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대중가요와 형성 과정 연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근대 대중가요와 형성 과정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대중가요의 개념

3. 잡가의 출현과 잡가의 개념
1) 잡가의 대중성과 통속성
2) 민요계 잡가 부상으로 시작된 잡가의 변모

4. 서구음악의 도입
1) 외래적 음악 양식 수용의 역사적 배경
2) 유행창가의 유입과 특징
3) 트로트양식의 출현

5. 형성기 대중가요

6. 결론

7. 참고문헌

본문내용

섞임'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뒤섞임'현상이라는 혼재는 상호 영향관계에 있던 전통음악 양식과 외래음악 양식의 구분을 더욱 모호하게 만들었다. 외래적 음악 양식인 유행창가나 트롯트가 전통적 예기인 기생들에 의해 불려졌다는 점은, 우리 근대 대중가요 형성이 전통적 음악 관습위에 외래적 음악 양식이 수용되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이 새로운 流行歌 신민요의 歌手로 넘버!원이라는 소리를 듯는 가수가 金玉眞孃이다. 孃은 沙里院産 원래 西道소리와 南道소리의 特才를 가진 朝鮮소리의 가수로 또한 伽倻琴의 名手이다. 그는 樂譜보다 伽倻琴曲調에 더 親熟하야 새로운 노래를 부를 때 音譜를 보지안코 다른 사람에게 피아노를 타게 한 후 자기는 그것을 伽倻琴曲으로 옴기여 練習한다. 그러타고 音譜를 이해치 못하는 것은 아니라 한다. 바이요린을 餘技라고 하기에는 지나치게 잘 타면서도 朝鮮소리의 특유한 멜러듸를 노래로 불으는데는 아모래도 伽倻琴으로 목소리를 골으지 안으면 긔분이 나지 안는다고 해서 樂譜를 그래도 부르지 안코 무슨 노래의 테스트에든지 伽倻琴으로 목소리를 가다듬는 것이 라고 한다.
"그외 기생가곡에 잇서는 한성권번으로부터 금옥엽 장학선 김추월 삼양이 출연키고 하얏고 종로권번으로부터는 강매호 묵계옥 조백오의 추리오가 마이크 앞에 스게 되엇다." 『매일신보』1938.2.22
양식의 생성과 소멸은 불가피한 현상이다. 1930년대 이후 신민요는 양식과 대중들의 정서가 조응하는 집합점을 상실함으로써 점차 그 영역을 상실하기에 이른다. 트로트는 1930년대 근대적 삶의 모습을 담고자 노력했던 모습에서 1960년대 이후 서민들의 삶을 담으면서 오늘날 까지 이어지고 있다.
6. 결론
이글에서는 19세기 후반 대중가요로 부상하는 잡가를 우리 대중가요사의 효시적 갈래로 상정하여 그것의 변모 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후 신민요로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과 함께 외래적 노래 양식으로 대중가요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유행창가와 이의 지속 현상으로 트로트가 정착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도시 하층민을 대상으로 유랑 예인 집단을 통해 불려지던 잡가는 19세기 후반 붙박이 예인들에 의해 사대부 문화 양식을 지향하던 중인 계층, 양반 사대부층으로 까지 그 대상을 넓혀나갔다. 이는 중세 예술 양식이 가지는 예술의 계급적 장벽을 무력화시키는 현상으로써 예술이 대중화되는 현상, 즉 대중예술이 탄생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로 인해 잡가의 향유 범위는 종래 시조와 사설시조는 물론이거니와 민요의 신분적 지역적 제약성에도 비교가 안될 만큼 널리 확대되어 갔다. 이른바 조선 후기 대중 가요로 발전해 간 것이다. 이후 20세기 들어서도 잡가는 변화된 환경에 민첩히 대응함으로써 20세기 대중가요로서의 위상을 더욱 확고히 해 나갔다.
