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당 서정주에 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당 서정주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초기 : 『화사집』~ 해방 전
1) 실존적 몸부림의 탐구 - 성적해소
2. 중기Ⅰ : 『귀촉도』~ 『서정주 문학전집』
1) 안정을 향한 시도
3. 중기Ⅱ : 『신라초』~『동천』
1) 신라정신 - 불교정신으로의 안착
2) 불교적 상상력의 세계 - 신라혼에 대한 탐구
4. 후기 : 『질마재 신화』~ 이후

Ⅲ. 결론

본문내용

해서 <腸을 또 꿰매야 겠다>고 말하고 있다. 이러한 표현은 신라인의 영원한 삶을 배우는 길을 말함이다. 이것은 ‘당장살이’가 아닌 ‘영원살이’에 대한 이념화의 경향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의지는 지상에서의 애착과 붙들림을 모두 불식시켜 윤회적인 삶에서의 영원주의를 추구한다.
3. 후기 : 『질마재 신화』~ 이후
미당의 또 다른 시 세계의 개척은 1970년대 고향 질마재의 유년 시절로 회귀하여 촌락사회의 고유전통을 발굴하며 질펀한 토속어로 흥미진진한 삶을 이야기 한다.
Ⅲ. 결론
이처럼 서정주의 시세계는 뚜렷한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초기에는 서구적 감수성과 상상력을 바탕으로 삶의 질곡을 파헤치려 하였으며, 중기에서 시인은 불교적 상상력을 통해서 현실의 원형을 탐색하려 하였으며, 후기에서 현실을 재생, 회복하려는 태도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서정주의 시는 시적 변화를 뚜렷이 보여준다. 조연현,「서정주론」, 박철희 외,『서정주』(서강대학교출판부, 1998), 22-23쪽
이처럼 그의 시세계변화를 통해서 보여주는 것은 결국 그를 장수시인으로 남을 수 있게 만들었다는 것이다. 다만 아쉬운 점이 있다면 『花蛇集』이 당시의 청년 시인으로서 어떤 확정한 미래관을 지니지 못했다는 점, 또는 현실을 자기 것으로 동화시킬 수 있는 역사, 현실의식이 덜 성숙되었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는 주제와 상이한 관계로 논외로 돌렸으나 서정주시를 이해하는데 이러한 문제를 완전히 배제할 수 없으므로 기회가 된다면 함께 생각해보는 것이 어떨까 한다.
♣ 참고문헌
기본자료
서정주,『서정주 전집 1』(민음사, 1998)
단행본
김봉군, 『서정주론』『한국현대작가론』 (민지사, 1984)
김우창, 『한국시와 형이상』」,『궁핍한 시대의 시인』(민음사, 1982)
김정신 『서정주 시정신』(국학자료원, 2002)
김재홍, 『한국대표시평설』(문학세계사)
김재홍, 『한국현대시인비판』 (시와시학사,1994)
김재홍, 『시와 진실』(이우출판사,1995)
김화영, 『서정주의 시에 대하여』(민음사, 1984)
김현, 『서정주 혹은 불교적인생관의 천착』『한국문학사』(민음사, 1973)
박철석, 『서정주론』『한국현대시인론』 (민지사, 1998)
박철희 외,『서정주』, (서강대학교출판부, 1998)
서정주,『서정주 문학전집』5권
송하선,『미당서정주연구』(선일문화사,1991)
송희복, 『서정주 초기시의 세계』현대시학』(1991.7)
유혜숙, 『서정주 시의 이미지 연구』(시문학사,1996)
육근웅,『서정주 시연구』(국학자료원,1997)
윤재웅 『미당 서정주』(태학사, 1998)
임문혁, 『서정주 시의 설화수용과 시적효용』『청람어문학』 (1991.11)
정종진,『한국현대시, 그 감동의 역사』(태학사,1999)
정종진, 『한국 현대문학의 성묘사 전략』(우리문학사,1990)
천이두, 『지옥과 열반』,『종합에의 의지』(일지사, 1974)
최원규, 『서정주와 불교정신』『한국현대시사연구』(일지사, 1983)
최두석, 『서정주론』『선청어문』(서울대 사범대학, 1992.9)

키워드

미당,   서정주,   시인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09.05
  • 저작시기2005.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17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