치며 권력을 향한 지속적인 메시지를 던지고 있다. 이들 집회는 과거와 달리 어린이 예술단으로 부터 대중 가수에 이르기까지의 다양한 사람들의 공연과 퍼포먼스, 그리고 시민 자유 발언을 포함한 토론들로 이루어진다. 촛불을 켜고 합창을 부르는 문화 행사는 그야말로 의미 생산의 진면목을 보여준다.
그러나 근대를 짓누르던 오염된 도덕이 무너진 것은 아직 아니다. 의미의 생산으로서의 청소년 문화는 이제 겨우 출발을 알렸을 뿐이다. 학교가 붕괴되었다고 하지만, 그 과정의 태반은 여전히 점수 논리에 편승한 사교육의 번성과 맞물려있다. 대부분의 청소년은 자본주의 직업 구조에 성공적으로 배치되기 위한 영악함을 발휘할 수 밖에 없다. 능력과 취향이 존중되고 배려와 사랑이 통하는 학교를 원하지만, 도구합리성이 지배하는 사회로부터 학교가 독립할 수야 없는 노릇이다.
그래서 지친 아이들은 그들의 감성을 재빠르게 상업화하는 문화 자본과 일정하게 담합한다. 그 결과 청소년 문화는 좀더 순수하게 자율적이지 못하고 응당 성취할 만큼의 창의성을 보여주지 못한다. 촛불 집회와 같은 의미 생산에 동참하지만 아직 이런 모임은 이벤트적 요소가 강하다. 오프라인의 지속성과 온라인의 토론 열기에도 불구하고, 이벤트적 집회의 일회적 성격은 의미 생산으로서의 청소년 문화를 제도화하기에는 아직 역부족이다.
붉은 악마의 감동도 어떤 측면에는 집단주의적 요소가 도사리고 있다. 어느 안정된 사회에서도 상상할 수 없는 그 집단적 동원은 잔잔한 일상의 민주화와는 아직 거리가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2002년 유월을 뒤흔든 신명이 미시적 인간 관계에 스며들어 차이에 대한 관용과 통합의 문화로 나아가기까지는 좀 더 긴 세월이 필요할 듯하다.
원초적 생명력에 내재한 자발성으로, 오염된 수퍼에고를 부수는 작업은 이제 막 시작되었다. 근대 기획이 상실한 진보의 도덕성을 회복하는 작업은 아직 낯설다. 그래서 진행형의 청소년 문화는 제한된 개념에 갇혀 있을 수가 없다. 청소년 문화는 탈근대의 가능성 만큼이나 드넓게 열려 있다.
<참고 문헌>
배영수, 1992, 서양사 강의, 서울: 한울
손인수, 1994, 교육사 교육철학 연구, 서울: 문음사.
조형근, 2000, “어린이(기)-순수한 자기를 꿈꾸는 우리들의 초자아”, 문화과학 21 권, 71-93.
Aries, Philippe, 1973, Centuries of Childhood, Harmondsworth: Penguin.
Durkheim, Emile, 1933, The Division of Labor in Society, New York: Macmillan.
Erikson, Erik, 1963, Childhood and Society, New York: W.W.Norton.
Freud, Anna, 1958, "Adolescence" in R. Eisser, A. Freud, H. Hartman, & M. Kris (Eds.), Psychoanalytic Study of the Child(vol. 13).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Hebdige, Dick, 1979, Subculture: The Meaning of Style, London: Methuen.
Kohlberg, Lawrence, 1984, The Psychology of Moral Development: The Nature and Validiaty of Maral Stages(vol. 2). New York: Harpercollins College Div.
Loytard, Jean-Francois, 1984, The Postmodern Condition: A Report on Knowledge, Minneapolis:Univ. of Minnesota Press.
Parsons, Talcott, 1952, The Social System, London: Tavistock.
Rousseau, Jean-Jacques, 1979, Emile: Or On Education, New York: Basic Books.
Schellenberg, James, 1984, 김동일 이동원 옮김, 사회심리학의 대가들, 서울: 이 화여자대학교 출판부
Thurer, Shari, 1995, The Myths of Motherhood, Harmondsworth: Penguin.
Weber, Max, 1968, Economy and Society, New York: Bedminster.
청소년과 청소년 문화
1. 청소년의 개념
(1) 아동의 발견
(2) 청소년의 개념
(3) 초자아의 회복
2. 청소년 문화
(1) 문화의 개념
(2) 청소년 문화의 가능성
<참고 문헌>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5.08.08
  • 저작시기2005.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90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