이와 같이 잡가가 대중가요로 발전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18세기부터 이어져 오던 시가의 통속화 현상이 자리 잡고 있었다. 언어 유희성의 확대, 통속적 정감의 직설적 분출, 감상성의 확대, 사설차용의 개방성 등은 잡가가 모든 계층을 아우르며 대중가요로 부상할 수 있는 내적 원동력이 되어주었다.
1920년대 대중가요사에는 유행창가라는 새로운 양식이 부상한다. 이 새로운 양식은 당시 유행하던 민요계 잡가의 강한 분절성과 친연성을 가지는 바, 이로 이해 유행창가는 별 무리 없이 조선대중들에게 수용될 수 있었다. 잡가 또한 유행창가의 영향을 받아 민요계 잡가를 중심으로 더욱 감상성을 확대시키는 쪽으로 사설차용이 이루어졌다.
유성기 음반 시장이 활성화되는 1930년대 우리 대중가요사에는 신민요와 트로트라는 장르가 양립하게 된다. 잡가의 지속적 성격을 가지고 있던 신민요는 조흥구와 여음을 의도적으로 차용하며 트로트가 정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주었다. 이글은 대중가요 형성 과정의 자생론을 일단 긍정하는 입장에서 기술되었다. 그러나 그 긍정은 전통 가요만으로 대중가요사가 구성되었거나, 그 전통적 대중가요들이 외래적 양식에 어떤 영향도 받지 않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이 아니라, 대중가요상의 시작을 조선 후기 잡가에서 찾을 수 있다는 점에서 동의한 것이다. 조선후기 잡가에서 시작한 대중가요가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어떤 동력을 바탕으로 어떤 방식을 지향하며 전개되어 왔는가의 문제는 특히 관심을 둔 부분이다. 그 과정이 바로 한국 근대 대중가요의 형성과정으로서, 근대 대중가요의 형성과정은 단순히 양식의 이입으로만 설명할 수 없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것이다. 결국 우리 대중가요사는 전통적 시가양식의 기반을 토대로 외래 음악 양식이 도입되면서 상호 지대한 영향아래 형성되었다고 보는 것이 마땅하겠다.
7. 참고문헌
김창남, 「유행가의 성립과정과 그 문화적 성격」, 서울대 석사논문, 1984
노동은, 『한국민족음악의 현단계』, 세광음악출판사, 1989
이노형, 「한국 근대 대중가요의 역사적 전개과정 연구」, 서울대 박사논문, 1992
박애경, 「조선 후기 시가 통속화 양상에 대한 연구- 잡가를 중심으로」,『연세어문학』27 호, 연세어문학회, 1993
강등학, 「19세기 이후 대중가요의 동향과 창작가요 시대의 사적 맥락」, 『한국대중가요의 종합적 검토』, 성균관대 인문과학연구소, 2000
서우석, 『음악과 현상』, 문학과 지성사, 1989
고미숙, 「역비논단, 대중가요의 선구」,『20세기 잡가연구』, 역사문제 연구소, 1994
이노형, 「잡가의 유형과 그 담당층에 대한 연구」, 서울대 박사논문, 1987
이노형, 「한국 근대 대중가요의 역사적 전개과정 연구」, 서울대 박사논문, 1992
이영미, 「일제 시대의 대중가요」, 『노래2』, 실천문학사, 1984
민원득, 「개화기 음악교육」 『세계음악교육사』, 학문사, 1985
유영건, 「한국 대중가요의 일본적 요소」, 연세대 석사학위 논문, 1996
이상준, 『신유행창가』, 삼성당, 1929
정재호, 『잡가집』1, 2, 3, 4권, 계명문화사, 1984
한국 고음반 연구회, 『유성기 음반 가사집』 3권, 민속원, 1999
『대한매일신보』
홈페이지 http://100.naver.com/100
군밤타령 홈페이지 http://preview.britannica.co.kr
  • 가격2,4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5.08.17
  • 저작시기2005.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98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